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전지역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전처리공정이 천연유기물질의 움집에 미치는 영향

  • 이주영;이석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7-67
    • /
    • 1997
  • 정수공정은 "원수 -1 침사지 1 전염소 -1 전오존 -1 침전지 1 여과지 1 후오존 1 GAC 4 후염소 1 가정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처리 공정으로 염 소와 오존을 주입하게 되는데, 여기서 전염소 처리 공정으로 인해 잔류 유리염 소가 수중의 유기물질과 반웅하여 유해성 유기염소 화합물 (i.e.. Trihalomethane, Haloacetonitriles, Chlorophenol 등)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도 정수처리 공정에서는 강한 산화력을 지닌 대체 산화 제로서 오존을 이용하고 있다. 전오존 처리공정은 OOC와 탁도 제거에 있어 응 집제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더불어 전오존 효과 (산화, 생분해 증대, 살균 등)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낙동강과 같이 유기물이 많은 원수에 과다한 오존이 주입되면 수중 의 유기물이 저분자화 또는 응집이 어려운 오존 산화물로 변화하여 응집제의 소비가 많아지게 된다. 실제, 오존을 응집 효과에 대해서 pilot plant로 운전한 결과 전오존에 의해 입자성 물질의 제거 효율은 향상된 반면에 유기물 제거는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고 보고되었다 (류, 1997). 본 연구에서는 물금 지역의 원수와 응집-침전 공정까지 거치는 각각의 처 리수에 대해서 전처리가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천연유기물질 (NOM)의 조성 변화로 파악하였다. 그 방법으로 천연유기물질 (NOM)을 XAD-1, -4 수지를 이 용하여 소수성 물질 (hydrophobic components)과 친수성 물질 (hydrophilic components)로 분리 및 농축하여 용존 유기물이 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 는지를 조사하여 개선된 상수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수질 관리 분야에서도 적용하고자 하였다. 상수원수인 물금 지역의 소수성 물질(hydrophobic components)은 75~80%, 친수성 물질(hydrophilic components)은 30~33%정도의 분포를 보였고, 전염소 및 전오존 공정을 거친 처리수에서는 각각 62.2-62.8%, 43.9~49.0% 및 50~ 55%, 40~57% 정도의 분포를 보였다. 그리고 웅집-침전을 거친 처리수에서는 그 분포가 77~82%, 24-48%였다. 전주리 공정을 통하여 소수성 물질(byoghobic components)의 분포가 감 소하는 것을 볼 때 전염소 및 전오존 처리가 용존유기물의 응집에는 오히려 역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clamation and Soil Improvement on Ultra Soft Soil (I) - Reclamation (초연약지반의 매립 및 지반개량 사례 연구 (I) - 매립)

  • Na, Yung-Mook;Hong, Eui;Han, J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1
    • /
    • pp.23-31
    • /
    • 2005
  • The "Silt Pond" is 180 hectares in size and contained ultra soft slurry-like soil varying between 3 to 20 meters in thickness. Reclamation works in the Silt Pond commenced in the mid of 1990s. A considerable amount of subsurface investigation inclusive of sampling, field vane and density logging tests were carried out prior to the reclamation of the Silt Pond. Since material in the Silt Pond is extremely soft, filling was done by spreading sand with high water content in thin and equal thickness lifts, allowing the stability of the slurry-like foundation. Despite the extreme care taken, failures occurred during the sand spreading phase. A large piece of high strength geotextile measuring $900m{\times}700m$ was placed to strengthen the slurry like soil foundation at locations where the ultra-soft soil was found to be exposed. Following the remedial works, the Silt Pond was again reclaimed by sand spreading up to +4.0m CD. The success of the reclamation was confirmed by marine CPT profiling.

  • PDF

Copper and manganese in the Anoxic Sediments banweol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서해 경기만 반월 조간대 퇴적물의 망간과 구리의 함량 특성)

  • 박용안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8 no.1
    • /
    • pp.1-8
    • /
    • 1994
  • 한국서해 경기만 남부 반월조간대 퇴적층에서 망간과구리의 함량특성을 밝히기 위 하여 총 3개의 주상시료를 채취하여 퇴적물의 입자와 유기탄소(organic carbon)함량을 일차 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중요 시료에 대하여 망간과 구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러 한 분석결과는 연구지역의 망간함량이 연근해역 퇴적물의 망간함량에 비해 낮고 구리함량은 상대적으로 높다. 연구지역 내에서도 환원환경인 중부와 하부조간대에서 망간함량이 낮고 구리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이 반월조간대 퇴적물의 망간 함량이 낮은 이유는 환 원환경에 공급괸 망간 산화물이 수 mm 깊이의 퇴적층에서 용해되고 그결과 생성된 용존 망간이 퇴적층과 해수와의 경계면(interface)으로 이동 제거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리- 유기물 결합체는 퇴적물내에서 분해되고 그결과 생성된 용존구리는 황화물로 재 침전 되기 때문에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같은 결과는 반월 조간대 퇴적층의 초 기속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산 동래온천수의 심부환경

