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 치료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초

형태학적 연산과 선분 근사화를 이용한 침 검출 (Needle Detection by using Morphological Operation and Line Segment Approximation)

  • 장경식;한수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785-2791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한방 치료에서 피부에 직침된 침의 제거를 위한 침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명암도 영상에서 형태학적 열기 연산을 이용하여 침 후보 영역이 검출되고 크기 정보 등을 이용하여 거짓 침 후보 영역이 제거된다. 각 후보영역에서 canny 에지 검출기를 사용하여 에지 점들을 찾고 이들 점들을 선분으로 근사화한다. 선분들의 방향과 선분간의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형태학적 분석을 통해 두 개의 주요 선분을 찾고 침 머리 부분을 검출한다. 119개의 침이 직침된 16개의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 97.5 %의 검출율을 얻었다.

전열침 시술에 호전되지 않는 요통환자에 대한 봉독약침 치료 증례보고 2례 (The Two Cases Report of Bee Venom Injection on Patient with Low Back Pain Maintaining after Heating-Conduction Acupuncture Therapy)

  • 연창호;박현건;이운섭;김종연;정석희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1
    • /
    • 2012
  • 장요인대 염좌 환자 2명에게 전열침 치료를 시행하여 통증 강도가 증가하였지만 봉독약침 치료를 시행한 후 통증 강도와 요추 가동범위 및 이학적 검진상에서 호전되었음을 보고한다. 이와 같이 봉독약침에 의해 호전 될 수 있는, 염증성 병변을 내재하였거나 진행 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한 사전의 감별 진단에 대한 연구 및 전열침 치료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추후에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낭성 난소 소견을 동반한 비만여성 경지(經遲) 치험 1례 (A Case Study on Obese Patient with Oligomenorrhea and Polycystic Ovary)

  • 김동환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1-108
    • /
    • 2008
  • 다낭성 난소 소견을 동반한 비만 여성 환자의 경지(經遲) 증상을 한약 처방과 침, 이침(耳針), 전기지방분해침,식이조절, 운동요법 등의 생활습관교정 등의 한방 비만 치료와 한약 처방, 침, 좌훈요법 등을 이용한 한방 조경(調經) 치료를 시행하여 유효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구강운동촉진기술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구강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 단일 사례 연구 (The Effect of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OMFT) on Oral Praxis of Down Syndrome Child : Case Study)

  • 민경철;서상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3-160
    • /
    • 2021
  •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구강운동치료 접근법인 구강운동촉진기술(OMFT) 치료법을 소개하고, 다운증후군 아동 사례를 통해 구강감각운동 치료 접근이 구강실행기능 및 구강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구강운동촉진기술은 치료사의 직접적인 치료 접근을 통해 얼굴 구강 구조물들의 감각, 근력, 근긴장도, 구강운동 협응증진을 통한 섭식 및 구강실행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구강운동 치료법이다. 대상 아동은 다운증후군 남자 1명(10세)으로, 2020년 5월~7월, 주 1회, 15분의 구강운동촉진기술 치료(8회)를 하였으며, 치료 전 후 구강실행기능, 침흘림, 씹기 기능을 비교하였다. 치료 결과 구강실행기능의 모든 항목에서 수행이 증진되었다. 침 흘림의 양과 빈도가 감소하였고 씹기 기능의 질적인 증진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강운동촉진기술을 적용한 구강운동치료 접근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구강실행기능 및 씹기 기능 증진과 침 흘림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폐색에 대한 심의혈(心醫穴)의 임상 효과 (Effect of Sim-eui Point on Allergic Rhinitis, Rhinosinusitis, and Other Causes of Nasal Obstruction)

  • 권효정;김재규;이상훈;김창환;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10
  • 목적 : 이 연구는 알레르기 비염 또는 비부비동염으로 인한 비폐색증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 신혈인 심의혈의 임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 2009년 9월 22일부터 11월 3일까지 2회 이상 경희의료원 동서비염클리닉에 내원하여 침 치료를 받은 비염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배정방법에 따라 실험군 또는 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routine 혈위인 신회 상성 신정 양두유 양찬죽 양지창에 심의혈을 추가하였고, 대조군은 routine 혈위에 양영향을 추가하였다. 유침 시간은 각 군에서 15분간으로 하였다. 유효성 평가 도구로는 SNOT-20를 사용하여 비염의 전반적 증상 점수 변화를 측정하였고, VAS를 사용 하여 비폐색 완화 효과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평가시기는 치료 전후로 하였고, 통계분석은 치료 전후 SNOT-20 차이의 경우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VAS 비교는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기경팔맥의 임상활용에 대한 소논문 (A Review on the Clinical Use of the Eight Extra Meridians)

  • 권효정;박동석;남상수;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03-113
    • /
    • 2009
  • 목적 : 기경팔맥의 임상활용을 위하여 기경팔맥의 개요와 기경팔맥을 이용한 침 치료법의 장점과 기존의 침 치료와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기경팔맥의 기원과 학문적 이론의 체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학술정보(주)를 통해 검색한 국내 논문 9편을 참고하고, 기경팔맥을 이용한 치료법에 관한 국내외 서적 2편을 수집하였다. 또한 MedLine에서 기경팔맥을 이용한 치험례와 임상연구에 대해 영어로 작성된 논문 2편을 소개하였다. 결론 : 기경팔맥을 이용하면 정경 치료와 달리, 통증 등의 실체가 있는 질환에 대해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는 치료를 소수의 혈자리 자침으로써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병증과 경락 유주 사이의 공간적 불일치가 있거나, 복잡한 정황으로 인해 사진(四診)을 통한 변증이 어려운 경우에 팔맥교회혈 또는 영구팔법 등의 기경팔맥을 이용한 치료를 사용할 수 있다.

