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컨텍스트 모델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Mobile Context Visualizer Design (모바일 컨텍스트 Visualizer 설계)

  • Kim, Wan-Ki;Kim, Moon-Kwon;Cheun, Du-Wan;Bae, Hyun-Joo;Keum, Chang-Sup;Kim, So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08-111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위치, 움직임, 주위 환경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한 컨텍스트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이 능동적으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현재 켠텍스트 인지 모바일 어플케이션에서는 단일 사용자의 현재 컨텍스트에 국한되어 컨텍스트를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컨텍스트 Visualizer에서는 포괄적인 컨텍스트 정보의 활용을 위해 컨텍스트 정보를 개인, 그룹별로 분류하여 보여준다. 또한, 과거, 현재, 미래 컨텍스트 정보를 고려하여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컨텍스트의 활용 범위를 향상시킨다. 이를 위하여 온 논문에서는 모바일 컨텍스트 종류를 설명하고, 이를 보여주기 위한 컨텍스트 Visualizer의 설계를 제시한다. 또한 설계 모델을 기반으로 구현한 프로토타입을 보여주고, Visualizer의 활용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실효성을 보여준다.

Design of the Context Autogenesis Model and Service for Context-Aware in Ubiquitous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컨텍스트-인식을 위한 자생적 컨텍스트 모델과 서비스의 설계)

  • Oh Dong yeol;Oh Hae se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4B
    • /
    • pp.226-234
    • /
    • 2005
  • Context-Aware is the most important facts to reason a personalized and optimized service and to provide it to user. In the previous researches, user and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main facts of Context-Aware and middleware or center server has been proposed to support Context-Aware. In the daily space(for example, home, office, Car, etc), interactions between user and service can be a important facts of Context-Aware. In this paper, Context Autogenesis service model is introduced, simplified the Context-Aware process and designed the middleware which performs decentralize management for Context-Aware information of user's portable devices, so that problems occurred during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existing Context-Aware system can be minimized and supporting user anonymity

Learning Predictive Model of Memory Landmarks based on Bayesian Network Using Mobile Context Log (모바일 컨텍스트 로그를 사용한 베이지안 네트워크 기반의 랜드마크 예측 모델 학습)

  • Lee Byung-Gil;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50-552
    • /
    • 2005
  • 유비쿼터스 환경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장비에서 수집되어지는 컨텍스트 로그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컨텍스트 정보를 사용한 연구는 사용자 모델링에 그 초점을 맞추거나 단순하게 수집된 정보를 정리하여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보여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컨텍스트 로그와 외부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학습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찾아내는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베이지안 네트워크 설계는 사전에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를 요일과 주별로 분류하여 각각에 대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cross validation하여 랜드마크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분류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VM 방법을 사용하여 제안한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랜드마크 예측에 대한 정확도는 주간별로 설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보다 요일별로 설계한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랜드마크를 예측하는데 정화도가 높음을 확인하였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한 방법이 SVM을 사용한 방법보다. 예측에 한 정확성이 우수하였다.

  • PDF

A Conceptual User Model for Context-Adaptive and Personalized Service In Ubiqui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의 컨텍스트 적응형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모델)

  • Kang C.D.;Park J.K.;Park K.L.;Kim S.D.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44-546
    • /
    • 2005
  • 현재의 컴퓨팅 패러다임은 객체간의 대화다. 심지어 인간도 객체의 일부로 보고, 인간의 행동처럼 텍스트로 나타내기 힘든 추상적인 개념들도 관계들을 정의함으로써 온톨로지로 표현할 수 있다. VPW는 이러한 온톨로지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을 표현하고, 이는 컨텍스트 적응형 서비스 객체에게 전달되어 사용자에 맞는 적응형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컨텍스트 적응형 개인화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와 관련된 컨텍스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써 사용자를 현존하는 온톨로지들을 이용하여 VPW 모델링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과 VPW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 PDF

A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he Web and Mobile Environment (웹과 모바일 환경을 연동한 추천시스템)

  • Lee, Se-Il;Lee,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215-218
    • /
    • 2008
  •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사용자들은 좀 더 편리하게 정확한 서비스를 추천 받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들에 부응하여 추천시스템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사용자 환경과 사용자 자신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하며,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획득된 컨텍스트 정보가 사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족하거나 켄텍스트 정보를 모델링하는 방법에 문제가 있을 때에는 서비스의 질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센서를 통하여 획들될 수 있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는 하위수준의 정보를 상위수준의 정보로 모델링한다. 모델링된 컨텍스트 정보는 다시 정량화 단계 후, 웹 환경의 사용자 평가 정보와 결합하여 서비스를 추천한다. 이를 통하여 시스템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추천을 위한 양질의 컨텍스트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A Context-aware Messenger for Sharing User Contextual Information (사용자 컨텍스트 공유를 위한 상황인지 메신저)

