•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공학 교육

Search Result 66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ax-Mean N-step Temporal-Difference Learning Using Multi-Step Return (멀티-스텝 누적 보상을 활용한 Max-Mean N-Step 시간차 학습)

  • Hwang, Gyu-Young;Kim, Ju-Bong;Heo, Joo-Seong;Han, Youn-Hee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0 no.5
    • /
    • pp.155-162
    • /
    • 2021
  • n-step TD learning is a combination of Monte Carlo method and one-step TD learning. If appropriate n is selected, n-step TD learning is known as an algorithm that performs better than Monte Carlo method and 1-step TD learning, but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 best values of n.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selecting the values of n in n-step TD learning, in this paper,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overestimation of Q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itial learning and that all n-step returns have similar values for Q ≈ Q*, we propose a new learning target, which is composed of the maximum and the mean of all k-step returns for 1 ≤ k ≤ n. Finally, in OpenAI Gym's Atari game environment, we compare the proposed algorithm with n-step TD learning and prov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superior to n-step TD learning algorithm.

Development of External Expansion Devices and Convergence Contents for Future Education based on Software Teaching Tools (소프트웨어 교육용 교구 활용 미래 교육을 위한 융합 콘텐츠 및 외부 확장장치 개발)

  • Ju, Yeong-Tae;Kim, Jong-Sil;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6
    • /
    • pp.1317-1322
    • /
    • 2021
  • Softwa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becoming a key foundation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ew direction of manpower training and education that can cope with the times. To this end, the Ministry of Education reorganized the curriculum and is implementing software education based on a logical problem-solving proces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kills rather than acquiring general ICT knowledge. However, there is a lack of securing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 for software education, and there is also a lack of teaching aids that can be taught in connection with advanced IT technologies. To overcome this, this paper proposes the development of external expansion devices to expand educational content and functions capable of convergent software educa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coding robots for software education. Through this,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is possible by improving the curriculum of the existing simple problem-solving method and develop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Comparing the Perception of College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Convergence Education in IT (IT 분야의 융합교육에 대한 전문대학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비교)

  • Kim, Kyong Ah;Kim, Ji Sim;Kwon, Suhyun;Kim, Joonyoung;Jin, M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49-350
    • /
    • 2019
  • 인구 감소에 따른 입학자원의 감소로 인해 대부분의 대학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육 환경 속에서 대학이 생존과 양질의 교육을 위해 모색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융합교육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희망 융합 학문 분야 등을 조사 분석하여 전문대학의 융합교육에 필요한 학문 분야별 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IT 분야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들의 융합 희망 분야에 대한 인식 비교를 통해 향후, IT 분야 융합교육의 운영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 Case Study on Practical Teaching Methods for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 A Practical Teaching Ca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urses for Juniors in Computer Engineering Major - (공학설계 교육을 위한 현실적 교수학습 방법론의 적용 연구 - 컴퓨터공학과 3학년 인공지능 교과진행 사례 -)

  • Kim, Jinil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21 no.6
    • /
    • pp.74-80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practical teaching methods for efficient progress of project-based learning in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Engineering design courses consist of three categories; introductory, individual and capstone design courses.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ase of individual design courses. Individual design courses act as bridges between introductory and capstone design courses and deal with applicable projects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s. In this study, practical teaching methods ar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as an individual design course for Juniors in Computer Engineering Major. The results on application of practical teaching methods show relatively positive in all aspects.

A Machine Vision System for Inspection of Car Sunroof Using SVM Algorithm (SVM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동차 썬루프 장치의 볼트 유무 검사 장비)

  • Kim, Giseok;Lee, Saac;Ch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289-292
    • /
    • 2013
  • 본 논문은 SVM(Support Vector Machine) 학습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차 썬루프 장치의 볼트 유무를 검사하는 자동차 부품 검사 장비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시스템은 높은 정밀도와 생산성을 위한 빠른 처리 속도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선형 SVM 학습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자동차 썬루프 장치의 볼트 유무를 검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SVM 알고리즘은 분류를 위한 알고리즘이지만 ROI(Region-Of-Interest) 내의 모든 윈도우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여 검출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볼트가 있는 경우와 볼트가 없는 경우가 아닌 네거티브 샘플을 확보하기 위해 검출 대상 물체 주변에서 다양한 네거티브 샘플들을 추출한다. 그 결과 물체가 예상 위치에서 다소 빗나가는 경우에도 볼트 유무를 판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볼트의 위치까지 검출할 수 있고, 처리 속도에서 자동화 시스템이 요구하는 수준에 도달함을 실험 결과를 통해 검증한다.