  • 고용권;김건영;김천수;배대석;성규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83-586
    • /
    • 2003
  • 부산 동래지역 지열수에 대한 지화학적 진화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지열수, 지하수 및 해수에 대한 수리화학 특성과 이들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심부환경에서의 지화학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각종 이온지질온도계와 다성분 지질온도계를 적용하였으며, 동위원소특성과 함께 지화학 모델링을 통하여 심부환경에서의 온천수의 지화학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동래 지열수의 수리화학적 특성은 해수의 영향을 받아 높은 이온함량을 보이며 Na-Cl형을 보여준다. 지열수는 주변 지하수와의 크게 혼합된 양상을 나타낸다. 지화학 모델링에 따르면 지열수는 심부에서 약 5%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즉, 심부로 순환하는 지열수가 해수와 혼합되며, 이들이 지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광물의 용해 및 침전, 이온 교환반응 등 물-암석 반응을 거치면서 심부지열수를 형성하였으며, 지열수가 천부환경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동래지역 주변 천부지하수와 다양하게 혼합되면서 현재 동래온천수의 화학조성을 갖는 온천수를 형성하는 것으로 지열수의 진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PDF

Iron Oxide Minerals in the Sancheong Kaolin Deposits (산청지역 고령토 광상에서 산출되는 산화철 광물)

  • 정기영;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2
    • /
    • pp.79-88
    • /
    • 1990
  • 고령토의 조직과 산출상태의 관찰결과 산화철 광물을 침전시킨 철의 주요 근원은 모암인 회장암에 함유된 각섬석과 녹니석이다. X선 회절 분석결과 침철석은 녹니석이 버미큘 라이트로 변질되고 각섬석이 용해되기 시작하는 하부 백색 광석에서 우세하며, 적철석은 각섬석, 녹니석 및 버미큘라이트가 심한 용탈작용을 받는 상부 적갈색 광석이나 열 개에서 침철석과 함께 산출된다. 침철석 및 적철석내 Fe에 대한 Al의 치환량은 각각 6~26 mol% 및 5~8mol%이며 이 두 값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있다. 회절선폭의 크기로부터 계산된 침철석과 적철석의 평균 입자크기는 340$\AA$ 이하이며 침철석은 약간의 침상을 보이는 반면 적철석은 탁상이다.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버미큘라이트와 수반되는 침철석은 침상 또는 성상이나 적갈색 광석에서는 그러한 특징이 작다. 적철석은 육각 또는 원형을 보이나 상부 적갈색 광석에서는 보다 불?칙한 모양이다. 적철석과 침철석의 광물학적 특성을 합성실험에서 보고된 결과들과 비교하여 성인적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침철석과 적철석의 생성에 적합한 기후조건들이 중첩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alysis of Discharge Variation considering Water Balance Method in Mountain Wetland (물수지 방법을 고려한 산지습지 유량변동 분석)

  • Oh, Seung Hyun;Kim, Jung Wook;Kim, Jae G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4-174
    • /
    • 2017
  • 습지는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이며 범람원, 수문저장, 오염원의 분해 및 침전의 기능과 동시에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인간의 복지에 매우 유용한 자연공간이다. 습지의 생태적,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지 내 유량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습지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량 변동을 분석하여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지습지는 주변과 고립되어 있어 외부의 위협에 민감하고, 특이하며 다양한 생물상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양산지역 산지에는 고산습지가 많아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희귀동물이 살고 있는 청정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야생생물이 분포하는 보전가치가 높은 산지습지인 경남 양산 장군습지를 대상으로 습지 내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유지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습지유역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의 차이를 분석하는 물수지 방법을 적용하여 습지 내의 유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Geochemistry and Mineral Paragenesis of Bentonite from the Tertiary Formation in Yangnam Area (양남 지역 제 3 기층에 부존하는 벤토나이트의 지구 화학 및 광물 생성 단계)

  • 노진환;오성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111-127
    • /
    • 1994
  • 양남 지역의 제 3 기층인 하서리 응회암층의 중.상부에 부존되는 벤토나이트들은 원암의 암상과 화학조성에 의존되는 광호 양상과 광물상을 나타낸다. 벤톤나이트들은 대부분 안산암질 원암의 기원을 시사하는 희유 및 희토류 원소들의 함유 양상을 보이고, 현무암질 원암의 벤토나이트는 최상부의 일부 층준에만 그 산출이 국한된다. 이 지역의 벤토나이트는 주로 유리질 내지 라필리 응회암이 속성 변질된 것으로 이 과정에서 SiO2와 알칼리 (Na, K) 성분들이 고갈되는 화학 성분상의 유동 양상이 인지된다. 벤토나이트는 주된 광물 성분인 스멕타이트 이외에 흔히 단백석 및 석영같은 규산 광물과 휼란다이트, 모데나이트 및 클리높틸로라이트간은 불석광물들을 수반한다. 스멕타이트는 대부분 몰노릴로나이트 유형이지만 최상부 층준의 현무암질원 벤토나이트와 비교하여 논트로나이트의 광물 화학, X-선회절 양상, 층간 화학 및 염화학적 특성 등이 논의되었다. 이 지역 벤토나이트의 형성과정은 (1) 화산쇄설물의 급속한 퇴적, (2) 비이상적으로 높은 매몰 온도(<8$0^{\circ}C$) 조건, (3) 규산 광물의침전에 의한 공극수 내외 H4SiO4의 제거, (4) 원암의 낮은 Si/al 함유비와 높은 Fe 함유도 등에 의해서 조장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Distribution of Uranium in the Han River and Behavior through the Water Treatment Process (우라늄(Uranium)의 한강수계내 분포와 정수처리 공정별 거동 특성)

