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투종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1초

광조사 방식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RRADIATION MODES ON THE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박은숙;김기옥;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4호
    • /
    • pp.263-272
    • /
    • 2001
  • 저광도 중합법, 펄스 지연 중합법, 초고광도 중합법 등의 광조사 방식이 광중합형 복합레진 수복물에서의 중합수축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in vitro에서 미세 누출 실험을 하였다. 80개의 발거된 소구치의 협측면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600mW/$cm^2$로 30초간 광조사하는 보통 광도 중합군, 300mW/$cm^2$로 60초간 광조사하는 저광도 중합군, 400mW/$cm^2$로 2초간 광조사하고 5분간 기다린 후 800mW/$cm^2$로 10초간 최종 중합시키는 펄스-지연 중합군, 그리고 1930mW/$cm^2$의 광도로 3초간 광조사하는 초고광도 중합군 등의 4개의 군으로 나누어 hybrid 형의 광중합복합레진을 충전하고 각 군의 방법대로 중합한 후, 변연의 0.5mm 외부에 nail varnish를 도포하고 37$^{\circ}C$, 2% met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켰다. 시편을 아크릴릭 레진에 매몰한 후 수복물의 중앙에서 종절단하여 입체현미경하에서 그 단면을 관찰한 후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으로 나누어 색소의 침투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펄스 지연 중합군의 색소 침투도는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보통광도, 저광도 및 초고광도 중합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상아질 변연에서 초고광도 중합군은 보통광도 중합군과 저광도 중합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색소 침투도를 보였다(p<0.05). 3. 법랑질 변연에서의 4개 군의 색소 침투도는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모든 군에서 상아질 변연에서의 색소 침투도는 법랑질군에서의 색소 침투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関)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学的) 해석(解析)(I) - Pressure Chamber Technique에 의한 내건성(耐乾性) 수종(樹種)의 진단(診㫁) -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 -I. The Diagnosis of Tolerant Tree to Drought by the Pressure Chamber Technique)

  • 한상섭;김광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5-28
    • /
    • 1980
  • 본 연구(硏究)는 잣나무, 젓나무, 은행나무의 내건성(耐乾性)의 관계((関係)하는 수분특성(水分特性)의 저요인(諸要因)을 pressure chamber technique에 의해 1980년(年) 8월(月) 10일(日)부터 9월(月) 4일(日)에 걸쳐 측정, 그 결과(結果)를 고찰(考察)한 것이다. 지엽(枝葉)의 최대포수시(最大飽水時)의 침투압(浸透圧)(${\pi}_0$),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点)의 침투압(浸透圧)(${\pi}_p$) 및 상대함수율(相対含水率)(RWC), 총(総) symplasmic water(Vo)에 대한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点)의 생세포군(生細胞群) 함수량(含水量)(Vp)과의 비(比)(Vp/Vo)등을 비교(比較)할때, 젓나무는 잣나무보다 선천적(先天的)으로 내건(耐乾)에 강(強)한 지엽(枝葉)의 수분특성(水分特性)을 갖고 있으며, 은행나무는 이들 양수종(両樹種) 보다 강(強)한 내건성(耐乾性)임을 시사(示唆)했다.

  • PDF

사석구조물(捨石構造物)의 안정성(安定性)에 관한 수리모형(水理模型)의 축척효과(縮尺効果) (Scale Effects of Stability Parameters in the Hydraulic Model Tests of Rubble Mound Coastal Structures)

  • 류청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11-119
    • /
    • 1987
  • 해안구조물(海岸構造物)의 안정성(安定性)과 사면상(斜面上)의 반사파(反射波), run-up, run-down 등 흐름특성(特性)에 대한 모형(模型)의 축척효과(縮尺効果) 발생(發生) 메카니즘과 그 제어(制御) 방법(方法)을 7종(種)의 축척모형(縮尺模型)에 의해 실험적(實驗的)으로 연구(硏究)하였다. 그 결과(結果), 종래(從來)의 많은 연구자(硏究者)들이 소홀히 해 왔던 구조물(構造物) 내부(內部)의 침투류(浸透流) 특성(特性)의 상사(相似) 여부(如否)가 축척효과(縮尺効果) 발생(發生)의 가장 중요(重要)한 요인(要因)임을 지적(指摘)하였다. 해안구조물(海岸構造物) 가운데서 특히 투과성(透過性) 구조물(構造物)의 축척효과(縮尺効果) 제어(制御)를 위해서는 피복층(被覆層), filter층(層), 피복층(被覆層)에 가까운 core부(部)의 침투류(浸透流) Reynolds수(數)가 각각(各各) Re > $2{\times}10^4$, $Re_f$ > $3{\times}10^3$, $Re_c$ > $1{\times}10^3$인 조건(條件)을 만족하도록 구조물(構造物) 각(各) 층(層)의 축척(縮尺)을 결정(決定)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강조(强調)하였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I. 침투성 살충제의 수간주입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VII. Improvement of the Trunk Implantation Methods of Systemic Insecticides)