Augmented Reality Based Computer Structure Education Application using Smartphone (증강현실을 이용한 컴퓨터 구조 교육 어플리케이션)

  • Lim, GyuHyun;Park, HanGook;Lee, Hwa-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26-1528
    • /
    • 2011
  • 증강 현실이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혼합하여 어떠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최근에 들어 증강현실을 스마트폰에 접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증강 현실을 활용하여 시각적인 학습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컴퓨터 구조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카메라 촬영만으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국내 진동교육에 관한 소고 - 현황과 컴퓨터응용 중심으로 -

  • 박영필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2
    • /
    • pp.156-161
    • /
    • 1988
  • 국내 대학의 근대공학 교육이 시작된지도 40여년이 지남에 따라 기계 계열의 과가 있는 대학이 상당수에 이르게 되었다. 양적으로 팽창된 기계계열 교육기관에 부응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 내용의 검토가 필요한 시기가 온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국내 기계공업 수요 및 발전 속 도의 급속한 증대로 인해 보다 내실화된 교육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글 에서는 기계계열 학과의 중요과목중의 하나인 진동 과목 교육에 관한 국내 대학의 현황을 분석 하고 보다 효과적이며 내실화된 진동공학 교육을 위해 컴퓨터를 응용하는 방안에 관하여 생각 한다.

  • PDF

Style Jigsaw for Teaching the Coding Style to Novice Programmers (프로그래밍 초보자의 코딩 스타일을 교육하기 위한 스타일 직소)

  • Jung, In-joon;Lee, Yun-jung;Woo, 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414-1417
    • /
    • 2012
  • 현대의 프로그램들은 과거의 프로그램들에 비해 복잡성이 커졌다. 그러한 변화에 따라 협력 프로젝트가 과거에 비해 일반화 되었고, 프로그램의 디버깅이 어려워졌다. 현대의 프로그래머들에게는 원활한 협력 프로젝트의 진행과 쉬운 디버깅을 위해 코딩 스타일 준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프로그래머가 소스 코드를 작성할 때 코딩 스타일의 준수 여부는 가독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프로그래머가 코딩 스타일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해도 눈에 보이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코딩 스타일은 초심자 시절의 교육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효과적으로 코딩 스타일을 교육하기 위한 스타일 직소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스타일 직소 프로그램은 코딩 스타일의 준수 정도 직소 퍼즐 형태로 보여주고, 코딩 스타일이 준수되지 않은 부분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코딩 스타일 교육이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스타일 직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타일 직소를 사용하여 코딩 스타일 교육을 실시하였다. Java 프로그래밍 교과 실습 수업에 스타일 직소 프로그램을 적용시켜 본 결과 64%의 학생이 스타일 직소가 코딩 스타일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고, 52%의 학생이 본 프로그램의 접근법이 흥미로웠다고 답하였다.

Development of Chemistry Experimental Teaching Aid for Software Education Convergence Typ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소프트웨어 교육 융합형 초·중등용 화학실험교구 개발)

  • Kim, Jin-Ha;Son, Min-Woo;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4
    • /
    • pp.769-774
    • /
    • 2019
  •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a software-centered society as of today is a very important, and the training of software utilizing robots has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This study proposes efficient SW convergence education by providing curriculum and contents for science + SW convergence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instruction block coding program. It also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unstructured chemistry experiment teaching aid, We have developed a 'chemical experiment paradigm' that integrates software education that can be linked with other classes.

The Perception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s using Network Graph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한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 분석)

  • Hyo-gyeong Park;Yeon-hwi You;Sung-jung Yong;Seo-young Lee;Il-young Moon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5 no.1
    • /
    • pp.97-105
    • /
    • 2023
  •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any technologies for user convenience are being developed. Among them, interest in autonomous vehicles is increasing day by day. Currently, many automobile companies are aiming to commercialize autonomous vehicles.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government's new and reasonable policy establishment to support commercialization, we tried to analyze changes and perceptions of public opinion through news article data. Therefore, in this paper, 35,891 news article data mentioning terms similar to 'autonomous vehicles' over the past three years were collected and network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jor keywords such as 'autonomous driving', 'AI', 'future', 'Hyundai Mot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automobile', 'industrial', and 'electric vehicle'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autonomous vehicle industry is developing into a faster and more diverse platform and service industry by converging with various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 companies and big tech companies as well as automobile companies and is paying attention to the convergence of industries. To continuously confirm changes and perceptions in public opin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perceptions through continuous analysis of SNS data or technology 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