  • Jeong, Gwan-Jo;Kim, Dok-Chan;Park, Hyeon;Oh, Sea-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4
    • /
    • pp.347-352
    • /
    • 2005
  •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Uranium-238 concentration in the Han River. Also, six water treatment plants in Seoul have been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behaviour and the removal capability of uranium. The uranium concentrations were ranged $0.02{\sim}0.54{\mu}g/L$ in the Han Ri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ductivity and total dissolved solids shows that uranium concentr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conductivity and total dissolved solid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ed that there was no relevance between uranium concentration and geological structure, because most of the sampling area are Banded Gneiss. The average uranium concentration in six water treatment plants was determined to $0.134\;{\mu}g/L$ in raw water, $0.050\;{\mu}g/L$ in coagulated water, $0.029\;{\mu}g/L$ in settled water, $0.020\;{\mu}g/L$ in filtered water, $0.019\;{\mu}g/L$ in finished water. After filtration in the treatment process, uranium concentration level was maintained lower than $0.029\;{\mu}g/L$. The average uranium removal efficiency compared to the raw water was 63% after coagulation, 15% after sedimentation, 8% after filtration and disinfection. The analysis shows that 78% of uranium in the raw water was removed during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processes. However, 8% of that was removed through filtration and chlorination processes.

Reactive transport modeling of the $CO_2-H_2O$-cement reaction in a $CO_2$ injection well for $CO_2$ geological storage ($CO_2$ 지중저장 주입정에서의 $CO_2-H_2O$-시멘트 반응 운송 모델링)

  • Jo, Min-Ki;Chae, Gi-Tak;Choi, Byoung-Young;Yu, Soon-Young;Kim, Tae-Hee;Kim, Jeong-Cha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4
    • /
    • pp.359-370
    • /
    • 2010
  • $CO_2$ leakage from a geological formation utilized for $CO_2$ storage could result in failure of the facility and threaten the environment, as well as human safety and health. A reactive transport model of a $CO_2-H_2O$-cement reaction was constructed to understand chemical changes in the case of $CO_2$ leakage through a cement crack in an injection well, which is the most probable leakage pathway during geological storage. The model results showed the dissolution of portlandite and CSH (calcium silicate hydrate) within the cement paste, and the precipitation of secondary CSH and calcite as the $CO_2$ plume migrated along the crack. Calcite occupied most of the crack after 3 year of reaction, which could be maintained until 30 years after crack development. The present results could be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event $CO_2$ leakage and to enhance the integrity of wells constructed for $CO_2$ geological storage.

Metal Corrosion Mechanism by Sulfate-reducing and Iron-oxidizing Bacteria in Saline System and its Optimal Inactivation (염수계 철산화균 및 황환원균에 의한 금속 부식 및 최적 제어 방안)

  • Sung, Eun-Hae;Han, Ji-Sun;Kim, Chang-G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8
    • /
    • pp.798-807
    • /
    • 2008
  • Due to economic impairment derived from metal corrosion of pumping station installed around coastal area, it was needed for related cause-effect to be investigated for understanding practical corrosion behavior and providing proper control. This research was thu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the microbe can influence on metal corrosion along with its control in the laboratory. For this study, groundwater was sampled from the underground pump station(i.e. I Gas Station) where corrosion was observed. Microbial diversity on the samples were then obtained by 16S rDNA methods. From this, microbial populations showing corrosion behaviors against metals were reported as Leptothrix sp.(Iron oxidizing) and Desulfovibrio sp.(Sulfur reducing) Iron oxidizing bacteria were dominantly participating in the corrosion of iron, while sulfate reducing bacteria were more preferably producing precipitate of iron. In case of galvanized steel and stainless steel, iron oxidizing bacteria not only enhanced the corrosion, but also generated its scale of precipitate. Sulfate reducing bacteria had zinc steel corroded greater extent than that of iron oxidizing bacteria. In the inactivation test, chlorine or UV exposure could efficiently control bacterial growth. However as the inactivation intensity being increased beyond a threshold level, corrosion rate was unlikely escalated due to augmented chemical effect. It is decided that microbial corrosion could be differently taken place depending upon type of microbes or materials, although they were highly correlated. It could be efficiently retarded by given disinfection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