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Search Result 1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ect of Azithromycin on the Cyclosporin-Ainduced Gingival Fibroblast Overgrowth (Azithromycin이 Cyclosporin-A에 의한 치은섬유아세포 과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in vitro 연구)

  • Noh, Hyuen-Soo;Chung, Won-Yoon;Cho, Seong-Ho;Cho, Kyoo-Sung;Park, Kwang-Ky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4
    • /
    • pp.643-650
    • /
    • 2003
  • Cyclosporin-A(CsA)는 장기와 조직 이식에 따른 거부반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로, 이식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CsA의 부작용중의 하나인 치은과증식은 30-50%의 빈도로 발발하고 있다. 최근 macrolide 계열의 항생제인 azithromycin을 이용하여 이런 부작용을 억제시킨다는 임상 보고가 있어서,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sA를 투여한 적이 없는 환자에서 정상 치은조직을 채취, 치은섬유아세포를 배양하였다. 우선 CsA에 대한 치은섬유아세포의 반응을 보기 위해 다양한 농도($10^{-8}-10^{-10}$g/ml)로 처치하여, 세포 증식량과 교원질 합성량을 MTT assay와 Sirol Collage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반응을 보인 조건과 세포를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10^{-8}-10^{-10}$g/ml)의 azithromycin을 CsA와 동시 처치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sA는 일부 치은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Collagen 합성능에는 변화를 주지 않았다. 2. Azithromycin은 정상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Azithromycin은 CsA 에 반응을 보인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정상 수준과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azithromycin이 CsA에 의한 치은과증식 치료에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Cementum-Derived Cells in Human (사람 백악질 유래 세포의 형질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u-Hwan;Yang, Byung-Kun;Ku, Young;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Lee, Yong-M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4 no.2
    • /
    • pp.269-279
    • /
    • 2004
  • 백악질 세포의 분리 및 배양방법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백악질 세포의 형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 소구치를 이용하여, 치은섬유아세포, 치주인대 세포 및 백악질 유래세포를 분리, 배양하였다. 백악질 유래 세포 배양시에는 백악질을 절제한 후 Collagenase P를 이용하여 백악질 유래 세포 외의 다른 세포의 개제를 배제하였고, 기질을 분해하여 세포의 분리 및 배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분리 및 배양시기의 세포의 형태를 광화현미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골세포의 특성을 가지는 SaOs-2 세포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분리 및 배양된 세포군들을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3일 및 7일째에 세포증식도를 측정하였고 7일째에 ALPase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각 세포의 형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하여 조골세포 분화 표식자와 연관된 osteopontin(OPN), Alkaline phosphatase(ALP), type I collagen(COL-I), Bone sialoprotein(BSP), BMP-2 및 osteocalcin(OC)의 발현을 비교 관찰하였다. 백악질 유래 세포의 분리 및 배양을 시도한 5명의 치아 중에서 3명의 치아에서 세포군을 배양해 낼 수 있었다. 배양한 백악질 유래 세포는 섬유아세포와 유사한 형태와 증식을 보였다. ALPase 효소 활성도 검사 결과 백악질 유래 세포는 SaOs-2 세포보다 낮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배양된 세포의 RT-PCR 결과 백악질 유래 세포군에서는 ALPase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았고, 다른 조골세포 표식자의 발현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백악질 유래 세포가 조골세포 및 다른 대조군의 세포와는 다른 형질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관찰결과로 사람의 백악질 유래 세포롤 백악질의 절제 및 효소처리 방법으로 효과적인 분리 및 배양이 가능하며, 이는 향후 백악질 세포의 형질 특성 및 백악질 형성의 분자적 기전을 파악하는 중요한 연구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valuation of the Effects and Safety on Magnoliae Cortex and Zizyphi Fructus

