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강 속도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9초

$PES-TiO_2$ 복합막의 제조 및 막 특성 평가 (Preparation of $PES-TiO_2$ Hybrid Membranes and Evaluation of Membrane Properties)

  • 염경호;이미선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219-232
    • /
    • 2007
  • 침지침강 상변환법으로 폴리에테르설폰$(PES)-TiO_2$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14 wt% 및 20 wt%의 PES/NMP 기준 고분자 용액에 $TiO_2$ 나노입자를 PES에 대해 $0{\sim}60$ wt%로 첨가량을 달리하여 복합막 제조에 사용될 캐스팅 용액을 준비하였다. 제조된 $PES-TiO_2$ 복합막의 막 특성과 몰폴로지를 $TiO_2$ 첨가량에 따른 캐스팅 용액의 점도, coagulation value, 광투과도와 복합막의 인장강도, 세공크기 및 접촉각, 표면 및 단면 SEM 사진, BSA 용액의 한외여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캐스팅 용액에 첨가시킨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는 증가하고 coagulation value는 낮아져 캐스팅 용액의 열역학적 불안정성이 증가하였다. $TiO_2$ 입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1) 순간분리의 침강형식을 유지하면서 침강속도가 빨라졌으며, 2) 순수투과량, 세공크기 및 압밀화 안정성이 증가하며, 3) 인장강도와 접촉각은 감소하였다. $PES-TiO_2$ 복합막의 BSA 용액에 대한 전량여과식 한외여과 실험결과 $TiO_2$ 입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의 친수화 특성이 증가하여 투과플럭스가 증가하였으며, $TiO_2$가 첨가되지 않은 막과 비교하여 최대 7배까지 투과 플럭스가 향상되었다.

실트질 점토 채움 시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거동 및 시공 방법에 관한 연구 (Installation Technology and Behavior of Silty Clay Filled Geotextile Tube)

  • 신은철;오영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3-21
    • /
    • 2002
  • 지오텍스타일 튜브를 활용한 해안 및 항만구조물은 해안침식방지 및 토사퇴적을 유도하는 구조물로 준설토를 수리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채움을 실시하여 이안제(Detached brekwater), 돌제(Groin), 도류제(Jetty)등의 구조물을 축조한다. 일반적으로, 모래질 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할 경우는 채움토사의 침강과 토목섬유의 배수특성을 효율적으로 만족하여 주입구의 간격이 가까우나, 점토질 토사 또는 오염된 슬러지를 채울 경우, 채움토사의 침강속도가 길며 토목섬유의 구멍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주입구의 간격을 넓게 하여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도신도시 공유수면 매립공사 현장에서 점토질 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한 지오텍스타일 튜브에 대하여 실대형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채움작업은 준설선을 이용한 수리학적 채움을 실시하였으며, 현장계측은 채움단계 및 시간에 따른 유효높이 변화, 내부 채움토사의 위치에 따른 단위중량 변화, 비배수 전단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본 실대형 현장시험에 따른 계측결과, 점토질 토사의 채움 시 침강 및 배수를 위한 단계별 채움 작업이 필요하며, 배수에 따른 최종 유효높이는 채움 작업 시 최고높이의 50%까지 감소하였다.

  • PDF

旋網의 沈降 抵抗 解析 - 2. 網地材料와 沈子量 다른 模型網의 경우 - (An Analysis on the Sinking Resistance of Purse Seine - 2. In the Case of the Model Purse Seine with Different Netting Material and Sinkers -)

