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주검사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18초

양산시 거주 청소년의 치과치료 필요도에 대한 조사연구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Dental Treatment Needs of Adolescents in Yangsan)

  • 권민석;신종현;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54-364
    • /
    • 2016
  • 청소년기 구강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치과치료 필요도를 평가할 목적으로, 양산시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4-17세 청소년 2,062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아우식증의 치료필요도는 66.7%, 치아침식증의 치료필요도는 27.8%,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MIH)의 치료필요도는 14.7%였다. 부정교합은 양호한 교합 군 67.8, 치료 불필요 군 19.7%, 약간의 치료가 필요한 군 6.8%,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군 4.5%, 가장 심한 부정교합 군 1.1%로 나타났고, 치료필요도는 12.5%였다. 치주질환은 71.2%의 유병률을 보였고, 치료 필요도도 이와 동일한 71.2%였다. 측두하악장애는 무증상 군 67.1%, 경미한 증상 군 13.4%, 심한 증상 군 19.5%의 분포를 보였으며, 치료필요도는 20.6%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치료 필요도를 보인 질환은 치주질환이었고, 뒤를 이어 치아우식증, 치아침식증, MIH, 측두하악장애, 부정교합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전반적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필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계획수립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되는 바이다.

사람 백악질 유래 세포의 형질 특성에 관한 연구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Cementum-Derived Cells in Human)

  • 김수환;양병근;구영;류인철;정종평;한수부;이용무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69-279
    • /
    • 2004
  • 백악질 세포의 분리 및 배양방법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백악질 세포의 형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 소구치를 이용하여, 치은섬유아세포, 치주인대 세포 및 백악질 유래세포를 분리, 배양하였다. 백악질 유래 세포 배양시에는 백악질을 절제한 후 Collagenase P를 이용하여 백악질 유래 세포 외의 다른 세포의 개제를 배제하였고, 기질을 분해하여 세포의 분리 및 배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분리 및 배양시기의 세포의 형태를 광화현미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골세포의 특성을 가지는 SaOs-2 세포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분리 및 배양된 세포군들을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3일 및 7일째에 세포증식도를 측정하였고 7일째에 ALPase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각 세포의 형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하여 조골세포 분화 표식자와 연관된 osteopontin(OPN), Alkaline phosphatase(ALP), type I collagen(COL-I), Bone sialoprotein(BSP), BMP-2 및 osteocalcin(OC)의 발현을 비교 관찰하였다. 백악질 유래 세포의 분리 및 배양을 시도한 5명의 치아 중에서 3명의 치아에서 세포군을 배양해 낼 수 있었다. 배양한 백악질 유래 세포는 섬유아세포와 유사한 형태와 증식을 보였다. ALPase 효소 활성도 검사 결과 백악질 유래 세포는 SaOs-2 세포보다 낮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배양된 세포의 RT-PCR 결과 백악질 유래 세포군에서는 ALPase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았고, 다른 조골세포 표식자의 발현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백악질 유래 세포가 조골세포 및 다른 대조군의 세포와는 다른 형질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관찰결과로 사람의 백악질 유래 세포롤 백악질의 절제 및 효소처리 방법으로 효과적인 분리 및 배양이 가능하며, 이는 향후 백악질 세포의 형질 특성 및 백악질 형성의 분자적 기전을 파악하는 중요한 연구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lta}^{12}PGJ_2$ 및 PPAR 감마 길항체가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lta}^{12}PGJ2$ and $PPAR{\Gamma}$ Agonist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 허정미;김경화;정경욱;이혜준;류인철;구영;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133-152
    • /
    • 2005
  • 1. 목적 Prostaglandin은 치주질환과 관련된 국소적 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Delta}^{12}PGJ_2$는 생체 내에서 혈장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천연 $PGD_2$ 대사산물이며 peroxisome- proliferator에 의해 활성화되는 감마 수용체 (PPAR ${\Gamma}$)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갖는 리간드로서 핵 수용체군에 속하는 전사조절인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골화 과정에서 ${\Delta}^{12}PGJ_2$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조골세포주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관련된 세포기전을 조사하는 데에 있다. 2. 방법 인간 골육종세포주인 Saos-2 (ATCC.HTB 85)와 쥐의 조골세포주 (MC3T3-E1)를 배양한 후 실험군에 농도가 각각 $10^{-5}$, $10^{-6}$, $10^{-7}$, $10^{-8}$, $10^{-9}$ 몰인 ${\Delta}^{12}PGJ_2$와 ciglitazone (합성 PPAR 감마 길항체)를 첨가하였다. 조골세포에서 PPAR 감마의 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특정한 prime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세포 증식은 1일, 2일, 3 일째에 MI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고, 2 일째에 알칼리성 인산효소 (ALPase) 생산을 측정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얻은 적정한 농도에서 다양한 조골세포 분화의 표지자들-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및 bone sialoprotein-에 대한 간이 정량적 역전사효소-중합효소연쇄반응 (semiquantitative RT-PCR)을 실시하였으며 골결절 형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석회화 분석도 시행하였다. 3. 결과 ${\Delta}^{12}PGJ_2$와 ciglitazone 모두 Saos-2 세포주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10^{-8}$ 몰의 ${\Delta}^{12}PGJ_2$$10^{-6}$몰의 ciglitazone을 첨가한 실험군을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시간에 비례하여 세포 증식률이 증가되었다. 알칼리성 인산효소의 활성화 검사에서도 증식률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간이 정량적 RT-PCR에서는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의 경우 제 1 형 교원질, 알칼리성 인산효소, osteopontin, 그리고 bone sialoprotein의 상대적 mRNA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석회화 분석에서는 MC3T3-E1 세포를 $10^{-6}$ 몰의 ${\Delta}^{12}PGJ_2$로 처리한 군과 $10^{-5}$ 몰의 ciglitazone으로 처리한 군에서 현저한 골결절 형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Delta}^{12}PGJ_2$가 유용한 골 유도물질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작용기전이 PPAR 감마-의존형 경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소아에서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에 관한 최근 7년간의 임상적 고찰 (Orbital and Periorbital Cellulitis in Children: A Recent 7-Year Clinical Review)