  • Bae, Ki-Hwan;Chung, Chong-Pyoung;Lee, Byung-Moo;Park,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59-59
    • /
    • 1995
  • 후박의 주성분인 magnolol과 honokiol을 분리, 치주병인균 (혐기성그람음성균: Porphyromonas gingivalis 381, W50, A741-27, Prevotella intemedia 25611, 9336, G8-9K-3, 통기성그람음성균: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고 교원질 분해 활성, 섬유아세포재생능, 치은상피세포재생능, 치주인대세포재생능, cytokine생산 억제력시험을 하여 치주조직재생능을 관찰하였다. 후박과 대추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임상증상, 체중측정, 피부반응을 관찰하였다. 아울러 이들 약물을 주성분으로 한 제제의 품질평가를 위하여 활성성분의 분리법 및 주성분인 magnolol과 honokiol을 지표로하여 HPLC 분석조건을 검토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enamel matrix derivatives on the proliferation and gene expression of PDL fibroblast, $SaOs_2$ cells and Cementum derived cells (법랑기질유도체가 치주인대세포, 불멸화 조골세포, 백악질 유래세포의 증식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Jeong, Yoo-Jee;Kim, Kyoung-Hwa;Kim, Tae-Il;Seol, Yang-Jo;Ku, Young;Lee, Hae-Jun;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Lee, Yong-M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2
    • /
    • pp.321-333
    • /
    • 2005
  • 1. 목적 in vitro 상에서 법랑기질유도체가 치주인대섬유아세포, 불멸화 조골세포와 백악질 유래세포의 증식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및 재료 <세포증식 연구> 교정을 목적으로 발거한 치아에서 분리, 배양한 치주인대섬유아세포와 백악질유래세포, 그리고 $SaOs_2$ 세포를 이용하였다. 법랑기질유도체가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5 mm Petri dish에 dish 당 $5{\times}10^3$ 개의 세포를 접종하였다. 대조군은 1% 항생제와 10% FBS를 포함한 DMEM 배지를 이용했고, 5mM 초산을 첨가한 군과 첨가하지 않은 두 개의 대조군이 이용되었다. 실험군은 100 ${\mu}g/ml$의 법랑기질유도제를 첨가한 군과 100 ${\mu}g/ml$의 법랑기질유도체와 5 mM의 초산을 첨가한 2개의 실험군이 이용되었다. 각 군은 세 개의 배양접시에 행해졌고, 1, 3, 8일에 세포의 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통계 처리하였다. <유전자 발현 연구> 각 세포의 형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하여 조골세포 분화 표식자와 연관된 Human collagen type I(COL I), human osteopontin(OP), human osteocalcin(OC), human alkaline phosphatase(ALP)와 human bone sialoprotein(BSP)의 mRNA 발현을 실험 1, 3, 8일에 걸쳐, 세 군의 차이를 비교 관찰하였다. 3. 결과 <세포증식 연구> 치주인대세포와 백악질유래세포, 그리고 $SaOs_2$ 세포의 증식은 법랑기질유도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대조군과 초산이 포함된 대조군 그리고 법랑기질유도체와 초산이 포함된 실험군에서 유의할 만한 세포 수의 차이가 실험 기간 1, 3, 8일에 걸쳐 나타나지 않았다(p<0.05). <유전자 발현 연구> ALP와 COL I은 세 군의 세포에서 모두 발현되었고, 발현 정도는 EMD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OC은 세 군에서 모두 비교적 약하게 발현되었고, 특히 $SaOs_2$ cell과 백악질유래세포에서 약하게 발현되었다. EMD는 OC의 발현정도를 약하게 하였다. OP은 백악질유래세포에서 1, 3, 8일에 걸쳐 EMD 유무에 관련 없이 발현되지 않았다. 그러나 치주인대세포와 $SaOs_2$ cell에서는 강하게 발현되었다. BSP는 치주인대세포와 $SaOs_2$ cell에서 1, 3, 8일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발현되었다. EMD 배지에서 배양된 백악질유래세포는 8일에는 BSP가 발현되지 않았다. 4 결론 이번 실험 결과에 의하면 법랑기질유도체는 치주인대세포, 불멸화 조골세포와 백악질 유래세포의 증식에 있어 유의성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는, 치주인대세포와 백악질유래세포, 그리고 $SaOs_2$ 세포 모두에서 OC mRNA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EMD는 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유전자 발현에 있어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법랑기질유도체가 세포의 증식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배양된 세포의 형질특성, 배양환경, 배양일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법랑기질유도체가 in vitro 상에서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정량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TTACHMENT AND SPREADING ON THE MECHANICAL TREATED TITANIUM PLASMA SPRAYED IMPLANT SURFACE (기계적 표면 처리된 TITANIUM PLASMA SPRAYED IMPLANT에 대한 치은섬유아세포전개양상의 형태학적 관찰)

