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환경 BIM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the BIM-based Green building Simulation System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의 친환경 건축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758-762
    • /
    • 2008
  • As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nterest of Green building has been increasing rapidly. Because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on the center of Green development, Green construction management is demanded for efficient analysis solution of building performance. BIM has a object-oriented parametric modeling technology. IT, which green building's performance management and analysis, is very useful. 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s essential course in the green building construction. So this Paper suggest him based green building simulation system. The him based green building simulation system will support resonable decision making on the early construction phase.

  • PDF

Risk Management for Environment Protection in Job Site Utilizing BIM Method (BIM을 활용한 현장시공의 친환경 위험관리에 관한 연구)

  • Li, Teng;Kim, Ju-Hyung;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1-114
    • /
    • 2010
  • With the rise of green technology, the environmental question causes people’s attention more and more, based on objectiv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green risk has already begun to appear. In the paper the definition of the green risk of construction project is given, it analyzes and identifies the green risk of construction project from three aspects, based on BIM, the relation with green risk was found. Though the relation, the management of green risk was analyzed and we may take some measures to reduce the unnecessary risk and waste.

  • PDF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BIM-based Friendly-Environment Preliminary Certification -Focusing on the Evaluation of Minimizing Waste Material in the Apartment unit plan- (BIM기반 친환경 예비인증 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단위세대 평면에서 폐기물 최소화 평가를 대상으로-)

  • Oh, Kunsoo;Song, Jeonghwa;Kim, Kyung Hwa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3 no.4
    • /
    • pp.483-490
    • /
    • 2012
  • The evaluation procedure of friendly-environment Preliminary certification is traditionally done by hand. It takes much time and a lot of manpower. Sometimes it is subject to the evaluator's experience. The solution to these problems is to systematize the evaluation procedure. The system can provide an objective standard for evaluation. It can develop more reliable standard, prevent errors, and save tim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evaluation system using the architectural information based BIM. To do this,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system of friendly-environment Preliminary certification.

BIM base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BIM을 활용한 친환경 건축 성능 분석(완(完)))

  • Moon, Hyeun-Jun
    • Korean Architects
    • /
    • s.480
    • /
    • pp.57-61
    • /
    • 2009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에너지 사용과 이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로 기후변화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산업화에 따른 에너지소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방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어 지속가능(sustainable)한 국가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화두로 적극 대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10대 에너지 소비국이면서 97%의 에너지를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세계9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과 경쟁을 하기위해서는 산업구조를 시급히 개선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적극적으로 억제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에너지 가운데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약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의 구축이 시급하며, 관련 기술 개발 및 실제 건축물에 적용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건축 관련 기술은 오늘날 많은 신축 건물에 적용되고 있으나, 그 성능은 아직까지 미흡한 부분이 많다. 건축물의 설계단계에 환경성능 분석결과가 적절히 반영된다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친환경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설계절차 및 성능분석 지원 시스템으로는 건축 설계단계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한 친환경 성능을 분석하기에 많은 시간의 투입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에 이러한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 분석에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축정보모델링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설계 데이터뿐 만 아니라 관련 모든 정보를 모델링 하여 건축물의 설계단계부터 건물의 폐기단계까지 활용하는 기술이다. 이미 선진 외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실무적용 단계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초기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건축정보모델링 기술이 친환경 건축물 구축기술에 활용된다면, 친환경 건축물 구축 및 성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녹색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가 가능해 질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재에서는 지속가능한 설계와 건축정보모델링을 활용한 건축 환경 성능을 분석에 관한 내용을 주제별로 다루고 그 사례를 살표보고자 한다.