  • 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29-36
    • /
    • 2004
  • 선망의 침강 저항 특성을 해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망지의 재료가 다르고 침자량이 동일한 선망 모형의 침강특성을 해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선망은, 그물실의 직경 및 발의 길이가 같은 폴리프로피렌系 (밀도 0.91g/cm$cm^3$), 폴리아미드系 (밀도 1.14g/cm$cm^3$) 및 폴리에스터系 (밀도 1.38g/cm$cm^3$)의 매듭 없는 망지를 사용하여, 뜸줄의 길이 420cm, 그물의 폭 86cm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이 그물들의 발줄에 침자를 25g, 45g, 60g 의 3 단계로 바꾸어 9종류의 모형그물을 만들고, 각각 PP-25, PA-25, PES-25, PP-45, PA-45, PES-45, PP-60, PA-60 및 PES-60그물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회류수조의 수로 위에 투망장치를 설치해서 정지 상태의 수중에 투망하고, 관측부 전면에 설치한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녹화하였다. 그리고, 그물에 표시한 측정점의 좌표를 화상해석장치로 읽고 실험치를 구하였다. 여기서, 선망의 수직방향의 침강운동을 나타낸 이론식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자량이 60g일 때, 아랫자락의 평균 침강속도는 PES그물 12.2 cm/sec로 가장 빠르고, PA그물 11.4 cm/sec, PP 그물 10.7cm/sec 순으로 늦게 나타났다. 2. 망지의 저항계수 $K_D$는, 계산결과 $K_D=0.09(\frac{\rho}{\rho_w})^4$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3. 그물다발의 저항계수 $C_R$은, 계산결과 $C_R=0.91(\frac{\rho}{\rho_w})$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4. 선망 투망후 경과시간에 따른 그물 아랫자락의 도달수심에 대한 실험치와 계산치의 관계는 상관성이 매우 높아, 침자량이 25g일 때 meas.=1.04 cal., 45g일 때 meas.=0.99cal.였으며, 60g일 때 meas.=0.98cal.의 관계를 나타냈다.

정자기장이 효소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ATIC MAGNETIC FIELDS ON MOLECULAR AND CELLULAR ACTIVITIES)

  • 박제구;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29-941
    • /
    • 1997
  • 가장 바람직한 교정력은 환자에게 불편감을 주지 않고 치조골 상실과 치근흡수와 같은 조직의 손상없이 가장 빨리 치아를 이동시키는 힘이다. 최적의 교정력을 얻기 위하여 그 동안 많은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자석의 사용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Sm-Co 자석의 정자기장이 효소와 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적혈구 침강속도가 측정되었으며, 철이온과 관련된 효소 (Catalase, NO synthase)와 철이온과 무관한 효소 (Lactic dehydrogenase)의 활성과 세포내 합성은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조골세포 $MC_{3}T_3-E_1$의 성장과 증식은 Crystal violet 염색법과 ${^3}H$-thymidine incorporation에 의한 DNA합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의 적혈구는 표면자기장이 1,400 G (gauss)인 자석에, 효소와 조골세포는 7,000 G의 정자기장에 노출시키고, 정자기장에 노출시키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적혈구 침강속도는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Catalase와 Lactic dehydrogenase의 활성은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NO synthase와 Lactic dehydrogenase의 세포내 합성은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세포배양된 조골세포 $MC_{3}T_3-E_1$의 성장과 증식은 정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정자기장은 효소와 세포 활성에 대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SEDIsystem^{TM}$을 이용한 적혈구 침강속도 측정의 평가 (Evaluation of Automated ESR Measuring System, $SEDIsystem^{TM}$)

  • 이정이;김경동;이채훈;김정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10-115
    • /
    • 1996
  • 적혈구 침강속도는 전통적인 검사의 하나로서 진단에 있어서는 다소 비특이적인 검사이지만 몇몇 질병의 activity를 평가하고 추적검사에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Westergren법이 표준화된 검사법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보고자에 따라 CV값이 0.8-22.9%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143명의 검체를 대상으로 ESR 자동화 기기인$SEDIsystem^{TM}$ 사용하여 ESR을 측정하고 modified Westergren법, Wintrobe법과 비교하여 임상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SEDIsystem^{TM}$로 측정한 ESR 결과와 modified Westergren법으로 측정한 ESR 결과사이의 상관식 및 상관계수(r)는 y = 0.863x - 1.69 (r=0.830)이었고, $SEDIsystem^{TM}$로 측정한 ESR 결과와 Wintrobe법으로 측정한 ESR 결과사이의 상관식 및 상관계수(r)는 y = 1. 14x - 14.7 (r=0.789)이었고, 검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ESR의 반복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로 볼 때 $SEDIsystem^{TM}$을 이용한 검사는 기존의 modified Westergren, Wintrobe법들과의 상관성이 높았고 4시간까지 안정된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대량의 검체를 신속하게 보고할 수 있어서 임상 혈액검사실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포장도로 강우유출수 처리목적의 수직흐름형 우드칩 충진 습지에서 입자상 물질분석 (Analysis of the particulate matters in the vertical-flow woodchip wetland treating stormwater from paved road)

