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주병원균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7초

PCR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염 연관 병원체의 빠른 검출 (Rapid Detection of Pathogen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by PCR Using a Modified DNA Extraction Method)

  • 김재환;김미아;이대우;백병주;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2-297
    • /
    • 2014
  • 구강 병원체의 검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PCR을 이용한 검출이 확실하고 빠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PCR을 위한 많은 DNA 추출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업적인 DNA 추출 kit들은 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절차가 여러 단계로 되어있으며, 그 외의 방법은 페놀과 클로로포름과 같은 유해한 화학물질을 써야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 NaOH 용액을 이용한 개선된 DNA 추출 방법은 치아우식증, 치주염과 관련된 병원체를 빠르고 간단하며 비용-효율적으로 검출하였다. 세균으로부터 DNA를 추출하기 위한 boiling은 기존의 10분이 아닌 1분으로 충분하였고 $4^{\circ}C$에서 최소 13개월 이상 DNA의 보관이 가능하였으며 sonication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상업적인 kit나 유해한 화학물질을 쓰지 않고서도 타액 표본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DNA를 추출하여 병원체의 유무 결과를 확인하는데 매우 적합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 영아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ium의 구강 병원균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nterococcus faecium isolated from Korean infants on oral pathogens)

  • 정은경;이종철;서정윤;김성윤;김완수;윤우혁;김윤상;피성희;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1호
    • /
    • pp.31-40
    • /
    • 2008
  • Purpose: The probiotic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have widely been researched in diverse human pathogens, but only a few effects are reported against oral pathogens.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Enterococcus faecium 7413 isolated from Korean infants on the 9 pathogen including 6 oral streptococci were investigated the clinical use of the antimicrobial peptide for oral microflora control. Materials and Methods: E. faecium 7413 was identified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tests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Inhibitory effects of culture supernatants were determined for their ability to grow on agar plate containing pathogenic bacteria. Result: The culture supernatant of Enterococcus faecium 7413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oral pathogens, namely Streptococcus pyogenes KCTC 3556, S. pneumoniae KCTC 5080, S. mutans ATCC 25175, S. anginosus ATCC 33397, S. constellatus KCTC 3268, S. intermedius ATCC 27823 and Shigella flexneri KCTC 2008. Whereas it did not affect the multiplication of E. coli strains, KCTC 1041 and ATCC 43894. Conclusion: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biotics allowing prevention for oral pathogens.

사람 악골골수염 병소에서 분리된 Cutibacterium acnes KCOM 1315의 유전체 염기서열 완전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utibacterium acnes KCOM 1315 isolated from a human jaw osteomyelitis lesion)

  • 박순낭;박정환;임윤경;신자영;노한성;국중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64-66
    • /
    • 2019
  • Cutibacterium acnes는 사람의 피부, 결막, 장관, 외이도 및 구강의 정상 세균 총의 하나이다. 이 세균 종은 여드름, 심내막염 감염, 유육종증, 뇌 농양, 치주염 및 골수염과 관련된 기회감 염성병원균으로 확인되었다. C. acnes KCOM 1315 (= ChDC KB81)는 사람 악골골수염 병소로부터 분리되었다. 여기에서 C. acnes KCOM 1315 균주 완전 유전체 염기서열을 해독하여 보고한다.

P. gingivalis에 대한 피톤치드의 항균효과 (Effect of Phytoncide on Porphyromonas gingivalis)

  • 김선규;신미경;어규식;이진용;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137-150
    • /
    • 2007
  • 피톤치드란 '산림향' 이라고 부르는, 나무가 갖는 특유의 향을 발산하는 휘발성 화학물질로서, 우리 몸을 쾌적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항균, 방충, 소취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치주질환과 구취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원인균인 P. gingivalis에 대한 피톤치드의 항균효과와 항균작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편백 피톤치드와 함께 P. gingivalis 2561을 배양한 후 P. gingivalis 2561의 성장정도, 생존력 및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톤치드는 P. gingivalis에 매우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이 항균력은 살균작용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 gingivalis에 대한 피톤치드의 최소억제농도는 0.008%, 최소살균농도는 0.01%로 결정되었다. 2. 피톤치드와 함께 배양된 P. gingivalis는 ampicillin, cefatoxime, penicillin, tetracycline에 대한 감수성이 변하지 않았으나 amoxicillin에 대한 감수성은 증가하였다. 3. 피톤치드와 같이 배양된 P. gingivalis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핵이 뚜렷해지고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이 증가하였고 리보솜이 세포질 가장 자리로 분포하였으며, 피톤치드 양이 증가할 수록 유령세포, 특히 소포가 특징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4. RT-PCR 분석 결과, 피톤치드는 P. gingivalis의 superoxide dismut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SDS-PAGE와 immunoblot 분석 결과, 피톤치드는 P. gingivalis의 단백질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피톤치드는 P. gingivalis에 대해 강한 항균효과를 갖고 있으며 이것은 살균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피톤치드는 단백질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P. gingivalis의 항산화물질 생산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아직 밝혀지지 않은 기전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을 유도하여 생존능력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세균세포의 구조적 형태 변화와 함께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