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캘리브레이션

Search Result 265,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High Precision Hand Interface (고정밀 핸드 인터페이스)

  • Jang, Yong-Seok;Kim, Yong-Wan;Kim, Kyung-Hwan;Son, Wook-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6-141
    • /
    • 2006
  • 가상 품평 또는 가상 훈련 시스템과 같은 고품질, 고정밀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고정밀 핸드인터페이스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상호작용 기술은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위한 기술로서 저항이나 광학 방식 등의 센서를 이용한 기존 연구에 비해 높은 해상도와 빠른 갱신율을 제공하는 절대 변위 센서를 사용한 고정밀 장갑형 핸드 인터페이스 장치 개발과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주었던 기존의 투박한 실리던형 핸드 모델이 아닌 가변형 스킨매쉬 기법을 적용한 사실적 핸드 모델 가시화 기술 및 복잡하고 잦은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극복하기 위한 2 가지 형태의 간단한 손동작만으로도 정확하고 신속한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지원하는 매니지먼트 툴의 개발을 제시한다.

  • PDF

Real Time Motion Extraction of 3-D Input Device Using Stereo Camera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입력장치 움직임의 실시간 추출)

  • 윤상민;김익재;안상철;김형곤;고한석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341-344
    • /
    • 2001
  • 본 논문은 두 대의 카메라로 제안하는 물체의 색상, 움직임, 형태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물체는 구조상 물체 자체가 캘리브레이션 물체의 역할을 포함하여 캘리브레이션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물체의 3차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3차원 입력 디바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3차원 움직임을 추출하기 위해 먼저 3차원 공간상의 물체와 좌우 영상의 상관관계를 구하고 좌우 즉 영상에서 원이 위치할 탐색영역은 MAWUP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측한다. 탐색영역 안에서 PCA를 사용하여 원의 정확한 위치를 찾으며 좌우 영상에서 얻은 원의 위치와 스테레오 카메라의 기하학적 구조를 종합하여 3차원 움직임을 추출한다. 추출한 3차원 움직임은 가상환경에서 가상 물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Observability of Model Parameters for Robot Calibration (로봇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모델 파라미터의 관측성 연구)

  • 범진환;양수상;임생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4 no.4
    • /
    • pp.64-71
    • /
    • 1997
  • Objective of calibration is to find out the accurate kinematic relationships between robot joint angles and the position of the end-effector by estimating accurate model parameters defining the kinematic function. Estimating the model parameters requires measurement of the end-effector position at a number of different robot configurations. This paper studies the implication of measurement configurations in robot calibration. For selecting appropriate measurement configurations in robot calibration, an index is defined to measure the observability of the model parameters with respect to a set of robot configurations. It is found that, as the observability index of the selected measurement configurations increase the attribution of the position errors to the parameter errors becomes dominant while the effects of the measurement and unmodeled errors are less significant; consequently better estimation of parameter errors is expected. To demonstrate the implication of the observability measure in robot calibration, computer simulations are performed and their results are discussed.

  • PDF

Calibration off multiple-sensor measuring system for efficient visual inspection (형상 검사를 위한 multiple-sensor 측정 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연구)

  • 김승만;손석배;이관행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579-582
    • /
    • 2002
  • In acquiring the surface information of a part, two types of measuring machines have been used: contact type and non-contact type. Since each measuring device has the pres and cons, an integrated measuring system is proposed to acquire the optimal point data. In order to implement the integrated measuring system, the relationship of coordinate systems between each measuring device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paper, a new datum fixture and a calibration method for the multiple-sensor measuring system are proposed. The datum fixture is designed to interface two machines, a CMM and a laser scanner. The position of the datum fixture is calibrated by the axis information off motorized rotation stage which is used for a part setup.

  • PDF

Development of auto calibration system using binary code for CAVE (Binary Code를 이용한 CAVE용 자동 캘리브레이션 장치 개발)

  • Kim, Do-Yoon;Park, Hyun-Keun;Park, Hyun-Woo;Kim, Eun-Mi;Kim, Sang-Yo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875_1876
    • /
    • 2009
  • 여러 대의 프로젝터로 VR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프로젝터에서는 바이너리 코드 영상을 출력하고, 이 바이너리 영상을 주어진 위치에서 밝기값으로 측정하여 랜더링 시스템에 알려주는 형식으로 전체 시스템은 구성된다. 제안된 방식으로 하드웨어를 구성하였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n approach to extract a projected line stripe for object surface sensing using 2-D grid pattern (2차원 격자평면을 이용한 투사된 Line Stripe의 추출)

  • 김신태;장동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656-666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물체위로 투사된 line stripe으로부터 물체의 표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2-D Grip paper를 이용해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카메라의 이미지평면과 카메라의 가시범위에 있는 3차원 실세계간의 Projective Tranformation과정에서는 목표물과 이미지 평면사이의 거리나 각도 등이 정보를 실제로 측정해서 알고 있어야만 카메라와 실세계간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크기나 거리를 알고 있는 Grid paper를 이용하면 카메라의 파라미터들에 대한 추정이나 카메라와 실세계간의 측정을 하지 않고서도 목표물위로 투사된 line stripe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해 물체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미 지평면에 투영된 격자패턴에서 구한 교차점들의 위치를 이용해 실제 위치를 찾아낸다. 실제로 레이져스캐너를 이용해 물체위로 line stripe을 투사한 후, 위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3차원 정보를 구하는 실험결과는 양호하였다.

