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캐노피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7초

대체 비상탈출 조건을 고려한 초음속 전투기용 캐노피 작동부 구조해석 (Multi-body Dynamic Structural Dynamic Analysis of a Canopy System for Supersonic Fighter Considering Backup Emergency Egress Conditions)

  • 김동현;김동만;김영우;양건명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1-87
    • /
    • 2007
  • In this study, analysis of structural design criteria for the canopy actuating device has been conducted considering the aerodynamic breakaway capabilities of jettisonable canopy system. Unsteady aerodynamic loads for the opened canopy configuration at passively controlled jettision mode were computed using CFD method. The general purpose multi-body finite element code, SAMCEF Mecano, is used in the implemented analyses for the passive jettision condition. The recommended altitude and speed of aircraft was suggested as design criteria of aerodynamic breakaway capability of jettisonable canopy system as a bakup egress method when normal canopy jettison sequence malfunctioned. Aerodynamic breakaway condition of jettisonable canopy was also simulated and the fracture load conditions of canopy actuator were investigated.

부산지하철 3호선 캐노피 디자인의 연구 (A Study on Canopy Design of Busan subway-3rd line)

  • 양성용;홍관선;이유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3-214
    • /
    • 2006
  • Now days subway represents a gateway of the city and a center of transportation. It belongs basic facilities to connect the town and suburbs and has strongly regarded as a means of development of city. but It's time that the subway should be changed to reach the needs which give visitors comfortable space and convenient image to use it and it also has a function of transportation because the present generation have turned an information-oriented and specialized society. So we try to put the essential points as like the followings, designing the CANOPY (Busan subway-3rd line). the first, We create an distinctive image with effect to get a regional self-confidence the second, we make new traffic space including potential energy in new millennium ages the third, we need an effort and experiment to overcome contradiction pointing to unity between varieties. To conclude, we want to create CANOPY subway with an individual characters for Busan and aim at a fine view and improved image of subway for Busan, considering the belows.

  • PDF

Non-cutoff 조명기구가 설치된 주유소의 조명환경 및 빛공해 평가 (Luminous Environment and Light Pollution in Gas Stations with Non-cutoff Luminaires)

  • 공효주;김정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16
    • /
    • 2008
  • 주유소 조명은 안전하고 시각적으로 흥미롭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최근 연구에는 빛공해와 에너지 낭비 때문에 non-cutoff 조명기구를 주유소에 이용되면 안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non-cutoff 조명기구를 사용한 주유소의 조명환경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S-100 휘도계와 Radiant Imaging Prometric-1400을 이용하여 건물표면, 캐노피, 천정, 기둥 및 바닥면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캐노피 조명기구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건물전체 표면휘도가 증가하였으며, Non-cutoff 조명기구를 설치한 연구대상 전체 주유소는 빛공해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주유소 옥외조명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유동박리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a paraglider canopy)

  • 신정한;채석봉;신이수;김주하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9-76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the flow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a paraglider canopy model by tuft visualization. The experiment is conducted at Re = 3.3×105 in a wind tunnel large enough to contain the three-dimensional paraglider canopy model, where Re is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mean chord length and the free-stream velocity. The flow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anopy model near the wing root are similar to those of a two-dimensional airfoil with a cross-section similar to the model. On the other hand, near the wingtip region, the flow separation is suppressed by the downwash induced by the wingtip vortex. As a result, as the angle of attack increases, the flow separation occurs from the wing root region of the canopy model and develops toward the wingtip.

선단돌기가 적용된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유동특성 연구 (Flow Characteristics of a Paraglider Canopy with Leading-edge Tubercles)

  • 신정한;채석봉;신이수;박정목;송진석;김주하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6-114
    • /
    • 2021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paraglider canopy with leading-edge tubercles by performing force measurement and surface flow visualizations. The experiment is conducted at Re = 3.3×105 in a wind tunnel, where Re is the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mean chord length and the free-stream velocity. The canopy model with leading-edge tubercles has flow characteristics of a two-step stall, showing an earlier onset of the first stall than the canopy model without leading-edge tubercles. However, the main stall angle of the tubercled model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canopy model without tubercles, resulting in a higher aerodynamic performance at high angles of attack. The delay in the main stall is ascribed to the suppression of separation bubble collapse around the wingtip at high angles of attack.

광 추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시간 별 파프리카의 수광 및 광합성 속도 분포 예측 (Tim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s of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tic Rate of Paprika Estimated by Ray-tracing Simulation)

  • 강우현;황인하;정대호;김동필;김재우;김진현;박경섭;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9-285
    • /
    • 2019
  • 작물의 일중 광합성량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일중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작물의 정확한 수광량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많은 시간, 비용, 노력이 소요되며, 측정의 어려움이 수반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으나 기존 방식으로는 정확한 수광 예측이 어려웠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일중 시간 별 캐노피 수광 분포와 광합성 속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휴대용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의 구조 모델을 구축하였다. 주변 개체의 유무에 따른 캐노피 수광 분포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작물 모델 별 간격을 60cm로 $1{\times}1$, $9{\times}9$ 정방형 배치하여 광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광합성 속도는 직각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3차원 파프리카 모델 표면의 수광 분포는 오전 9시, 정오, 오후 3시의 태양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캐노피 총 수광량은 $9{\times}9$ 배치로 주변 개체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였고, 태양 고도가 가장 높은 정오에서의 감소율이 가장 적었다. 캐노피 광합성 속도와 $CO_2$ 소모량 역시 수광량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작물 상단부 엽의 광합성 속도 포화로 인해 수광량 변화에 비해 적은 감소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환경 조건에서의 캐노피 수광과 광합성 분포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다양한 재배 조건에서 작물 수광량과 광합성 속도를 예측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배추의 생육 추정 (Estimation of Vegetation for Chinese Cabbage Using Hyperspectral Imagery)