  • 최승윤;박형만;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1-194
    • /
    • 1982
  • 본 시험은 Omethoate (Folimat) 외 6종의 침투성 살충제를 공시하여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관행 Drilltlr 수간주입방법을 보다 성력적인 방향으로 개량코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osalone$(Rubitox^{(35)}\;EC)$을 제외한 Omethoate $(Folimat^{(R)}\;50\;EC)$, Vamidothion (Kilval 40 EC), Methamidophos $(Tamaron^{(R)}\;60\;SL)$, Phosphamidon $(Dimecron6{(R)}\;50\;EC)$, Monocrotophos $(Nuvacron^{(R)}\;24\;EC)$ 및 Dimethoate $(Roger^{(R)}\;50\;EC)$의 수간주입은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2. 관행 Drill 식 수간주입과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간에는 그 효과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3. 관행 Drill식 수간주입에서 주입공의 상처회복율은 $14\%$인데 비하여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에서는 $100\%$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량 Mauget식을 도입하므로서 보다 성력적인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본다.

  • PDF

국내등록사용중인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의 감수성 (Susceptibility of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Homoptera: Aleyrodidae) against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창우;김정화;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5-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8종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만이 90%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chlorpyrifos-methyl, imidacloprid, pyripoxyfan, acetamiprid+ethofenprox가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acephate, fenitro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의 berfurcarb, furathiocarb, 피레스로이드계의 bifen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 ethofenpox, ethofenprox+ diazinon, furathiocarb+ diflubenzuron, triazamate+${\alpha}$-cypermethri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등이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처리후 11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전착제를 혼용한 2 종 살균제의 내우성 (Rainfastness of Two Fungicides Tank-mixed with Spreader-sticker)

  • 최윤경;유주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3-208
    • /
    • 2009
  • 살균제 dithianon과 chlorothalonil 수화제 현탁액에 기존의 전착제와 콩기름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험용 내우성 증진제를 각각 혼합하여 고추잎에 점적처리하고 인공강우를 이용하여 고추잎 표면에서 내우성을 측정함으로써 새로운 내우성 증진용 식물유 제제의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카바액제 등 시판되고 있는 3종의 전착제는 dithianon 수화제의 내우성을 저하시켰으며, 전착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저하효과는 더욱 현저하였다. 반면에 chlorothalonil 수화제에 대해서는 레이트론 만이 내우성을 약 3 배 증진하였으며, 다른 2 종의 전착제는 오히려 내우성을 저해하였다. 콩기름의 유화성 만을 고려하여 조제한 유화제를 함유하는 콩기름 유제는 dithianon 수화제의 내우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식물 잎에 침투성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polyoxyethylene monotridecyl ether 혹은 polyoxyethylene monolauryl ether를 콩기름용 유화제의 한 성분으로 첨가한 시험용 제제는 1.5배 이상의 내우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어 새로운 제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암호의 수질 변동 및 생물군집 특성(2011) (Water Quality Variation and Biotic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Juam Lake (2011))

  • 송효정;황경섭;박종환;이학영;김종선;김현우;임동옥;이승휘;임병진
    • 환경생물
    • /
    • 제31권1호
    • /
    • pp.37-44
    • /
    • 2013
  • 주암호의 수질변동과 주요 생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질의 경우, 수온은 $3.8{\sim}21.2^{\circ}C$, 수소이온농도(pH)는 6.7~8.6, 전기전도도는 $64{\sim}76{\mu}s\;cm^{-1}$, 용존산소량(DO)은 $5.3{\sim}13.2mg\;L^{-1}$,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2.5{\sim}3.3mg\;L^{-1}$, 부유물질(SS)은 $1.0{\sim}5.1mg\;L^{-1}$, 총질소(T-N)는 $0.622{\sim}0.841mg\;L^{-1}$, 총인(T-P)은 $0.007{\sim}0.019mg\;L^{-1}$, Chl-a 농도는 $2.8{\sim}8.8mg\;m^{-3}$로 나타났다. 수정 Carlson 지수(TSIm)에 따른 영양단계 평가 결과는 연평균 중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총 출현종수는 53종으로 규조류 28종, 녹조류 13종, 남조류 3종, 기타 9종이 확인되었다. 현존량은 $113{\sim}2,909cells\;mL^{-1}$의 범위를 보였다. 동물플랑크톤 총 출현 종수는 16종으로 출현 분류군별로는 윤충류 10종, 지각류와 요각류가 각각 4종과 2종이 확인되었고 현존량은 $309{\sim}435ind.\;L^{-1}$의 범위로 나타났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2목 21과 33종으로 1038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등 줄하루살이였고 아우점종은 두점하루살이로 나타났다. 수생식물은 총 9종으로 정수식물 8종, 부유식물 1종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는 돼지풀과 물참새피가 출현하였다. 어류는 총 30종 613개체가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10종으로 33.3%의 고유도를 나타냈고, 외래도입어종은 3종으로 침투도 10.0%로 나타났다.