  • Whang, Yun-Hi;Lee, Jae-Mok;Suh, Jo-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5 no.3
    • /
    • pp.741-755
    • /
    • 1995
  • Currently titanium is the material of choice for implants because of its biological acceptance. This high degree of biocompatibility is thought to result, in part, from the protective and stable oxide layer that presumably aids in the bonding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t the implant-tissue interface. Endosseous dental implants are interfaced with bone, connective tissue, and epithelium when implanted into the jaw bone. The soft tissue interface including connective tissue and epithelium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in the determination of implant maintenance and prognosis. For maintenance of failing or failed implants, it is essential to treat the implant fixture surface to remove bacterial endotoxins and make a surface tolerated by surrounding soft and hard tissu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echanical treatment on titanium plasma sprayed implant on adhesiveness and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changed surfac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titanium plasma sprayed discs manufactured by Friedrichsfeld company were treated with loaw speed stone bur, a rubber point and a jetpolisher. Its surface components were analyz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to evaluate whether the surface characteristics were altered or not. To observe the spreading pattern of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s which attached to the all specimens author use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Pure titanium and plasma sprayed titanium, stone polished titanium showed titanium peak and small amout of aluminum, so there was no alteration on surface characteristics.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in the initial attachment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there was a slight enhancement in pure titanium, stone polished titanium than plasma sprayed titanium. After 6 hours, the pure titanium and stone polished titanium show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elongated and connected with numerous processes.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more intimately attached on the pure titanium discs than on the other discs.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s attached on the plasma sprayed titanium by thin and elongated processes. After 24 hours,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s connected with each other via numerous processes and compeletly covered the pure titanium and stone polshed titanium discs. Human gingival fibroblasts had multiple point contacts with more long and thin lamellopodia and showed a little bare surface on plasma sprayed titanium discs.

  • PDF

Effects of Direct Cell Contact Between Monocytes and Fibroblasts on the Interleukin-6 Production and Cell Proliferation of Human Gingival and Peri - odontal Ligament Fibroblasts (치은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섬유아세포의 interleukin-6 분비 및 세포성장에 미치는 단핵구세포주와 섬유아세포의 세포간 접촉작용)

  • Kim, Soo-Ah;Lee, Ho;Kim, Hyung-Seop;Oh, Kwi-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9 no.4
    • /
    • pp.803-823
    • /
    • 1999
  • In order to reveal immunopathogenesis of periodontal tissue destruction,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molecular mechanism of trafficking and retention of activated leukocytes, including monocytes/macrophages. Gingival fibroblasts may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cell accumulation in the extravascular periodontal connective tissues via cytokine production and surfac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molecular basis for the adhesive interactions between monocytes and fibroblasts such as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PDLF), human gingival fibroblast(HGF), and human dermal fibroblast(HDF). First, it was examined the evidence whether monocyte-fibroblast cell contact may cause signal transduction in fibroblasts. Being directly in contact with fixed human monocyte cell line THP-1, or U937, upregulation of IL-6 production, $TNF-{\alpha}$ mRNA expression and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could be seen for fibroblasts. IL-6 production induced by monocyte- fibroblast coculture were further increased when fibroblasts had been pretreated with $IFN-{\gamma}$ or $IL-1{\beta}$ , and monocytes with LPS. Next, it was examined the expression of ICAM-1 which has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accumulation and activation of leukocytes in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periodontitis. ICAM-1 was upregulated up to 10-fold on PDLF, HGF, and HDF by exposure to $IFN-{\gamma}$ or $IL-1{\beta}$. Furthermore, anti-ICAM-1 monoclonal antibody clearly blocked cocultureinduced IL-6 production by fibroblasts, suggesting that $ICAM-1/{\beta}_2$integrin pathway is involved in periodontal fibroblastmonocyte interaction. Overall,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periodontal fibroblasts could be involved in the accumulation and retention of monocytes/macrophages in periodontal inflammatory lesion at least in part by ICAM-1 expression. In addition, periodontal fibroblast-monocyte interaction could cause activation signals in fibroblasts intracellularly which result in cytokine production and cell proliferation. Thus, periodontal fibroblasts are specula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mmunoregulation and tissue destruction in chronic periodontal diseases by interaction with monocytes/macrophag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