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컨텍스트 기반 서비스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Multi-Level Mobile Context Model for Complex User Context Awareness (사용자의 복합 상황 인지를 위한 다중 레벨 모바일 컨텍스트 모델)

  • Lee, Meeyeon;Lee, Jung-Won;Park, Se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273-276
    • /
    • 2011
  • 스마트 폰을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 중심의 정보 수집과 상황 인지 및 서비스 제공에 적합한 환경이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환경 상태 또는 행동에 대한 추론보다는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목적과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주변 환경 상태와 사용자의 행동 이력, 현재의 행동 등을 종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예측하고 결정할 수 있는 상황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일상 생활 상에서의 중요한 일정을 추적하여 적합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지식 모델로서 계층적인 모바일 컨텍스트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상-하위 컨텍스트 모델을 세분화하고 의미 있는 컨텍스트를 추가하여 서비스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기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A Design of Effective Architecture for Constructing Services Systems (서비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효율적 아키텍처 설계)

  • La, Hyun-Jung;Kim, Sung-Ahn;Kim, Soo-D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3
    • /
    • pp.137-148
    • /
    • 2008
  • Services system which has been emerging as a new way of application development utilizes services as fundamental units for developing a system. Services system can offer services within web environment as well as the ubiquitous environment where mobile devices are connected to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order to provide the functionality that meets users' requirements, the most appropriate service should be selected among candidate services by taking requests and context information into accou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service system should provide services to users by dynamically adapting to users' requirements and context information. Since different users request same functionality with different context information, one service can be differently offered to users so that variability can happen to the service systems. Most researches on context-aware systems have a tendency to solve dynamic adaptation by using more or less ad hoc manner In this paper, we consider various types of services which are performed according to context information as variability and propose adaptable architecture by applying concepts of product line architecture in order to deal with variabilities systematically.

Rules-based Context Modeling in Smart Phone Environment for Providing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Permission (권한에 따른 차등적 정보 제공을 위한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규칙기반 컨텍스트 모델링)

  • Kim, Mi-Hwa;Choi, Jung-Hwa;Park, Young-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31-134
    • /
    • 2011
  • 스마트 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광고, 개인정보를 QRCode에 삽입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기술이 이슈가 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 발생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공개등급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규칙기반 컨텍스트 모델링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스마트 폰 상에서 QRCode 스캔 시, 정보 주체자의 공개등급을 고려하여 등급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QRCode를 스캔한 사용자이다. 공개등급은 개인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에 대한 접근 권한이다. 컨텍스트 모델은 데이터로부터 컨텍스트를 추상화하고, 규칙을 정의하여 QRCode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토대로 특정인의 프라이버시 정보를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제공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오프라인 상에서의 학회 정보 서비스 도메인에 적용하여 본 시스템의 정확성을 증명한다.

A study of context-aware service design for tourist -Focused on the mobile information service by order of priority of various situation- (여행자를 위한 컨텍스트 인식 기반 서비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상황 별 컨텍스트의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전화 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

  • Yim, Soe-Youn;Jung, Ji-H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27-333
    • /
    • 2006
  • 낯선 환경에서 이동하며 여행하는 여행자들은 문화와 언어 등의 차이로 인해 어려움에 부딪히며 다양한 문제를 갖는다. 그로 인해 만족스러운 여행을 달성하지 못하거나, 안 좋은 추억들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부딪힐 때마다 여행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매 순간마다 찾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만족하는 여행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정보에 대한 니즈가 증대 되었다. 본 연구는 '미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여행자가 만족스러운 여행을 하기 위하여 정보 서비스는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는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였고,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하는 컨텍스트 인식 서비스가 낯선 상황을 매번 접하게 되는 여행자들에게 유용한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행자가 처한 상황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최적의 정보를 휴대전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얻음으로써, 만족스러운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컨텍스트 인식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첫 번째로, 여행자의 상황을 사용자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행위의 단계의 시점으로 보았다. 두 번째로, 여행자들은 목적의 행위단계마다 다른 정보를 사용하며, 원하는 정보의 우선순위는 발생하는 컨텍스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용자 조사의 결과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이를 바탕으로 여행자가 가지는 목적 중 '식사하기'를 중심으로 각 상황마다 여행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휴대전화를 통해 제공하는 컨텍스트 인식 서비스의 방법을 제안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사례에 적용하여 서비스의 컨셉을 구체화하였다.

