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카메라배치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for Geometric Calibration Accuracy of Zoom-lens CCD Camera (줌렌즈 CCD 카메라의 기하학적 검정 정확도 평가)

  • 유환희;정상용;김성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3
    • /
    • pp.245-254
    • /
    • 2003
  • Zoom lenses CCD(Charge Coupled Device) cameras have many desirable features but appear to be geometrically unstable and diffcult to calibrate. It is well blown that the zooming camera parameters change with zoom lens position.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study of two approaches, namely,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 introduced by Abdel-Aziz and Karara and the model proposed by Tsai, to evaluate the camera parameters of zoom lenses CCD camera and 3D positioning accuracy. As a result, the accuracy for 3D positioning using Tsai and DLT model is similar in both methods when the set of GCPs and the object are arranged in the same space. However, Tsai model is more stable than DLT in the case that the object is apart from the set of GCPs. Also, the further study for the parameters optimization of conventional DLT is needed to improve accuracy for 3D position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Ubiquitous (u-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Hyun-Chul;Kim, Young-Gu;Kim, Jung-Jae;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5-498
    • /
    • 2009
  • 유비쿼터스 시대에서 요구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기술 즉 인프라이며 이를 이용한다면 다양한 시설물에서의 침입자에 대한 감시, RFID를 이용한 효율적인 인력배치에 응용이 가능하고 또한 온도, 조도, 연기 센서 등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화재 및 테러에 대해 조기에 인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이 적용되는 대상은 침입탐지를 감시해야 하는 구역, 보안감시 대상이 되는 구역, 위험물 관리와 같은 구역으로 분류하여 구역의 특성마다 센서와 카메라, Tag와 센서(Hybrid Reader)기술 등을 하나의 센서노드로 융합하여 관리대상에 이상유무가 있을 경우 빠르게 대처하거나, Tag와 센서(Hybrid Reader)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USN을 구성한다.

  • PDF

Mask R-CNN based Priority Object Image Stitching (Mask R-CNN을 활용한 Priority Object 영상 스티칭)

  • Rhee, Seong Bae;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7-50
    • /
    • 2020
  • 최근 Panorama와 360도 영상이 대표되는 몰입형(Immersive) 미디어 콘텐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몰입형 영상 콘텐츠는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제공해야 하지만, 촬영 카메라 간의 시차(Parallax)로 인해 영상 콘텐츠에서 시차 왜곡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콘텐츠 몰입을 제한하기 때문에 해당 영상 콘텐츠의 제작 기술인 영상 스티칭의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스티칭 영상의 시차 왜곡을 줄이기 위하여 다중 호모그래피 추정 방법과 Seam Optimization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영상 내 사물 배치에 따라 기술 적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Mask R-CNN을 활용하여 사물을 세그먼트화하고, 사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가중치 적용을 통해 시차 왜곡을 방지하며, 영상 내 사물의 배치에 따라 시차 왜곡이 발생할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인지 중요도가 낮은 사물로 시차 왜곡을 유도하는 영상 스티칭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he Dynamic Stereo Vision System for Recognizing a Position in the 3-D Coordinates (3차원 좌표계 위치 인식을 위한 동적 스테레오 비젼시스템 개발)

  • Seo, K.W.;Min, B.R.;Kim, W.;Kim, D.W.;Lee, C.W.;Lee, D.W.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478-483
    • /
    • 2003
  • 대상물의 인식 및 위치 검출에는 영상처리기술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로봇의 작업성능은 대상물의 위치를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고 검출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작업현장에서 대상물의 배치, 크기 및 형상 등이 일정하지 않고 작업환경 또한 다양하여 외부의 영향을 많기 받기 때문에 정확한 로봇의 시각장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이 카메라 2대를 이용할 스테레오 비전이다 하지만 정확한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해서 세밀한 보정이 필요한 실정이며 보정에 있어서도 두 카메라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오차가 발생한다. (중략)

  • PDF

Multi-view Stereoscopic Image and Synthesis and Interpolation Methods for Progressive Image Retrieval (점진적 영상 검색을 위한 다시점 입체 영상의 합성과 보간 기법)

  • 최미란;박대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35-138
    • /
    • 1997
  • Multi-view 영상 DB의 surround view 입체 화상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영상 정보를 효과적으로 합성, 보간하는 방법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다시점 입체 영상의 표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론적으로는 충분한 개수의 카메라를 상하 좌우로 배치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보는 이의 위치에 가장 적합한 영상을 선택하여 표현하면 된다. 이 경우 많은 수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방대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처리, 전송, 설치 문제 등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블록 매칭과 같은 3D 구조 추정에 기초하여 블록 단위의 깊이 정보와 텍스쳐 정보의 추출, 다시점 영상 set의 가장 왼쪽 영상으로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한 줄씩 쌓아서 얻어진 EPI(Epipolar Plane Image)에 기초한 유사 영상 값의 자취선 탐색 방법에 의한 시차와 텍스쳐 정보 추출로 전체 다안화상을 다해상도로 표현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다해상도의 영상 표현과 점진적 전송 방법을 통해 다시점 영상 검색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모델링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ereo Video Avatar using Projective Texture (투영 텍스처를 이용한 스테레오 비디오 아바타)

