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공학 교육

Search Result 66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Products Based on Physical Computing (피지컬 컴퓨팅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용 제품 개발)

  • 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3
    • /
    • pp.595-600
    • /
    • 2019
  • Educational tools for infants and younger students are becoming smarter as ICT-based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exten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s the digital interaction function of smart education tools gives students greater immersion and fun, a learning might become a play to the students. The technologies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tools come from the disciplines of robotics, computer engineering, programming, and engineering and mathematical foundations and these can be integrated into the field of education itself. This paper designs and implements a product based on optimized physical computing for R&D and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tool robots used in the field education. It was developed to enable physical education for sensing information processing, software design and programming practice training that is the basis of robot system.

Q-Learning Policy Design to Speed Up Agent Training (에이전트 학습 속도 향상을 위한 Q-Learning 정책 설계)

  • Yong, Sung-jung;Park, Hyo-gyeong;You, Yeon-hwi;Moon, Il-young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4 no.1
    • /
    • pp.219-224
    • /
    • 2022
  • Q-Learning is a technique widely used as a basic algorithm for reinforcement learning. Q-Learning trains the agent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reward through the greedy action that selects the largest value among the rewards of the actions that can be taken in the current state. In this paper, we studied a policy that can speed up agent training using Q-Learning in Frozen Lake 8×8 gri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training results of the existing algorithm of Q-learning and the algorithm that gave the attribute 'direction' to agent movement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Q-Learning policy proposed in this paper can significantly increase both the accuracy and training speed compared to the general algorithm.

A Design on Learner-Centric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ool based on Social Learning (소셜러닝 기반의 학습자 중심형 학습콘텐츠 개발도구 설계)

  • Bae, Ji-Hye;Kim, In-Hwan;Lee, Hyun;Park, Y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418-1420
    • /
    • 2012
  •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보급으로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SNS를 교육적 접근으로 활용한 학습모델의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교육 패러다임에 초점을 맞춰 학습자 스스로 학습콘텐츠를 구성하며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소셜러닝 기반의 학습자 중심형 학습콘텐츠 개발도구의 설계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AI storybook creation system (AI 동화책 생성 시스템 개발도구)

  • Sang-Dong Lee;Park-Ju-Won;Jeong-Ah-Byeon;Choi-Jeong-Yun;Hur-Da-Ge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955-956
    • /
    • 2023
  • AI 기술이 성장하면서 AI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 따라서 미래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해 나갈 인재 유아, 초.중등 교육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지만 아이들이 인공지능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는 아직 부족하다. 아이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개발한다면 본격적인 인공지능 교육 시대가 도래하기에 앞서, 인공지능에 친숙해 질 수 있으며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AI 동화책 생성 시스템' 을 기획하고 개발하였다.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Novel Engineering-based Maker Education (Novel Engineering 기반 메이커 교육을 위한 초등 교육과정 분석)

  • Kim, Ji-Yu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39-24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Novel Engineering(NE) 기반 메이커 교육이 우리나라 초등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방법인지를 분석하여 확인한다. NE는 공학과 문해력의 융합교육으로 책 속에서 문제 상황을 찾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학적 산출물을 만드는 문제 해결 교육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NE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점점 늘고 있으나, 교육과정 적합성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실과 및 국어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하여 NE와 초등 교육과정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 PDF

Virtual Reality Simulator Proposal of Driving Education Model for the Disabled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장애인 운전 교육 모델 제안)

  • Park, Won-Cheol;Kim, Hwang-Rae;Park, Se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111-112
    • /
    • 2022
  • 장애인 운전 지원센터는 지역별 편차가 심하고 인력 부족 등의 문제로 배우고자 하는 장애인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가상현실을 통한 장애인 운전 교육 시뮬레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가상현실 기법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를 구성하고 운전 교육데이터를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실질적인 교육내용을 기준으로 프로세스를 구성하였으며, 제안 모델을 활용하면 운전 교육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도 시뮬레이터를 통한 간접적인 운전을 경험함으로써 삶의 질 또한 향상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VR-based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for Education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국악기 연주 체험 프로그램)

  • Kim, Chae-Rin;Kim, Kyu-Won;Park, Hye-Jin;You, Yea-Won;Oh, U-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38-241
    • /
    • 2021
  • 가상현실은 시·공간을 초월하는 경험이 가능하며 아이들의 몰입감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어 교육 도구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정부는 VR 기기를 전국의 초등학교에 보급하고 있지만, 양질의 교육용 실감형 콘텐츠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국악기 연주 체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Unity의 물리 엔진과 Oculus의 햅틱 기능을 이용하여 전통 국악기 중 편경을 실감 나게 연주할 수 있도록 가상환경을 구현하였다. 리듬 게임 형식을 적용하여 아이들의 흥미 또한 유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국악기를 직접 연주하며 해당 국악기에 대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 Study on Effective Education of Programming Language (효과적인 프로그래밍언어 교육에 대한 연구)

  • Cho, Jae-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2 no.2
    • /
    • pp.30-35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several methods for effective teaching of programing language(especially C). The programing languages are very important and basic subjects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and Science. Many students have some difficulty in learning the programming languages. So, we will suggest several effective methods for effective teaching of programming language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gramming language effectively, we need to teach some basic computer architecture and operation principles of computer program to students. Second, it is better to teach many example-based programing skills instead of conventional grammar teaching. Third, if we teach the memory status(memory allocation/release) during the program operation, it will be much better to understand the pointer variables and memory problems. Fourth, let's improve the programming skills through effective homework assignments and experiments. Fifth, let students be guided so that they do programing by themselves. Finally, we can maximize the programming skill through the final termproject.

  • PDF

Engineering Experiments and Practices on Measurement and Control using Graphical Program (그래피칼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측 및 제어 공학 실험실습)

  • Ghaly, Mikhail;Choi, Seong-J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4 no.1
    • /
    • pp.65-71
    • /
    • 2012
  • This paper introduces computer based practice for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using NI-ELVIS and virtual instruments of LabVIEW as application software. Different laboratory experiments "Labs" will be presented as convenient paradigms of adopting computer based practice for the efficacy of engineering education. Remote labs as web/internet or network-enabled controlled by remote server computer have been extensively used by a number of universities, national laboratories and companies for different kind of application around the globe. Overtime, as technology proceed in its progress, more developed techniques are being used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engineering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