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수공원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hydraulic stability assessment based on two-dimensional model in river flood plain (2차원 모형 기반 하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연구)

  • Ku, Tae Geom;Song, Chang Geun;Park, Yong S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2-112
    • /
    • 2017
  • 하천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대하천 및 중 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인공습지,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시설들을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터는 여름철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되다가, 강우 사상이 종료된 이후에는 유사가 퇴적되어 복구비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홍수시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홍수터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흐름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계산된 수리적 인자들을 이용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국외에서는 국내와 다르게 하천 홍수터 공간을 거의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에 대한 연구사례는 드문 실정이며, 도시침수로 인한 제내지 홍수위험도 평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제내지 홍수위험도 지수를 국내 홍수터에 도입하여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에는 침식 및 퇴적을 올바르게 고려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홍수터 내에서 침식과 퇴적을 고려할 수 있는 홍수터 수리적 안정성 지수를 산정하고 과거 연구된 실내 수리실험 자료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자연하천에서의 실제 태풍 사상에 의한 침식 및 퇴적의 상대적 공간분포를 산정하여 홍수터에서의 수리적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Lessons from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Ulsan World Cup Stadium (울산월드컵경기장 조경의 교훈)

  • Hong, Kwang-Pyo;Lee, Sang-Yun;Lee, D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0 no.5
    • /
    • pp.78-88
    • /
    • 2002
  • 본 연구는 울산월드컵경기장의 조경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경기가 끝난 후에도 이곳을 찾는 이용자들의 요구를 수렴함으로써, 향후 경기장조경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얻기 위한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조경현황에 대한 분석 자료는 월드컵경기장 조경을 위한 시공보고서와 도면 및 사진 그리고 현장에서 수집한 제반 자료이며, 이용자요구는 현장에서 조사한 이용행태이다. 연구결과 2002월드컵대회에 대비해서 만들어진 울산월드컵경기장은 건축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 서 대규모의 정지작업을 실시하여 과다한 지형변화가 발생하였으나, 친환경적인 법면의 처리와 향토식생의 도입 및 대형목 등의 이식을 통해서 자연과 친화될 수 있는 경관을 조성하고 있었다. 특히 기존의 옥동저수지를 보전.활용하여 친수공간을 확보한 것은 울산월드컵경기장조경에서 주목할만한 특징으로써, 기회요소를 지혜롭게 활용한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한편, 울산월드컵경기장은 시민들이 부담 없이 여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원적 기능이 체육시설에 접목됨으로써 기존의 경기장과는 달기 체육, 문화, 교육기능이 복합적으로 기능하는 세계적 수준의 체육공원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울산이 가진 역사 문화적 요소를 상징적인 설계언어로 도입한 것은 역사적 장소성을 중시한 설계방법으로서 이것 역시 울산월드컵경기장조경의 특징으로 손꼽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울산월드컵경기장은 경기가 종료된 이후에도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개방되고 있으며, 시민공원의 성격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다원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주목되는 바가 컸다 이와 같은 경기장 건설의 개념은 공간의 이용을 시간적으로 확장하는 것으로서 향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현대적 개념의 공간이용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 향후 울산월드컵경기장이 시민의 휴식과 문화공간으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경기장은 물론 공원으로 이용되는 공간에 대한 철저한 유지관리와 운영관리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자연환경이 훼손된 부분에 대해서는 원래의 생태적 질서가 회복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Flood Plain Using Two-Dimensional Unsteady Model (2차원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둔치의 수리특성 분석)

  • Ku, Young Hun;Song, Chang Geun;Kim, Young Do;Seo, Il W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997-1005
    • /
    • 2013
  •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Nakdong river is compound type, the water stage rises up to the top of the flood plane, as the flow discharge increases during the extreme rain storm in summer. The recent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and flood frequency results in the immersions of parks and hydrophilic facilities located in the flood pl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evolved by the extreme rain storm in the flood plain. The study reach ranging from the Gangjeong Goryeong Weir and the Dalseong Weir, where several hydraulic facilities are located along the channel, was selected and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42 hours including the peak flood of the typhoon Sanba. The 2-D transient model, FaSTMECH was employed and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water level between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 measured ones at a gauging station.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R^2$ of 0.990, AME of 0.195, and RMSE of 0.252. In addition, the inundation time, the inundation depth, the inundation velocity, and the shear stress variation in the flood plain facilities were analyzed.

