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주인대

Search Result 4,59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terrelationship of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and Elastase Expression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atrix Metalloproteinse-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 비교)

  • Park, Hyun-Kyu;Lee, Jae-M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2
    • /
    • pp.397-408
    • /
    • 2006
  • 치주질환은 치아 지지조직의 파괴로 튿정 지어지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이것은 주로 조직의 교원질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여러 연구에서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심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당뇨병이 치주염을 포함한 구강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역으로 만성 치주염의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치주염 환자와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병리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두 단백질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의 비당뇨 환자의 정상 치은 부위,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각각 8개의 변연 치은을 채득하여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시켰다. 모든 조직 샘플에서 동량의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여였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ANOVA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분석에서 MMP-13은 제 2형 당뇨를 가진 환자의 염증성 조직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성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elastas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한 양상으로 발현되었고, 염증성 조직에서도 당뇨병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조직내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MP-13은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의 치은 염증초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조직과 당뇨를 동반한 환자의 염증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양상은 큰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s of periodontitis patients (치주염 환자의 치은열구액에서 MMPs와 TIMPs의 양의 변화)

  • Lee, Sun-Yun;Jung, Yeoun-Ho;Kim, Kyoung-Hwa;Yang, Byung-Keun;Han, Soo-Boo;Chung, Chong-Pyoung;Kim, Tae-Il;Ku, Young;Lee, Yong-Moo;Ko, Jae-Seung;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4 no.1
    • /
    • pp.139-148
    • /
    • 2004
  •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는 치주질환에서 주된 조직파괴단백분해효소인 것은 알려져 있고 TIMPs(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는 MMPs의 작용을 억제한다라고 알려져 있다. 이 둘간의 불균형으로 인해서 조직파괴가 더 가속화될 수 있다. 이 두 연구의 목적은 ELISA kit를 사용하여 특정 MMPs(1,2,3,8,9,13)과 TIMPs(1,2)의 양이 건강한 환자와 비교하여서 치주염 환자에서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MMPs(1,2,3,8,9,13), TIMPs(1,2)와 치은열구깊이와 GI score와의 관계를 알아보기로 한다. 8명의 만성 치주염 환자와 4명의 급속진행형 치주염 환자가 실험군으로 참여하였고 5명의 건강한 치주조직을 환자가 대조군으로 참여하였다. 임상적인 측정은 GI score와 치주낭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8명의 만성 치주염을 가진 환자와 4명의 급속진행형 치주염을 가진 환자에서 각각 치주낭 깊이가 3mm이하인 부위에서 6개의 치은열구액 표본과 치주낭 깊이가 6mm 이상인 곳에서 6개의 치은열구액 표본을 채취하였다.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진 5명의 환자는 단지 치주낭깊이가 3mm 이하인 건강한 부위에서만 치은열구액 표본을 제공하였다. MMPs(1,2,3,8,9,13)과 MIMPs(1,2)의 측정은 Human Biotrack ELISA kit를 사용하여서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MMPs, MIMPs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는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고 MMPs, TIMPs와 치주낭 깊이와 GI score의 관계정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치주낭 깊이가 6mm 이상인 부위에서 MMP9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하게 높았으며(p=0.04) MIMP2의 수치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치주낭 깊이가 3mm 이하인 부위를 가진 만성치주염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하게 높았다(=0.049). MMPs(1,2,3,8,9,13), MIMPs(1,2)의 활동성과 치주낭 깊이의 관계에서 둘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관계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MMP1(r=0.35)과 MMP2(r=0.31)가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를 보였다. 또한 MMPs(1,2,3,8,9,13), MIMPs(1,2)의 활동성과 GI score의 관계에서도 둘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할만한 관계는 존재하지 않으나 MMP1(r=0.4), MMP2(r=0.29), MMP9(r=0.26)가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를 보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볼 때 MMP9가 만성치주염 환자의 질환이 있는 부위에서만 염증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MIMP2가 만성치주염 환자의 염증이 없는 부위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서 MIMP2가 MMPs에 대한 억제작용을 하여서 염증의 진행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라고 볼 수 있다.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A DOG'S PRIMARY TEETH (유치 치주인대 신경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Lee, Won-Jae;Gu, Dae-Hak;Bae, Yong-Chul;Kim, Young-J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1 no.2
    • /
    • pp.439-455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a dog's primary teeth by each developing stag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for detection of neurofilament protein (NF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NFP-immunoreactive nerve fibers were found to be densely distributed in the apical third of the periodontal ligament, while they were sparse in the coronal two third, in both primary and permanent teeth. In generally the density of distribution and degree of arborization of nerve fibers in periodontal ligament of primary teeth revealed a poor appearance compared with that of permanent teeth. Periodontal ligament in anterior teeth showed more abundant nerve innervation than posterior teeth, and the periodontal ligament of the bifurcation area in posterior teeth roots were not observed to have nerve fiber. The density of nerve distribution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primary teeth was reduced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root resorption and nerve fibers were not observed in the surrounding area on the root of the exfoliation stage in primary teeth. The distribution of nerve fibers in mucogingival tissue, was poor innervated according to the aging of the dogs. A more abundant distribution of nerve fiber was represented in the lingual mucogingival tissue than in the labial side. Most of the nerve ending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primary teeth showed a tree-like appearance. However, the typical Ruffini-like nerve endings were not observed.