  • 최정호;홍선영;박성신;차성호;김은진;이진;장진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1호
    • /
    • pp.36-44
    • /
    • 2008
  • 목 적 : 안와주위 봉와직염은 더 위험한 질병인 안와 봉와직염과 감별이 힘들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 7년 동안 서울 지역의 두 군데 병원에서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환아의 임상적 특징, 선행요인, 치료 경험 등을 보고하고 자 한다. 또한 감별 진단을 위한 유용한 소견 및 방사선검사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한일병원과 경희대학교 부속병원에 안와와 안와주위 종창을 주소로 입원하여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18세 이하의 환아 4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41명 중 안와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환아는 7명(17.1%)이었고 안와주위 봉와직염으로 진단된 환아는 34명(82.9%)이었다. 발병연령은 0세부터 12세까지 분포하였으며, 대상 환아 중 2세 이하의 환아가 25명(61%)으로 많았고, 41명의 평균연령은 $3.2{\pm}3.4$세였다. 입원 일수는 안와군에서 $8.0{\pm}5.2$일이었고 안와주위군에서는 $5.7{\pm}3.4$일로 안와군에서 의미있게 길었다.(P= 0.04) 동반질환으로는 안와군에서 부비동염 6명, 안구 농포 1명, 누선염 1명, 안구내염 1명, 결막염 1명, 암 3명이었으며 암은 3명 모두 혈액종양인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이였다. 안와주위군에 서는 부비동염 10명, 중이염 3명, 안구농포 12명, 맥립종 5명, 산립종 1명, 곤충 물림 8명, 누낭염 7명, 결막염 5명, 치주염 1명, 균혈증 1명이었다. 백혈구 수의 평균은 안와군에서 $15,280{\pm}9,717/mm^3$와 안와주위군에서의 $10,040{\pm}5,004/mm^3$으로 안와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3), C-반응 단백 수치의 평균은 각각 $4.57{\pm}3.68mg/dL$, $2.64{\pm}3.43mg/dL$로 안와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4). 전체 환아중 혈액 배양검사는 23명이 시행되었고 이중 안와주위군의 1명에서 S. aureus가 자랐으며 MSSA였다. 혈액 배양검사 양성율은 4.3%로 낮았다. 농양부위의 배양검사는 안와주위군의 3명에서 시행되었고 이중 2명에서 각각 S. pyogenes, S. viridans가 동정되었다. 결 론 : 안와와 안와주위 봉와직염은 별개의 질환으로 병인이 서로 다르다. 안와 주위종창으로 내원한 환아들 중 부비동염이 선행되었거나, 안와증상인 안근마비, 결막부종, 안구돌출 등이 보이는 경우, 안검의 종창으로 이학적 검사가 힘들고 안와 봉와직염이 의심스러운 경우 CT scan은 필수적이며 치료를 위해 소아감염, 이비인후과, 안과 등 다양한 과로 구성된 팀(multi-speciality team)의 협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구강위생상태의 개선을 위한 자가검사법의 효과 (Effect of Self-Testing Technique on Improvement of Oral Hygiene State)