Landscape Design of Gyeong-In Ara Waterway (경인 아라뱃길 친수경관 기본설계)

  • An, Byung-Chul;Shin, Hyun-D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2
    • /
    • pp.119-129
    • /
    • 2010
  • This study concerns the design strategy for the waterside of Gyeong-In Ara Waterway, Korea’s first constructed canal. This design focused on the creation of a new paradigm for waterway landscapes the major factors of which were geographical advantage, value of landscape and efficient approach. As the major space plan for the waterfront formed through the Gyeong-In Ara waterway from the Yellow Sea to the Han River, eight good views of the waterfront zone were designed by utilizing the waterway as a scenery viewpoint and, by constructing two traffic lanes for the scenic parkway connecting Incheon and the Gimpo terminal, both a linear greenway as well as various waterfront facilities were also designed. A boardwalk and bike path connecting the major theme parks were planned, and a waterfront pocket park was then organized based on the bike path.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new waterfront result from the Gyeong-In Ara waterway was planned to have an identity as a new waterside culture space in order to achieve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environmental, cultural, leisure, and tourism as well as management programs based on a variety of applied culture content and story-telling.

A Critical Review of Waterfront Maintenance Plan for Urban Development - Focused on Waterfront Development - (도시개발에 따른 친수공간 정비계획의 재고찰 - 워터프론트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 Choi, Jin-Do;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65-969
    • /
    • 2012
  • 도시의 개발을 통한 발전방향은 지역별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대의 흐름과 문화, 경제, 도시정책 등에 따라 다양하다. 특히, 워터프론트는 도시와 가장 근접한 친수공간으로 단어자체에 도시'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도시가 큰 강이나 바다, 호수 등과 접하고 있는 공간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도시계획차원에서 도시 수변공간(urban waterfront)으로 설정하고, 레크레이션, 공원, 경관형성, 환경오염 저감, 정서함양, 생산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매우 공공성이 높은 도시지역의 주요 공간지역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워터프론트를 개발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교통계획, 홍수 등의 재해시설, 환경 등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한국일보, 2011), 개발 계획 추진은 주민 공감대 형성, 사업타당성 검토 없는 '밀어부치기식' 개발 지상주의로 전락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워터프론트 개발사업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으로 인천 송도지역과 부산의 수산시장으로 유명한 자갈치시장 일대의 개발계획, 마산 도시재생지구의 항만 재개발계획 사례를 분석하여 개발계획의 문제점과 언론상에 비춰지는 개발의 현 실태, 지역개발의 효과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사례지역을 비롯한 대부분의 기존 워터프론트 개발은 경제성을 위해 규모가 큰 상업시설 위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거시설이나 문화시설을 비롯한 다양한 시설의 구성이 부족한 특수성을 갖추어 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유휴공간을 재개발하면서 도시와의 관계를 제대로 설정하지 못하여 도시와 분리된 폐쇄공간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시구조에 통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워터프론트 개발사업에 관계된 여러 집단들, 즉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개발주체, 시민 등 이들 사이에 합의 도출의 어려움이 많아 좋은 계획안이 무산되거나 사업이 지체 혹은 중단되는 사례가 많았다. 워터프론트 개발에 대한 지역민사회의 충분한 공감대가 결코 형성되지 않았음에도 오히려 요식적 여론수렴 절차를 강조하고 있으며, 친환경적 도시개발이라는 사업의 목적과 맞지 않는 계획이 많았다. 특히, 관련 사업 중 항만재개발사업에는 막대한 초기 투자비가 소요되어 재개발사업을 위한 자금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었으며, 도시의 장기발전계획과 통합된 장기적인 개발전략이 필요한데 이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워터프론트 개발계획의 문제점과 향후 정비계획이 추구해야 하는 친수구역의 관리방법, 주민참여 방안의 대안제시가 이루어 질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친수공간 정비계획을 재 고찰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 PDF

The Analysis of Floodplain Usage and Management at Major River in Korea (국내 주요 하천의 홍수터 현황 분석 및 관리 방안 제시)

  • Kim, Young-Kyu;Lee, Sung-Woo;Jeon, Sea-Jin;Kim, H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43-2047
    • /
    • 2009
  • 국내 하천의 홍수터는 농경지, 공원 및 주차장 등으로 도시는 물론 농촌에서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오랜기간동안 무분별하게 점용허가되거나 불법으로 점용 및 활용되면서 홍수터 활용 실태가 파악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2007년 하천법 개정을 통하여 하천의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여 보전지구, 복원지구 및 친수지구로 구분하여 하천을 관리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하천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부족하여 구분할 근거나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하천에 대하여 홍수터의 활용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여 문제점과 대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Water Use Enhancement Donghwa Dam Using Estim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환경용수량 산정을 통한 동화댐의 용수 이용률 제고)