  • 김원준;강예성;김성헌;강정균;전새롬;타파스쿠마;유찬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40-40
    • /
    • 2017
  • 본 연구는 빛의 파장대가 넓어 보다 다양한 접근과 검출이 가능한 초분광 카메라 (VNIR spectral camera PS, SPECIN Filand)를 이용하여 정식시기가 다른 배추를 생육단계별로 영상을 취득한 후 배추 캐노피의 전 파장 (400~1000nm)으로 생육 추정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식시기가 다른 배추를 생육단계별로 초분광 카메라로 영상을 취득한 후 취득된 영상 ($348{\times}1040$)을 ENVI (ver. 5.2, Exelis Visual Information Solutions,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식생지수 NDVI로 작물과 배경을 구분하였다. 배추 캐노피 영역에 전 파장을 산출한 후 반사판 영역의 전 파장을 이용하여 광 보정된 반사율을 산출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인 R Project (ver.3.3.3, Development Core Team, Vienna, Austria)를 이용하여 배추의 반사율과 계측한 생육 정보를 PLSR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분석하여 정확도($R^2$) 및 정밀도 (RMSE [g,cm,count], RE [%])로 나타내었고 그 모델은 full-cross validation (FV) 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정식시기가 다른 배추의 모든 생육단계의 생육정보를 이용하여 PLSR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결과 엽장을 추정한 모델의 $R^2$는 84% 이상의 정확도와 RMSE 3.2cm 이하의 좋은 정밀도를 보였다. 엽폭을 추정한 모델의 $R^2$는 73% 이상의 정확도와 RMSE 3.5cm 이하의 정밀도를 보였고 엽수를 추정한 모델의 $R^2$는 93% 이상의 정확도와 RMSE 6.3Count 이하의 정밀도로 보여 캐노피의 전 파장을 이용해 생육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이 모델들의 타당성 검증에서도 좋은 정확도와 정밀도를 보였다. 그러나 배추의 중요한 생육인자 중 생체중을 추정한 모델의 $R^2$는 89% 이상으로 정확도가 높았으나 RMSE 571.1g 이하로 낮은 정밀도를 보여 생체중을 정확히 추정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다른 통계분석방법으로 전 파장과 생육정보를 분석하거나 특정 밴드를 선택하여 산출한 식생지수를 이용한 추정 모델의 개발을 통하여 오차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추후 반복 실험하여 분석한 추정 모델과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환경 및 생물 조건에 범용성을 가진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PDF

부산시민공원의 벤치 및 파고라 이용자 행태 특성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and Preferences of the Bench and Pergolas in Busan Citizens' Parks)

  • 왕단;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658-670
    • /
    • 2018
  • 본 논문은 부산시민공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공원내 벤치 및 파고라를 포함한 휴게시설의 종류 및 유형을 파악하고, 공원 방문객의 벤치 및 파고라의 이용 행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벤치 및 파고라의 이용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과 선호도에 대해 분석함으로서, 휴게시설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통해 벤치 및 파고라의 종류 및 유형, 평가요소 등을 살펴본 후, 현장조사를 통해 공원전체의 벤치와 파고라, 캐노피 등의 휴게시설물의 유형, 위치, 개수를 파악하였다. 또한, 벤치이용자의 행태를 월별과 오전, 오후로 행태분석맵을 작성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 벤치 및 파고라에 대한 선호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가지 벤치 유형 중에서 시민들의 선호도 점수 비율이 가장 높은 벤치 유형은 돗자리와 햇볕 차단 캐노피+돗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돗자리와 관련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요소는 환경성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기능성과 지역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햇빛을 가리는 파고라나 캐노피가 있는 공간에서 돗자리를 펴고 식사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한국적 이용 행태가 매우 일반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심공원에 무작위적으로 벤치나 파고라 등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특성에 따른 행태 및 선호를 고려하여 벤치 및 파고라 배치 및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 준다.

NDWI를 활용한 한반도 지역의 산림 캐노피에 대한 water stress 평가 (A water stress evaluation over forest canopy using NDWI in Korean peninsula)

  • 성노훈;서민지;이경상;이창석;김현지;최성원;한경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7-83
    • /
    • 2015
  • 잎의 수분 함유량은 식물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 중 하나로써, 이를 원격탐사를 활용 하여 모니터링 하는 것은 산림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 캐노피의 수분량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지수인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를 이용하여 한반도 산림의 water stress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SPOT/VEGETATION S10 채널자료를 1999년부터 2013년까지 취득하여 NDWI 를 산출하였고, 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단순이동평균, NDWI의 시간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 여standardized anomaly를 수행했으며, 직관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NDWI anomaly를 등급화 하였다. 또한 피해면적 150 ha 이상의 대형 산불과 비교 검증을 통해, 산림 캐노피의 water stress 평가 인자로서 NDWI의 적합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 기간 중 대형 산불은 총 24회 발생하였으며 모든 발생 지점 및 인접 지역에서 음의 anomaly가 나타났다. 특히 NDWI anomaly의 등급이 'high'일 경우 대형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속도로에서의 환기${\cdot}$방재특성을 고려한 연속터널 설계사례

  • 김영근;김우성;김남영;이호석;김일환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7-5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동해고속도로 설계시 나타난 연속터널을 대상으로 하여 터널내 오염농도 해석 및 터널내 오염농도의 거동 및 터널 갱구부 주변의 오염물질의 재유입 여부를 분석하여, 연속터널에 대한 터널내 외부유동에 대한 환기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속터널 연결부에서의 캐노피 설치방안, 결빙대책 및 조도순응대책 등을 검토하여 연속터널에서의 환기 및 방재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고속도로설계가 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