  • 김종엽;박준봉;이만섭;권영혁;허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715-7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rove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selftesting technique to confirm the cleanness status of the tooth surface after mechanical toothbrushing. Thirty-two periodontal patients who did not compromise any other systemic dise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only the Bass method for toothbrushing, and then experimental group was demonstrated the Bass method and self-testing technique respectively for plaque control during this experiment. Selftesting technique is composed the comparison of roughness of the labial surfac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other toothsurface with touch sense using the tip of tongue. Plaque score and Gingival index were measured as clinical parameters at baseline and 1, 2 and 4 weeks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laque scores and gingival index of 1, 2, and 4 weeks of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baseline value (p<0.05). 2. Plaque scores and gingival index of baseline and 1 week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3. Plaque scores and gingival index of 2 and 4 weeks of test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5). From the above results, self-testing technique which decides necessity of additional toothbrushing when tongue tip of subjects touch the maxillary molar buccal surfaces and mandibular molar lingual surfaces nd compares with maxillary anterior labial surfaces after toothbrushing appeared to effect the motivation of subj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testing technique for cleanness after toothbrushing should be effect on the maintenance of oral hygiene when it is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 PDF

Rapid Prototyping을 이용한 상악 매복 견치의 자가이식 치험례 (Autotransplantation of an impacted maxillary canine using Rapid Prototyping : A case report)

  • 조난주;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8-505
    • /
    • 2007
  • 매복치의 치료는 발생 원인, 치아 발육 상태, 매복 위치 및 맹출 경로, 맹출 공간 여부, 환자의 연령이나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시행하며 방해 요인 제거 후 자연 맹출 관찰,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후 교정적 견인, 매복치의 재위치 또는 치아이식, 발거 후 보철수복을 할 수 있다. 이 중 치아이식은 매복치가 맹출 경로를 크게 벗어나 외과적인 노출과 교정적 견인이 어려운 경우 시행할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의 성공을 위해 이식치아의 외상을 최소화하며 치주인대의 생활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좌측 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여자 환자에서 Rapid Prototyping model을 이용하여 자가치아이식술을 시행하였다. RP technique을 이용하여 제작한 공여치의 모델로 수용부의 골와동 형성을 공여치 발치전에 미리 시행함으로써 공여치의 구강 외 소요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여치를 수용부에 여러 번 시적할 때 생길 수 있는 치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치료 후 상악 좌측 견치는 6개월 후 치근 흡수 등의 합병증 없이 정상 치아 동요도와 타진시 음성을 나타내었으며 전기치수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 PDF

IATROGENIC ROOT PERFORATION의 보존적 접근 (CONSERVATIVE APPROACH OF IATROGENIC ROOT PERFORATION)