  • Park, Hyun-Jun;Kim, Sun-Joo;Lee, Sa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329-1333
    • /
    • 2008
  • 최근 환경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변화됨에 따라 기존 수리시설물에서의 환경친화적인 도시 공간 마련 또는 생태공원 및 친수환경 조성에 대한 용수확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개선을 위한 용수를 '환경용수' 라 한다. 또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있어 기존 수리시설물에 저장된 용수를 최대한 활용하여 환경용수로 이용하는 것은 부족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여기서 우리나라에서의 환경용수에 대한 개념은 하천유지유량의 시대적인 기능변천과 함께 발전되어 왔고 물과 관련된 각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용어에 대한 정의는 학문적 제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용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우선 환경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교적 수량이 풍부한 동화댐을 대상으로 하여 물수지 분석을 하였다. 댐의 계획공급량 이외의 추가공급 가능량을 환경용수로 판단하였으며, 이를 대상지구에 활용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등 용수이용률 제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PDF

The Study on Master Plan for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of Urban (도시 물순환시스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

  • Lee, Bae-Sung;Lee, Seung-Hee;Kim, Ji-Ho;Park, Tak-Jun;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05-409
    • /
    • 2008
  • 우리나라의 도시는 리우선언이후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아래 친수와 생태를 모티브로 하여 급격히 변화되어 개발되어 가고 있다. 파주운정신도시는 국내최초 물순환시스템, 광교신도시는 2개의 기존 저류지를 활용한 물순환시스템, 인천청라지구는 녹지공간에 운하를 만드는 운하도시, 김포신도시는 대수로를 활용한 운하도시, 강서지구는 한강과 연결되는 친수도시로 진행중이다. 이러한 개발에는 지속가능한 수량확보와 수질보전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을 다스릴 수 있는 도시로 변화함에 따라 치수적으로 안전할 뿐 만 아니라, 각종 재난으로 부터도 안전한 U-city로 진행되고 있다. 국외의 경우 미국의 샌안토니오 등이 도시내 운하를 건설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고, 독일의 크론스베르크가 지구 전체에 우수저류 및 침투시설을 도입하였으며, 일본 동경이 새로운 운하프로젝트를 수행중이다. 또한 홍콩이 세계최대의 습지공원을 신도시와 병행하여 건설하였고, 싱가폴에서는 아시아 최대의 담수화 공장을 건설중이며, 뉴워터(Newater) 프로젝트로 물을 재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외 사례가 물순환시스템을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순환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념을 다양한 선진사례 등을 토대로 검토하고, 현재 진행중인 국내 도시들을 토대로 정리하여, 물순환시스템의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연구를 통해 향후 국내 지자체들의 도시재개발과 신도시개발, 국외 도시개발시 물순환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물순환과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Reasonable Developments of Hinterland Waterfront in Busan New Port (신항 항만배후단지 워터프론트의 합리적 개발방안)

  • Kim, Jeong-Su;Shin, Ge-Se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4
    • /
    • pp.244-265
    • /
    • 2007
  •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everal possible ways to develop Busan New Port as a comprehensive port area which comprises logistics functions, water front(for relaxation and leisure of citizens) and living zone (for dealing with daily works and chores): First, install extra facilities(e.g. plaza or landscape architecture facilities) for environmental cleanup of fishery port in the vicinity of logistic and housing complex. Second, develop water front for better benefits of users. Third, build a water land in leisure facilities for foreign tourists. Fourth, build a landmark in Port Hinterland. Finally, develop appropriate esthetic area for Port Logistics Hinterland.

  • PDF

A Case Study on Waterfront Revitalization Project for the Downtown Regeneration in Harbor City (항만도시 도심재생을 위한 수변공간재활성화사업 사례연구)

  • Choi, Kang-Rim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309-320
    • /
    • 2019
  • Waterfront revitalization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downtown regeneration of harbor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waterfront revitalization project to regenerate the downtown of harbor city.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Darling Harbour in Sydney and Rose Kennedy Greenway in Bost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land use, buildings and facilities for leisure and amusement that provide public access and various experiences were constructed and historical heritage was actively utilized. (2) The open spaces in various sizes and characteristics including waterfront walkways, parks, plazas and green spaces were created. (3) The connection between downtown and waterfront was improved in terms of pedestrian space and townscape in order to create synergistic effect between downtown and waterfr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