  • Rhee, Seon-Min;Park, Ji-Young;Kim, M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1 no.4
    • /
    • pp.34-3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대형 스크린 기반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비디오 아바타 생성 기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대형 스크린 기반 가상 환경에서는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빛의 변화 때문에 정적 배경을 보장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 위치 설정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환경 내에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비디오 아바타를 생성하기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및 필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 영역을 쉽게 정의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란히 배치된 컬러 영상에 실루엣 마스크를 적합하여 배경이 제거된 사용자 컬러 영상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생성된 스테레오 비디오 아바타 영상은 투영 텍스처를 이용하여 보정된 후 가상세계에 투사되어 입체 디스플레이 된다. 제안된 기법은 일반적인 카메라를 이용하고 있으며, 간단한 조명 조건만 설정해주면 기존의 대형 스크린 기반 프로젝션 환경을 변형하지 않고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활용도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영상과 비디오로부터의 가상 시점 영상 생성 기술

  • Baek, Hyeong-Seon;Park, In-Gy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6 no.4
    • /
    • pp.11-22
    • /
    • 2021
  • 실감형 미디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시점 영상 또는 비디오들로 구성된 대용량의 콘텐츠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콘텐츠는 다량의 카메라들을 목적에 따라 배치하여 획득하므로 영상 구성의 복잡성과 콘텐츠의 크기가 급격히 커진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3D 미디어 환경에서 카메라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목적에 맞게 다양한 시점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시점 영상 생성은 핵심적인 기술이다. 본 기고문에서는 다시점 영상과 비디오로부터 학습 기반의 가상 시점 영상 생성 연구들에 대해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가상 시점 영상 생성에 대한 배경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제안하는 분류 방식에 따라 기존의 제안된 방법들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셋째, 가상 시점 영상 생성에 주로 사용되는 관련 데이터셋을 조사한다. 마지막으로는 각 연구들이 갖고 있는 특징들을 분석하고, 정량적, 정성적 평가 결과를 비교한다.

플라즈마 공간분포 측정을 위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토모그래피 진단법 개발 및 부유탐침 진단 결과와의 비교 분석

  • Jang, Si-Won;Lee, Seung-Heon;Cho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00-100
    • /
    • 2010
  • 토모그래피는 플라즈마 물리학뿐만 아니라 의료영상이나 천문학 등의 분야에서 오랫동안 이용되어 온 기법으로 직접 들여다 볼 수 없는 단면을 선적분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지적인 데이터를 재구성해내는 영상진단 방법이다. 플라즈마 물리학의 경우 공간적으로 검출기 배열을 균일하게 배치할 수 없으므로 토모그래피 기법에 균일화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hillips-Tikhonov 균일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Phillip-Tikhonov 균일화 방법은 인접한 픽셀 사이의 구배(gradient)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단면영상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다른 토모그래피 알고리듬에 비해 훨씬 더 정확한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의 공간분포 진단을 위하여 토모그래피 진단법과 부유탐침 진단법을 사용하였다. 플라즈마의 선적분된 방출광을 디지털카메라로 측정한 후 Phillips-Tikhonov 토모그래피 방법으로 재구성하여 플라즈마의 국지적인 공간분포를 알아내었다. 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유탐침 진단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전자온도가 위치에 따라 일정한 상태에서 부유탐침을 통한 밀도분포와 토모그래피 진단법에 의한 플라즈마 방출광 세기의 공간분포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플라즈마의 국지적인 공간분포 진단을 위한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토모그래피 진단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ISpace with Distributed Intelligent Network Devices for Multi-object Recognition (다중이동물체 인식을 위한 분산형 지능형네트워크 디바이스로 구현된 공간지능화)

  • Jin, Tae-Seok;Kim, Hyun-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950-953
    • /
    • 2007
  • The Intelligent Space(ISpace) provides challenging research fields for surveillance, human-computer interfacing, networked camera conferencing, industrial monitoring or service and training applications. ISpace is the space where many intelligent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sensor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cooperation of many intelligent devices, the environmen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system know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offer the useful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we present a method for representing, tracking and human following by fusing distributed multiple vision systems in ISpace, with application to pedestrian tracking in a crowd.

  • PDF

A study for controlling indoor Networked Drone based on BLE Beacon (BLE Beacon을 이용한 실내 Networked Drone의 제어기술에 대한 연구)

  • Kim, Soohyuk;Jeong, Dongeon;Kim, Yunho;Park, Yechan;Choo, Hyunse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6.10a
    • /
    • pp.837-838
    • /
    • 2016
  • 최근 Io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홈 기술의 발달과 Drone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홈 시스템의 보안카메라는 정해진 구역을 모니터링 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로 실내에 미리 배치된 Drone이 이동하여 해당 목적지를 비춰줄 수 있도록 실내 보안카메라 기술을 Drone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목적지를 인식하기 위해 실내에 위치한 Drone과 목적지의 위치값을 알아야 한다. 실내에선 GPS 좌표값을 알 수 없기 때문에 BLE Beacon이 발생시키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통해 위치, 거리를 계산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을 적용시킨다면 매번 모니터링이 필요한 구역에 새로 보안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배선공사하는 불편함 없이 하나의 Drone 하드웨어를 이용한 전방위 모니터링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