  • 원경과;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5-1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포장도로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하여 파일럿 규모의 우드칩 충진 수직흐름형 습지를 이용하여 처리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습지는 전처리 목적의 침강지와 우드칩이 전체용적의 25%, 50%, 75%가 충진된 습지로 구성되어 있다. 입도분석 결과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입자의 크기는 0.52-30um 크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24시간 침강 후에 20um 이상의 입자는 대부분 제거되었다. 또한 20um 보다 작은 크기의 입자는 건기시 수행되는 내부순환에 의해 여과 및 부착 등의 기작에 의해 상당부분 제거되었으나 전체적인 입자의 양은 우드칩의 연화과정에서 탈리되는 입자들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드칩으로 부터 입자탈리는 초기 75일 동안에 걸쳐 발생하였으며 발생된 우드칩 입자의 농도(밀도)는 충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드칩 탈리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1차 반응속도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우드칩 탈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수질인자 및 운전조건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질인자 중에는 수온, 용존산소, pH 등이 주요 영향인자로 파악되었으며 운전조건으로는 습지내부 운전수위 및 선행건기일수도 탈리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분석되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평가

  • 김정범
    • 대한불안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불안의학회 2004년도 재난과 정신건강
    • /
    • pp.185-213
    • /
    • 2004
  • 우리는 살아가면서 흔히 개인적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거나 불행히도 어떤 뜻밖의 재난이나 큰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런 외상적 사건들을 겪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극복할 수 있으나 일부 사람들은 심각한 의상 후 스트레스 반응을 보여 그런 외상이 지나감에도 불구하고 괴로운 기억 속에서 그것을 회상시키는 활동과 상황을 피하며 늘 불안한 마음으로 몸은 현재에 살고 있지만 마음은 실상 과거에 매달려 있고 과거의 고통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다른 불안 장애, 우울증처럼 흔한 질환으로 사회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삶의 질을 손상시킨다. 그렇지만 외상을 당한 당사자들이 이런 이야기를 하기 꺼려하고, 이런 사람들을 진료실에서 종종 만날 수 있는 임상가들도 외상의 심각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우리 주위에 많은 사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생하고 있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는 경우가 실제보다 훨씬 적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평가를 배움으로써 더 많은 환자들을 정확히 진단하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쉽게 할 수 있고, 환자들의 고통과 어려움이 과연 무엇인지 잘 알 수 있으며, 치료 표적과 치료 전략을 정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평가 방법으로는 구조화된 면담, 평가 척도, 정신 생리적 측정법, 치료자의 임상적인 결정 등이 있다. 향후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정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 직업적, 사회적 적응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도 같이 평가하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현재 개발된 많은 평가 척도들이 새로이 수정되고 표준화되어, 이런 평가 척도들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정신 사회적 영향을 더 잘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수집되길 바란다. 대칭이, 작은대칭이, 펄조개는 저질이 니질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고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특히 삽교호 수계 채집된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의 저질에서 출현하였다.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른 신장 기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해 보아야 한다.하를 조사한 결과, 연간 진동해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은 부유물질 기준으로 전체 37,316 ton/yr로 추정되었고, 이중 육지기원 부하량이 9,809 ton/yr (26.3%) 였고, 해역의 침강량 23,576 ton/yr (63.2%), 양식생물의 배설량이 3,932 ton/yr (10.5%) 로 대부분이 해역의 침강량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지오염부하량이 변동이 없다는 전제 조건 아래, 진동만의 피조개 채묘장을 미더덕 양식장으로 품종전환시킬 경우, 전체 부하량은 산술적으로 약 196%가 증가한 72,998 ton/yr 가 되고, 양식생물의 배설량은 10배 정도 증가하게 되어 진동만의 오염부하를 가중하게 된다. 진동만은 여름철 빈산소수괴 및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미더덕 양식장을 새로이 시설할 경우 오염부하가 가중될 것으로 판단되어, 앞으로 진동만의 양식장 수용능력을 파악하여 적정량의 양식물량이 시설되어야 할 것이다.25 psu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인 단백뇨는 진행성 경과의 위험성을 동시에 암시해 주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신체 검사상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주된 원인은 기립성 단백뇨로 81.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비록 9.1%의 빈도를 보였지만,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 PDF