  • Hong, Jin-Hyuk;Yang, Sung-Ihk;Cho, Sung-Bae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9
    • /
    • pp.906-910
    • /
    • 2008
  • As the mobile environment becomes widely used, there is a growth on the concern about recognizing and sharing user context. Sharing context makes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more plentiful as well as helps to keep a good social relationship. Recently, it has been applied to some messengers or mobile applications with sharing simple contexts, but it is still required to recognize and share more complex and diverse contex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ext-aware messenger that collects various sensory information, recognizes representative user contexts such as emotion, stress, and activity by using dynamic Bayesian networks, and visualizes them. It includes a modular model that is effective to recognize various contexts and displays them in the form of icons. We have verified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scenario evaluation and usability test.

Context Aware Model for Ubi-Home (Ubi-Home을 위한 Context Aware Model)

  • Kim, Eun-Hee;Kwon, Oh-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457-1460
    • /
    • 2004
  •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기존의 확률 중심의 사용자 패턴 인식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는 다른 컨텍스트(context)들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통합 컨텍스트 인지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에게 가장 익숙하고 보편적인 환경인 홈에서 얻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 분석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컨텍스트 인지 모델을 제안한다.

  • PDF

An Auto-blogging System based Context Model for Micro-blogging Service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컨텍스트 모델 기반 자동 블로깅 시스템)

  • Park, Jae-Min;Lee, Sang-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4
    • /
    • pp.341-346
    • /
    • 2012
  • Social network service is service that enables the human network to be built up on web. It is important to record users' information simply and establish the network with people based on the information to provide with the social network service effectively. But it is very troublesome work for the user to input his or her own information on the mobil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system which classifies users' behavior using context and creates blogging sentences automatically after inferring the destination. For this, users' behavior is classified and the destination is inferred with the sequence matching method using Naive Bayes classification. Then sentences which are suitable for situation is created by arranging the processed context using the structure of 5W1H. The system was evaluated satisfaction degree by comparing the created sentences based on actually collected data with users' intension and got accuracy rate of 88.73%.

A Hierarchical Mobile Context Model and User Context Inference Methods based on Smart Phones (스마트 폰 기반 계층적 모바일 컨텍스트 모델 및 사용자 상황 추론 기법)

  • Lee, Meeyeon;Lee, Jung-Won;Park, Seung Soo
    •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Society
    • /
    • v.24 no.1
    • /
    • pp.19-26
    • /
    • 2011
  • Since smart phones have various embedded sensors and high portability/usability, they have emerged as suitable targets to collect information and to provide intelligent services. That is, with a smart phone, we can collect information about user's circumstances and phone usage from sensors and infer his/her current state which is the significant basis for context-aware services. However, a service system should be founded on a context model to ensure reasonable context-awareness, because context information the system needs depends on its target ser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hierarchical mobile context model for context inference of smart phone users in their daily life. We classify high-level context which can be draw from sensing data into three levels, Context-Behavior-Situation, and define inference methods for each level. With our mobile context model, we can user's meaningful context in his/her daily life besides simple actions or states.

  • PDF

A Context-based Multi-Agent System for Enacting Virtual Enterprises (가상기업 지원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멀티에이전트 시스템)

  • Lee, Kyung-Huy;Kim, Duk-Hyu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2 no.3
    • /
    • pp.1-17
    • /
    • 2007
  • A virtual enterprise (VE) can be mapped into a multi-agent system (MAS) that consists of various agents with specific r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accomplish common goal(s). However, a MAS for enacting VE requires more advanced mechanism such as context that can guarantee autonomy and dynamism of VE members considering heterogeneity and complex structure of them. This paper is to suggest a context-based MAS as a platform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virtual enterprises. In the Context-based MAS a VE is a collection of Actor, Interaction (among Actors), Actor Context, and Interaction Context. It can raise the speed and correctness of decision-making and operation of VE enactment using context, i.e.,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e.g., goal, role, task, time, location, media) of Actors and Interactions, as well as simple data of their properties. The Context-based MAS for VE we proposed('VECoM') may consists of Context Ontology, Context Model, Context Analyzer, and Context Reasoner. The suggested approach and system is validated through an example where a VE tries to find a partner that could join co-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