  • PDF

A Structure of Users′Context-Awareness and Service Processe based P2P Mobile Agent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협력적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P2P 모바일 에이전트 기반 사용자 컨텍스트 인식 및 서비스 처리 구조)

  • 윤효근;양종원;이상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415-418
    • /
    • 2004
  • 컨텍스트 인식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의 주변환경과 상태에 따라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컨텍스트 인식을 위한 정보 수집 도구로는 이동이 편리한 소형 모바일 장치와 그 안에 내장된 모바일 에이전트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모바일 에이전트는 각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집하고 인식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이에 모바일 에이전트의 부하를 줄이고, 빠른 시간내에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 인식을 위한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에이전트에 협력적 필터링 기법과 P2P 에이전트를 혼합한 P2P 모바일 에이전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동일 지역내에서 각 사용자의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비슷한 선호도를 갖는 사용자들로 그룹핑하며, 그룹핑된 사용자는 P2P 모바일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이 구조는 사용자들의 행위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관찰 및 학습하여 새로운 상관 관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 PDF

스마트 홈을 위한 컨텍스트 모델링

  • Kim, Gang-Seok;Song, 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93-196
    • /
    • 2005
  • 스마트 홈은 유비쿼터스 환경의 각종 센서와 정보 가전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Context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적응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스마트 홈에서 거주자 중심의 정태적, 통태적 컨텍스트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트리플 구조 기반의 컨텍스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스마트 홈을 위한 컨텍스트 모델은 표현력이 강력하고, 확정이 쉽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개인화된 서비스를 위한 추론에 용이한 정보 구조를 제공한다.

  • PDF

A Service of Map Information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 지도 정보 서비스)

  • Song, Myeongjin;Kim,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355-358
    • /
    • 2010
  • 모바일 환경이 발전하고 보편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인식하고 추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황인식 서비스는 사용자 및 주변 환경의 상황을 알아내고 공유하여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상황정보는 사용자의 요구와 주변 상황이 수시로 변화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컨텍스트의 수집과 공유를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컨텍스트폰 플랫폼과 컨텍스트 서버를 구현하여 사용자 상황 정보를 시각화 하고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하였다. 상황인식에 대한 연구에는 주로 위치 및 이동에 관한 연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위치정보는 상황인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컨텍스트폰 플랫폼과 컨텍스트 서버,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찾아내어 실시간으로 상대방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알아내어 공유하고 맵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The Design of A Context Mining System to Minimize Users' Direct-Feedback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직접 피드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컨텍스트 마이닝 시스템 설계)

  • Choi Young-Hwan;Lee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63-266
    • /
    • 2005
  • 현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대부분의 시스템이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를 위한 컨텍스트 인식 과정에서 사용자의 직접 피드백을 받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 주변에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기 위해 직접 피드백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 invisible service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닝 기법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프로파일 생성과 갱신, 선호도를 예측하여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텍스트 마이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초기프로파일을 생성할 때만 사용자의 직접 피드백을 이용하고, 사용자 프로파일의 갱신과 선호도 예측, 추천 둥 컨텍스트 마이닝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행동과 사용자와 유사한 그룹의 선호도, 그리고 사용자의 주변 환경과 같은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피드백을 최소화한다.

  • PDF

The Structure of 3-Tirer Context-awareness Processing Server/client based Intelligent Agents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3-Tirer 컨텍스트 인식 처리 서버/클라이언트 구조)

  • Yun, Hyo-Gun;Lee,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4
    • /
    • pp.479-485
    • /
    • 2005
  • Recently, computing technology requires intelligent system structures for context-awarenes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n intelligent system for context-awareness is based on agents, and need sensor information to recognize users and frames to support servic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structure of 3-tier context-awareness processing server/client that can connect dynamically with each sensor and service, and support various context stably The structure of a proposal system is composed of a client class that recognizes uses' context information, a server class that processes realized context information by an application processing agent,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se two classes. Also, in this structure users information is composed of dynamic profile to support exquisite service.

ubiTV Application: Harmonized Media Service for a Family (ubiTV Application: 가족을 위한 조화로운 미디어 서비스)

  • Shin, Choon-Sung;Oh, Yoo-Soo;Jung, Woon-Jin;Yoon, Hyo-Seok;Kim, Young-Mi;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275-280
    • /
    • 2006
  • 본 논문은 스마트 홈에서 다수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화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ubiTV 응용을 제안한다. ubiTV 응용은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고 인식하기 위해 정형화된 컨텍스트를 이용하는 ubi-UCAM2.0 을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ubiTV 응용은 사용자의 상황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위치추적 센서, 출입문센서, 소파센서 그리고 PDA 기반의 리모컨을 활용한다. 그리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인식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영화, 음악, 영상 및 웹 등의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로 구성된다. 이를 기반으로 ubiTV 응용은 사용자의 컨텍스트 및 미디어 콘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추천한다. 또한, 사용자 및 미디어 서비스 간의 협력을 통해 조화로운 서비스 및 콘텐츠 공유를 지원한다. 그리고 파노라믹 영상을 기반으로 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통해 사용자들이 미디어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ubiTV 응용은 현재의 널리 사용중인 미디어 시스템과 달리 다수의 사용자들이 미디어 서비스를 함께 이용하고 관심 있는 멀티미디어를 서로간에 공유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하는 ubiTV 응용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조화롭게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스마트 홈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