  • PDF

Profiling of genes in healthy hGF, aging hGF, healthy hPDLF and inflammatory hPDLF by DNA microarray (DNA microarray법을 이용하여 건강한 치은섬유모세포, 복제노화된 치은섬유모세포, 건강한 치주인대섬유모세포와 염증성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서 유전자 발현)

  • Yun, Sang-Jun;Kim, Byung-Ock;Yun, Jeong-Hun;Kang, Dong-Wan;Jang, Hyun-Se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3
    • /
    • pp.767-78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DNA microarray 분석법을 이용하여 건강한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 건강한 사람치은섬유모세포, 복제노화된 사람치은섬유모세포, 염증성 사람치주인대 섬유모 세포의 유전자 발현 형태를 상호비교하고자 하였다. 환자의 동의하에 충치, 치주염이 없이 교정발치된 치아의 치주인대세포를 배양하여 건강한 치주인대섬유모세포로, 만성치주염으로 발거된 치아에서 채취하여 배양한 세포를 염증성 치주인대섬유모세포로 선정하였다. 구강에서 채취한 치은결체조직에서 배양한 사람치은섬유모세포를 일차 배양한 후 계대배양을 통해 복제 노화를 유도하였다. $-198^{\circ}C$의 액화질소에 저장되어 있던 2, 4, 8, 15, 16세대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위의 모든 세포들은 60 mm 배양접시에서 세포들이 80-90%의 밀생이 될 때까지 5% $CO_2$, $37^{\circ}C$, 100% 습도의 배양기에서 2일 간격으로 10% FBS가 함유된 DMEM 세포 배양액을 교체하면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Trizol Reagent (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total RNA를 추출하였다. 18S RNA와 28S RNA를 확인한 후 DNA microarray 분석을 실시하였다. 4배수 이상의 변화양상을 비교시 상호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건강한 사람치은섬유모세포(2세대)와 노화된 치은섬유모세포에서 가장 높은 발현변화를 나타낸 반면 DMC1 dosage suppressor of mck1 homolog, meiosis-specific homologous recombination,은 건강한 치은섬유모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증성 치은인대섬유모세포와 건강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를 비교시, Regucalcin은 염증성 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 1도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건강한 치주인대섬유모 세포와 건강한 치은섬유모세포를 비교시, IL-11과 periostin이 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서 높은 발현을 나타낸 반면, Prostaglandin D2 synthase 21kDa과 Thioredoxin interacting protein은 치은섬유모세포에서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염증성 치주인대섬유모세포와 노화된 치은섬유모세포(15세대 이상)를 비교시 149개의 유전자가 유사한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노화, 염증, 세포 형태에 따라서 유전자 수준에서 가장 높거나 높은 수준 변화를 보이는 유전자가 다를 수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치주염 환자들에서, 노염, 염증, 세포 특이성에 관한 유전자 표시지를 이용하여 진단하거나 치료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