ASM-IV를 이용한 부유사농도 연직분포의 측정 (Measurements of Vertical Profiles in Suspended-Load Concentration Using the ASM-IV)

  • 이종석;맹봉재;차영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83-95
    • /
    • 2006
  • 본 연구는 강우시 소하천 수로구간에서 유사농도의 연직분포를 유사량 측정기 (ASM-IV)로 실측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연기군 서면에 위치한 월하천 시점부분의 수로구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측된 부유사농도의 분석자료는 상하류구간에서 각각 1시간 11분 30초 및 40분 32초 동안에 2초 간격으로 측정된 2,145개 및 1,216개중 16개씩의 시간구간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한 결과, 상류구간의 실측치 Rouse 수는 $0.00129{\sim}0.02394$로 분포하고, 평균값은 0.01129로 나타났으며, 하류구간에서는 $0.00118{\sim}0.00822$, 평균값은 0.00436으로 하류의 값이 상류의 값보다는 훨씬 작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산치 Rouse 수는 상류구간의 경우 $0.065115{\sim}0.065295$, 평균값은 0.06521로 나타났고, 하류구간의 경우에는 $0.057315{\sim}0.059109$, 평균값은 0.05795로 하류구간이 상류구간보다 약간 작은 값을 갖으나, 실측치 비교에서의 차이보다는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에서는 상류구간보다 하류구간에서 더 큰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오차는 하류구간의 침강속도 산정시 높은 수온에 대한 동점성계수 값을 본 연구에서 유도한 경험식으로 계산한 것도 원인중의 하나에 포함될 것이다.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에서 Tc-99m MIBI 영상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by Tc-99m MIBI Imaging)

  • 조인호;천경아;홍영훈;이충기;하정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06-510
    • /
    • 2004
  • 목적: Tc-99m MIBI 을 이용하여 류마티스관절염의 치료에 대한 약제반응을 알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s(DMARDs) 병합요법으로 치료를 시행하고 3개월 후에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4명의 류마티스 관절염환자 환자들(여자 15명, 남자 9명, 평균연령: $49{\pm}12$)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 전 적혈구침강속도와 C-반응성단백질의 수치를 조사하고, Tc-99m MIBI 스캔을 얻어서, 치료전후 압통과 부종으로 임상증상의 호전정도를 조사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Tc-99m MIBI스캔에서 병적관절의 활막 대 배후 방사능비 (J/B ratio)와 함께 Tc-99m MIBI의 저류율(%R)을 구하였다. 결과: Tc-99m MIBI의 3분, 10분, 180분의 활막 대 배후 방사능비는 혈구침강속도와 C-반응성단백질의 수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관절의 압통과 부종의 정도를 점수화하여 평가된 임상증상의 호전정도와 3분과 180분사이와 10분과 180분사이의 저류율 각각의 상관계수가 -0.72와 -0.76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Tc-99m MIBI가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제 치료효과평가 및 관절염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영상방법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지만, 이의 확립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DC를 이용한 군산항의 유사 퇴적고 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diment Deposition Height Computation at Gunsan Port Using EFDC)

  • 이동주;박영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531-545
    • /
    • 2013
  • 본 논문은 군산항의 유사퇴적 현상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기 위해, 잘 알려진 EFDC 3차원 유사이송모형을 기초로 군산항의 퇴적고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EFDC KUNSAN_SEDTRAN MODEL(2012)의 적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모형은 금강하구수리현상변화조사 보고서(Gun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Office, 2004)의 여러 현장 관측치를 가지고 검정 및 검증을 수행했다. 검정 및 문헌조사를 통해, 본 모형의 점착성토사 침강속도(WS, Settling velocity), 퇴적한계전단응력(TD, Critical deposition stress), 기준침식률(RSE, Reference surface erosion rate), 침식한계전단응력(TE, Critical erosion stress)은 각각 2.2E-04m/s, 0.20 $N/m^2$, $0.003g/s{\cdot}m^2$, 0.40 $N/m^2$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군산항의 13정점의 퇴적고(71일) 및 내항과 외항 정점의 부유사농도(15일)의 모형 계산치와 현장 관측치를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퇴적고 계산을 위한 모형의 적용성은 NSE계수가 0.86, 부유사농도 시간평균 상대오차(RE)가 23%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