혼합형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초유동성 및 내해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stance to Sea Water and High Flowing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Blended Low Heat Cement)

  • 송용순;노재호;강석화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81-289
    • /
    • 1998
  • 본 연구는 해양 매스 콘크리트 구조물인 서해대교 사장교 주탑기초(L${\times}$D${\times}$H : 66${\times}$28${\times}$32~38.2)에 콘크리트 타설시 다짐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사용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검토한 것으로서 혼합형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와 현장에서 사용중인 5종 시멘트를 사용한 25-240-15 보통 콘크리트를 주탑 기초 일부분에 적용하여 유동성, 강도발현 성능, 재료분리 저항성, 수화열, 내해수성 등을 비교 평가한 것이다. 그 결과, 저발열시멘트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는 별도의 다짐 작업없이도 우수한 작업성과 자기 충전성, 재료분리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5종시멘트를 사용한 25-240-15보통 콘크리트보다 단위시멘트량이 54kg/$m^2$ 정도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수화열은 $10^{\circ}C$이상 저감되어 온도균열 제어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잇었다. 또한 부재에서 채취한 코아의 압축강도는 5종시멘트를 사용한 25-240-15 보통 콘크리트와 동등한 강도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해수중 염소이온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촉진 염소이온침투 시험결과 통과전하량이 5종 보통 콘크리트보다 5배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는 유동성개선에 의한 다짐 작업의 생략 효과와 더불어 수화열 저감 효과에 따른 온도균열제어 및 공기단축 등으로 주탑기초의 콘크리트에 매우 유리한 시멘트라고 판단되었다.

멍게 물렁증의 원인충인 Azumiobodo hoyamushi에 대한 유기산의 살충효과 연구 (Anti-protozoal effect of organic acids against Azumiobodo hoyamushi that causes soft tunic syndrome to Halocynthia roretzi)

  • 이지훈;박경일;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7-123
    • /
    • 2015
  • 우리나라 멍게 양식의 발전으로 생산량이 점점 증가하였으나 최근 물렁증 (soft tunic syndrome)으로 멍게가 대량 폐사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입고 있다. 이런 물렁증을 일으키는 원인체가 Azumiobodo hoyamushi라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이 원인충을 박멸할 수 있는 치료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저자들에 의한 이전의 연구에서 기존의 산화제, 환원제, 소독제 등에서 물렁증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약제보다 좀 더 친환경적인 유기산을 활용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시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In vitro 시험에서 12종의 유기산 중 8종이 $300{\mu}g/ml$에서 100% 원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발휘하였다. In vivo에서의 유기산 침투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유기산 처리 후 멍게 피막내 pH는 in vitro 에서 보다는 0.5~1 정도 높고 무처리 피막보다는 2.0 정도가 낮아 부분적으로는 침투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친환경적인 유기산을 이용하여 물렁증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산 겨우살이과 식물의 형태와 기주별 흡기 특징 (Anatomy of the Korean mistletoe and their haustorial features in host plants)

  • 최경;박광우;김혁진;이재동;구자춘;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1
    • /
    • 2009
  • 한국에 자생하는 겨우살이과 4종, 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등에 대해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주식물별 2차 흡기구조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한국산 겨우살이과 4 분류군을 종과 속 수준에서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잎에서는 향축면과 배축면의 축, 중앙맥에 발달된 유관속 형태, 후벽세포의 발달 여부 등이, 줄기에서는 횡단면에서 줄기의 전체적인 형태, 큐티클층의 발달 정도, 유관속의 배열, 후벽세포와 수의 발달 여부 등이 표징형질로 조사되었다. 기주별 2차 흡기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에서 각각 7종류 및 5종류의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지상부 흡기 발달 정도, 종단면에서 2차 흡기의 모양과 플랜지 발달 여부, 기주내 침투 지역과 흡기 축의 발달 여부, 2차 흡기에서 흡기세포의 위치와 짧은 흡기 가도관의 발달 여부 등 형질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형질에서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는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편, 기주식물의 강도와 흡기의 발달 정도에 따라 2차 흡기의 전체적인 형태가 기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침투 지역, 흡기 짧은 가도관 세포의 발달 등 정성적인 형질들은 기주와 발달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여 계통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징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