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입광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The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and prediction values for the vertical illuminances by relux program in the survey region (상용 조명해석 프로그램(Relux)을 이용한 가로등 주택침입광 예측값과 실측값 비교)

  • Jung, Dae-Kwan;Park, Hyung-Kyu;Jung, Joon-Si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
    • /
    • pp.98-104
    • /
    • 2018
  • The assessment of the light trespass in terms of light pollution is difficult due to the complexity of light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light pollution research has examined the influences of light pollution using simulation program such as RELUX. However, there still exists a differences between the real measurement value and the simulation value for the light trespas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light trespass using the RELUX simulation program, and compared results with real measurement values. In this study, the regions (Seoul, Incheon, etc.) were investigated regarding the light trespass for outdoor lighting. The survey of vertical illuminance was analyzed measuring point (more than 2 point) out the window that was expected to light trespass for the higher anticipated to illumination. The illuminational predicted values for the RELUX program were compared with maximum on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lluminational errors between the measurement values and predicted values for the simulation were examined from -0.97 lx to 0.65 lx except 2.08 lx and -7.70 lx. The light trespass was analyzed the higher by how much the located close to the height, length, width of the outdoor lighting for the window. For measuring predicted values using RELUX, it w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in the simulation conditions becaus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nvestigator error etc.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limited number of measurements, and greater field data is required in future studies.

A study on selecting of Light Cutoff Panel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condition using the lighting simulation (조명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설치 환경별 차광판 선정에 관한 연구)

  • Park, Hyung-Kyu;Gu, Jin-Hoi;Lee, Kyu-M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246-251
    • /
    • 2016
  • The use of security lighting that emits spill light is considered a cause of light trespass problems in the residential areas. Therefore, a cutoff panel was installed as an alternative way to reduce light trespass. On the other hand, it has another problem in that it is less effective and is not good enough for aesthetics and safety. In this study, a light cutoff panel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reduce the light trespass, and the structure of a proper light cutoff panel was studied. Using a goniophotometer, the light distribution file (IES file) was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distribution were analyzed using the RELUX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duction of spilt light in the backward direc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all types of light cutoff panels except the coated globe. In the case of a black powder coated light cutoff panel, the forward light caused by light ref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light cutoff panel was also reduced, which means that the black powder coated light cutoff panel is effective in the performance of light cutoff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ddition, the coated glove increased the spilt ligh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ecause it reflects the upward light to go down. A 90 % accuracy between the measurement value of light trespass and the expected value of the light trespass was obtained from a simulation.

Fabrication and Reliability Properties of Optical Fiber Sensor Cable for Detecting Intruders (침입자 감지용 광섬유 센서 케이블 제작 및 신뢰성 특성)

  • Kim, Jun-Hyong;Jung, Yoon-Seok;Sung, Tae-Kyung;An, Bo-Young;Park, In-Chul;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208-208
    • /
    • 2009
  • 최근 광섬유 센서기술의 수요는 전 산업분야에 걸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기업 간, 국가 간 경쟁이 첨예화되고 있다. 또한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센서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어 종래의 각종 센서들의 형태와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광섬유 센서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기존 침입자 감지 시스템은 태풍, 낙뢰, 폭설, 폭우 등의 기상변화나 지반 흔들림, 통행차량 진동 및 전자기 간섭 등에 영향을 받아 오작동, 오경보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이용한 시스템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군부대, 공항을 중심으로 펜스와 휴전선 철책에 힘입자 감지를 위하여 도입되고 있다.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사용하는 광망경비시스템은 광섬유 센서 케이블을 그물망 형태(광망)로 만들어 경계 지역에 설치된다. 광망경비시스템의 원리는 광섬유에 광펄스를 입사시켜 순환시키는데 침입자가 광망을 절단하거나 외력을 가할 경우 발생되는 레일리 산란에 기인하는 후방산란과 접속점과 파단점에서 생기는 반사광을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로 검출하여 침입상황 및 침입위치를 탐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침입자 감지를 위한 광망경비시스템의 핵심부품인 광섬유 센서 케이블은 기존에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지금까지 국내에서 생산하기 위한 제작 기술과 노하우가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광섬유 센서 케이블 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패키징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광섬유 센서를 일반적인 피복 구조로 패키징하게 되면, 센서 고유의 특성이 패키징 과정과 운반과정, 포설과정에서 변하게 되고 센서로써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힘입자 감지용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설계와 제작을 위한 제조공법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해 제작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신뢰성 특성을 평가하였다. 설계 제작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구조는 멀티모드광섬유(MMF) 에 0.9 mm Tight buffer를 코팅하고, 광심선 주위에 아라미드 얀을 삽입시킨 후 고문자 수지를 적용하여 외부 피복 (jacket)을 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센서 케이블의 외경 측정결과 기준치 ($2.95\;{\pm}\;0.03$ mm)를 모두 만족하였고, 850 nm 파장에서의 광 손실 측정 결과 4.0 dB/km 이하였다. 또한 주요 항목의 신뢰성 특성 시험결과, 인장강도는 8~10 kg의 인장력을 갖으며 온도순환시험 ($-30^{\circ}C\;{\sim}\;+75^{\circ}C$)에서의 광 손실은 0.6 dB 이하로 나타나 침입자 감지용 광섬유 센서 케이블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Field Investigation on Light Trespass of Residential Buildings by Street Lighting (주거지역에서 가로조명에 의한 침입광발생 분석)

  • Ha, Na;Kim, Jeong Tai
    • KIEAE Journal
    • /
    • v.10 no.2
    • /
    • pp.71-78
    • /
    • 2010
  • Spill light by street lighting is a kind of light pollution creating cozy night atmosphere, interfere visual private and cause insomnia at night. This study was to survey light trespass of the windows in residential buildings. According to outdoor lighting control guidance in Seoul, three different area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trespass light to wind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37% of the buildings of 386 buildings were influenced by street lighting, and 47% of windows were occurred light trespass. Therefore, the street lighting affected light trespass at night in survey area. The main reasons of light trespass were luminaire type, luminaire pole height, and street width. For protecting the light trespass to windows, it is necessary to non-cutoff fixture to full cutoff fixture by the street width.