  • PDF

BIM base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 Sustainable Architecture and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BIM을 활용한 친환경 건축 성능 분석 - 1. 지속가능 설계와 환경성능 분석 항목)

  • Moon, Hyeun-Jun
    • Korean Architects
    • /
    • s.477
    • /
    • pp.79-84
    • /
    • 2009
  •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에너지 사용과 이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로 기후변화 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산업화에 따른 에너지소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방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3년부터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국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어 지속가능(sustainable)한 국가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화두로 적극 대처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10대 에너지 소비국이면서 97%의 에너지를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이산화탄소배출량은 세계9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선진국과 경쟁을 하기위해서는 산업구조를 시급히 개선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적극적으로 억제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체 에너지 가운데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약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의 구축이 시급하며, 관련 기술 개발 및 실제 건축물에 적용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건축 관련 기술은 오늘날 많은 신축 건물에 적용되고 있으나, 그 성능은 아직까지 미흡한 부분이 많다. 건축물의 설계단체에 환경성능 분석결과가 적절히 반영된다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매우 우수한 친환경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설계절차 및 성능분석 지원 시스템으로는 건축 설계단계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포함한 친환경 성능을 분석하기에 많은 시간의 투입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다행히 최근에 이러한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 분석에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축정보모델링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설계 데이터뿐 만 아니라 관련 모든 정보를 모델링 하여 건축물의 설계단계부터 건물의 폐기단계까지 활용되는 기술이다. 이미 선진 외국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실용적용 단계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초기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건축정보모델링 기술이 친환경 건축물 구축기술에 활용된다면, 친환경 건축물 구축 및 성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녹색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가 가능해 질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재에서는 지속가능한 설계와 건축정보모델링을 활용한 건축 환경 성능을 분석에 관한 내용을 주제별로 다루고 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process through an analysis of BIM courses (국내 BIM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건축공학 설계교육 프로세스 개선)

  • Kang, Da-Young;Shin, Kyoo-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3
    • /
    • pp.145-153
    • /
    • 2010
  • Public institutions and owners have been introduced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ools. BIM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sign process in undergrad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of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rough an analysis of BIM courses. BIM education courses are analyzed to compare the level of detail in BIM education. An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class needs to involve BIM in the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design process. An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process needs to be based on understanding design, building struc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services. 3D Modeling helps support an understanding of building structure and eco-friendly element analysis. The new process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is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 Study of Energy Management Guide Using Building Energy Map By BIM -Focusing on Suseonggu Daegu city- (BIM을 이용한 건축물별 에너지 지도 작성 및 에너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 Kim, Hye-Mi;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81-82
    • /
    • 2010
  • Emerging global economic growth and increasing demand for energy supply and demand imbalance and the excessive use of fossil fuels existing the rapidly increas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resource depletion of global energy crisis is deepening. Accordingly,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round and through the natural ecological preservation and the need for a comfortable life for the meeting the importance of energy management and consumption are emerging. Many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for energy-saving measures, and conducting research and verify green building energy ratings and low energy for the initial steps that can be verified from the Energy Performance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building energy to predict the performance objectively, leverages technology in an exis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and possibilities of BIM-based green building process presented. In this study, using BIM for exis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alysis of data collected through the obj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energy it consumes Mapping and Management Plan is to research on.

  • PDF

Improvement of Open BIM-based Building Permission Process Using EPI(Energy Performance Index) (에너지성능지표(EPI)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BIM기반 건축인허가 개선방향 제시)

  • Kim, Inhan;Kim, Minchan;Choi, Jungs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6
    • /
    • pp.124-135
    • /
    • 2015
  • As many countries have been rais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greater efforts for eco-friendly construction have been made in both governmental and private sectors. However, assessment circumstances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d green building standard of legislation are still based on two dimension and handwork. This takes time, cost and labor, and makes assessment inaccurate and ine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methods to improve eco-friendly construction permission process and to automatize open BIM-based assessment of Energy Performance Index (EPI) among several eco-friendly construction certification standards. First, it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assessment criteria and IFC data, and provides solutions to problems and limitations. Second, it applies the solutions to assessment program in order to automatize open BIM-based assessment for EPI. The eco-friendly construction permission process with these solutions applied will reduce time, cost, and labor by simplifying and automatizing the tasks. Also, the simplified process of design revision will improve not only productivity and efficiency but also accuracy and rel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