  • PDF

Analyzing effects of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tterns, size of image files and the number of image files (패턴 개수, 이미지 파일 크기, 이미지 파일 개수가 영상왜곡보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eon, Sang-kyu;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311-314
    • /
    • 2013
  • 방사왜곡, 접선왜곡으로 인해 영상의 왜곡이 발생한다. 왜곡 영상은 시각적인 문제 외에도 영상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치 계산을 통해 영상을 처리할 때, 문제가 되기 때문에 영상을 보정해 주어야한다. 감시 시스템, 로봇의 시각 역할 등 다양한 비전 시스템에서 카메라가 장착되어 왜곡보정에 대한 사용도가 증가 하고 있다. 그리고 한 광각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은 비선형적인 방사 왜곡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왜곡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왜곡된 영상을 올바르게 보정 해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은 영상 좌표계의 한 점이 실세계 좌표계의 어느 위치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보정 변수들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할 때 패턴 개수, 이미지 파일 크기, 이미지 파일 개수가 영상 왜곡 보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을 때 다른 어떤 경우보다 패턴 개수를 비교적 작게 했을 때의 경우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n Eye Gaze Tracking for View Controlling in 3D First Person Shooting Game (3차원 1인칭 슈팅 게임에서의 화면 조정을 위한 시선 위치 추적 연구)

  • Lee, Eui-Chul;Park, Kang-R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73-8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HMD(Head Mounted Display) 하단에 눈동자의 움직임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USB 카메라를 부착한 후, 3차원 1인칭 슈팅(First Person Shooting) 게임에서 게임 캐릭터의 시선방향을 눈동자 움직임에 의해 조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눈동자의 중심 위치를 실시간 영상 처리 방법으로 추출하고, 눈동자의 위치 정보와 모니터상의 응시 지점사이의 기하학적인 연관관계를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며,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 상의 최종적인 응시 위치를 결정하여 이 정보에 의해 게임상의 3차원 뷰(view) 방향을 조정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의 방법에 의해 손이 불편한 사용자에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게임 캐릭터와 게임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서 게임의 흥미와 몰입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결과를 얻음을 수 있었다.

  • PDF

이진 변화탐지 컴포넌트의 개발 및 변화영상의 비교 연구

  • Yu, Byeong-Hyeok;Ji, Gwang-H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31-2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이진 변화탐지 방법상 요구되는 수동적인 자료처리 단계들을 모듈화하고 통합한 '이진 변화탐지 컴포넌트'를 개발하였으며, 대전 지역의 IKONOS 다중시계열 위성영상의 2개 연구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컴포넌트는 ESRI의 ArcGIS 9.x 상에서 설치 및 실행되며, Visual Basic과 GIS 객체 라이브러리의 결합을 통해 구현되었다. 적용된 모델은 Im. J.(2007)의 연구에서 제시된 '캘리브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자동 이진 변화탐지 모델'을 확장 적용한 것으로, 변화영상 히스토그램의 비정규분포를 고려한 누적 생산자 및 사용자 정확도 평가 기법이 최적 임계치 결정에 사용되었다. 다양한 변화탐지 기술들, ID, IR, NCIs, CVA, PCA와 ID, IR의 결합이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되었다. 실험 결과, 개선된 캘리브레이션 기법 적용을 통해 기존 기법보다 향상된 분류정확도를 얻었으며, PC1의 ID가 연구지역의 변화탐지 상에서 가장 우수한 분류 능을 보여주었다.

  • PDF

Impact of Feature Positions on Focal Length Estimation of Self-Calibration (Self-calibration의 초점 거리 추정에서 특징점 위치의 영향)

  • Hong Yoo-Jung;Lee Byung-U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4C
    • /
    • pp.400-406
    • /
    • 2006
  • Knowledge of camera parameters, such as position, orientation and focal length, is essential to 3D information recovery or virtual object insertion. This paper analyzes the error sensitivity of focal length due to position error of feature points which are employed for self-calibration. We verify the dependency of the focal length on the distance from the principal point to feature points with simulations, and propose a criterion for feature selection to reduce the error sensi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