A Study on scheme for Active Response in IDS (침입탐지시스템에서 능동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Bong-Han;Lee, Jaw-Kwang;Paek, Seung-Hyun;Park, E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047-1050
    • /
    • 2005
  • 현재의 수동적인 대응형 침입탐지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되고 있는 침입탐지 시스템이 능동 대응형 침입탐지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 대응형 침입탐지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능동 대응을 위한 침입탐지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7가지 구성요소로 고려하였고, 자동화 대응 실행 방법을 위해 프로토콜 접근과 스크립트 접근을 비교하였다. 또한 공격에 대한 능동 대응 방안으로 상호 협력적 구조와 NIDS와 ADS를 통합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f Efficient Traffic Classification for Intrusion Detection in High Performance Network (고성능망에서 침입 탐지를 위한 효율적 트래픽 분류 기법 연구)

  • Park, Min-Woo;Lee, Jun-Ho;Cho, Sinyoung;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324-1326
    • /
    • 2010
  • 본 논문은 고성능망에서 침입 탐지를 위한 침입 탐지 시스템의 효율적인 병렬 구조를 제안한다. 최근 네트워크 인프라의 급속한 성장에 의해 가정까지 광 통신 인프라가 깔리는 고성능망 시대가 되었다. 급격한 인프라의 발달은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콘텐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지만, 트래픽이 기존 보안 장치들의 허용 용량을 넘어서게 되어 단일 보안 제품이 트래픽 전체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고성능망의 침입 탐지를 위해 효율적으로 기존의 침입 탐지 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와 공격 빈도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류함으로써 효율적인 트래픽 분산 기법을 제시한다.

An Optical Fiber Perimeter Guard System Using OTDRs (OTDR을 이용한 광섬유 외곽경비시스템에 관한 연구)

  • Chang, Jin-Hyeon;Lee, Yong-Cheol;Shin, Dong-Ho;Oh, Sang-Gun;Lee, Jong-Youn;Jung, Jin-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12B
    • /
    • pp.1236-1243
    • /
    • 2010
  • The perimeter defense system was creat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t was designed to utilize the fiber sensing device, namely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which has been us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n OTDR was constituted by a pulse laser with the nature of 1310nm, +15dBm for the observation of 400 meter optical fence. The high-speed 32-bit processor(S3C2440) has applied to MPU(Main Processor Unit) which help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TDR algorithms. Consequently, the maximum error was 0.84 meter on the performance test of the 10km monitoring and the pass criteria of ${\pm}1m$ satisfied in all the sections. The alarm delay time was under 3 sec after detecting the disorder. For the case of secondary trespassing after primary trespassing, the optical switch was installed in OTDR to monitor the secondary trespassing and to measure the multi-point detection.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at the detections of secondary trespassing and multi-point is possible by means of optical switch.

IP Traceback System Design and Implement Using itrace Message (iTrace 메시지를 이용한 침입자 역추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ae Cheoljoo;Lee SeoungHyeon;Kim JiHyen;Lee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88-90
    • /
    • 2005
  •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전달이 일상생활처럼 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무선통신, 그리고 자료 교환에 대한 증가로 인해 다른 사용자와 접속하기 위한 방식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침입 차단 시스템과 침입 탐지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외부방어 개념의 보안대책은 전산망 내의 중요한 정보 및 자원을 보호함에 있어서 그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해킹으로 판단되는 침입에 대하여 라우터의 구조적 변경 없이 효율적으로 역추적하여 공격자로부터 능동적으로 정보 및 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iTrace 메시지를 이용한 역추적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 PDF

Effect of Seawater Plasma Products for Disposal of Maritime Red-tide Organisms and Foreign Invasive Living Things in Ship's Ballast Water (해수 플라즈마 생성물의 적조생물과 선박안정수 외래침입생물체 처리 효과)

  • So, Dea-Hwa;Jeon, Y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25-326
    • /
    • 2005
  • 해양에 적조가 발생하면 해수의 산소결핍 현상을 유발하고 동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태양광을 차단하여 해양 동물뿐 아니라 식물에게까지 치명적 피해를 준다. 또한, 대형 선박의 안정수(ballast water) 유입시 안정수 내에 포함되어 그들의 생활공간을 이동하면서 선박으로부터 다시 유출될 때 신생활공간에 외래 생물체로 침입하여 그곳의 기존 생태계를 파괴시키거나 교란하는 외래침입생물체는 해양생태계 환경파괴의 주범이다. 따라서 이들 두 종류의 해양생물은 부분적으로 상관성을 지니는 해양수산업계의 천적이며, 해양생태환경 파괴의 원인 제공자로써 마땅히 과학적 방법으로 제거되거나 방지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해양수산업 계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며 해양생태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등장한 적조생물과 외래침입생물체들이 해수로부터 제조한 플라즈마 반응생성물에 처리된 결과를 분석하여 그 응용성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