  • PDF

폐경 후 여성의 전단계 및 1기 고혈압에 대한 침 치료: 다기관 무작위 대조 예비연구 (Acupuncture for Prehypertension and Stage 1 Hypertension in Postmenopausal Women: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 김정은;최진봉;김형준;강경원;류연;정희정;이민희;신미숙;김재홍;최선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1호
    • /
    • pp.5-13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전단계 및 1기 고혈압에 해당하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침 치료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적정 치료 횟수를 탐색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연구이다. 방법 : 네 군, 무작위 배정, 공개 예비연구가 두 임상연구센터에서 진행될 것이다. 총 60명의 대상자가 두 치료군과 두 대조군에 배정되게 된다. 치료군의 대상자는 통상적 관리와 함께 8개 혈위(양측 풍지, 곡지, 족삼리, 삼음교)에 치료군 A는 4주간 10회, 치료군 B는 8주간 20회 침 치료를 받을 것이다. 대조군의 대상자는 침 치료를 받지 않고 대조군 C는 16주간, 대조군 D는 20주간 통상적 관리를 하게 된다. 각 대상자의 생활습관은 교정될 것이며 혈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은 금지될 것이다. 치료군 A와 대조군 C는 무작위 배정 4, 8, 12, 16주 후에, 치료군 B와 대조군 D는 무작위 배정 4, 8, 12, 16, 20주 후에 평가를 받을 것이다. 주요결과변수는 무작위 배정 4주 후 이완기 혈압 변화량이다. 보조결과변수는 (1) 무작위 배정 8, 16, 20주 후 이완기 혈압 변화량, (2) 수축기 혈압 변화량, (3) 혈압 조절률, (4) 지질대사지표, (5) 고감도 C-반응단백이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혈압 조절에 대한 침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관한 근거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침자극에 의한 안정성 네트워크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Regional Homogeneity와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의 변화 비교: fMRI연구 (Changes of Regional Homogeneity and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 on Resting-State Induced by Acupuncture)

  • 여수정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0권3호
    • /
    • pp.161-170
    • /
    • 2013
  • 목적 : 침치료는 침자극을 가한 뒤, 발침한 뒤에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침연구에 있어서 침자극을 가하고 발침한 뒤에 나타나는 침의 반응을 관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침자극 후의 반응을 관찰하여 발침 후에 뇌에 미치는 침의 반응을 관찰하였다. 방법 : 침자극에 의하여 나타나는 안정성 네트워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사용하여 12명의 건강인을 대상으로 우측 양릉천 혈자리에 자침한 후, 침자극 전후의 뇌를 촬영하였다. 그리고 regional homogeneity(ReHo)와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ALFF)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 ReHo와 ALFF에서 공통적으로 안정성 네트워크가 증가된 영역은 좌우측 중전두이랑, 좌측 내측전두이랑, 좌측 상전두이랑, 그리고 우측 뒤쪽 띠이랑의 뇌부위였다. 특히 ReHo분석 결과 섬엽, 앞쪽 띠이랑과 선조체에서 안정성 네트워크가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들 영역은 침의 진통작용과 관련된 영역들이다. 하지만 ALFF 분석결과에서는 이들 영역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ReHo와 ALFF 모두에서 침자극에 의한 안정성 네트워크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ReHo분석을 통하여 침자극에 의한 진통관련 영역들의 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기침이 급만성 결박스트레스로 유도된 스트레스호르몬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Plasma Stress Hormone Responses to Acute and Chronic Immobilization Stress)

  • 정은우;김현식;이상관;김민수;조장희;성강경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5호
    • /
    • pp.105-115
    • /
    • 2010
  • 목적 : 침은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으며 고혈압, 당뇨, 정신질환 등을 포함한 스트레스성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다. 결박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코스테론, 멜라토닌)의 혈장 농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스트레스 요인이다. 본 연구는 결박 스트레스를 시행한 백서의 스트레스 호르몬의 혈중 농도에 대한 전기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 결박 그룹은 2시간의 결박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결박 스트레스 및 고주파수 전침그룹과 결박 스트레스 및 저주파수 전침그룹은 결박 스트레스와 고주파수 전침, 또는 결박 스트레스와 저주파수 전침을 동시에 각각 시행하였다. 급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결박 스트레스를 1차례, 만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7차례 시행하였다. 전기침 자극에는 우측 족삼리($ST_{36}$)를 사용하였다. 결박 스트레스 및 전기침으로 유도된 코르티코스테론과 멜라토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결박 스트레스 및 전기침 자극이 시작된 30분, 60분, 90분, 120분 후에 백서를 단두하여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결과 : 급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고주파수 전침그룹의 코르티코스테론 혈장 농도가 증가하였고 멜라토닌 농도의 시간적 패턴을 변화시켰으나 저주파수 전침그룹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만성 스트레스 유발 시에는 고주파수 전침그룹의 혈장 코르티코스테론과 멜라토닌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저주파수 전침그룹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전침이 결박 스트레스로 유도된 스트레스 호르몬의 혈장 농도 및 시간적 분비패턴을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스트레스 호르몬 반응을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 주파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