  • 백병주;전소희;박정렬;권병우;김재곤;이용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9-65
    • /
    • 2004
  • 치근천공은 근관치료시 종종 발생되는 사고로서 치근과 치주조직과의 개통을 의미하며, 치과의사에 의하여 우발적 또는 의도적으로 발생된다. 성공적인 치근천공의 치료로서 즉시 천공부위를 충전하여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치근천공의 발생 시간, 크기 및 위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치근천공의 진단을 위하여 직접 육안으로 출혈을 관찰하거나 방사선검사 또는 천공위치를 파악하는 보조적 방법 등이 유용하며, 치료로서 비수술적 또는 수술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에서 영구전치의 치근 치경부에서 치근 천공이 일어난 경우로서 보존적인 접근을 통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Biphasic Calcium Phosphate가 태아골모세포의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on bone formation in human fetal osteoblasts)

  • 신계철;장길용;이명구;윤호상;송제봉;김현아;피성희;신형식;유형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77-85
    • /
    • 2005
  •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 영역에서 골 재생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BDX(bovinederived xenograft)와 비교하여 BCP(biphasic calcium phosphat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실험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태아골모세포주(hFOB 1.19)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골 이식재에 따라 2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실험에 적절한 농도의 BDX와 BCP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세포 증식도 검사, 교원질 합성량 분석,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 측정, 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OC과 BSP의 발현 정도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 : BDX와 BCP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증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원질 합성량,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 그리고 OC과 BSP의 발현에 있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두 이식재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실험실적 연구에서 BCP는 골모세포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효과적인 이식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가늠할수 있었다.

B-1 세포 유래 다중반응성 단클론 항체의 형성과 항원 자극에 대한 B 세포의 동시자극자 발현 (Establishment of B-1 cell-derived polyreactive monoclonal antibodies and expression of costimulators by B-cell to antigenic stimulation)

  • 이주연;최점일;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371-384
    • /
    • 2007
  • 연구 목적 : 면역 반응에서 B-1 세포의 정확한 역할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최근 B-1 세포가 면역의 내성을 야기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1 세포 유래 단클론 항체의 특성과 항원 자극에 대한 B 세포의 동시자극자 (MHC Class, B7-2, 7-2) 발현을 평가하여 B 세포의 면역조절 기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B-1 세포 유래 단클론 항체를 형성하는 잡종세포주를 이용하여 다양한 내, 외인성 항원에 대한 단클론 항체의 반응 양상을 평가하였다. 여러 내, 외인성 항원으로 면역한 쥐의 복강과 비장 B 세포의 동시자극자의 발현을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최종적으로 단클론을 형성하는 2개의 클론을 형성하였고, 이 B-1 세포 유래 단클론 항체는 dose-saturable pattern을 띄는 다중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FACS를 이용한 동시자극자의 발현 검사에서는 MHC 발현은 복강과 비장의 B 세포가 유사하였으나, B7-1과 7-2는 복강의 B 세포에서 더 뚜렷한 발현을 보여주었다. 결론 : B-1 세포 유래 단클론 항체는 다양한 내, 외인성 항원 자극에 대해 dose-saturable한 다중반응성을 나타낸다. 복강과 비장의 B세포는 내, 외인성 항원의 면역에 있어서 동시자극자 발현이 명확히 다른 양상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 태아 골모세포에서 고분자 히알루론산의 골형성 유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High Molecular Hyaluronic Acid on Bone Formation in Human Fetal Osteoblasts)

  • 이광수;김현아;김윤상;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589-602
    • /
    • 2002
  • Hyaluronic acid (HA)는 중요한 glycosaminoglycan 중 하나로서 단백질과 화학적 결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가 쉽고 결합조직의 세포간 기질의 주요 성분이다. 우리는 점탄성 고분자 hyaluronic acid를 실험실상에서 사람 태아 골모세포의 골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는 여러 농도의 HA에 대한 사람 태아 골모세포에서의 세포증식,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 석회화 결절 형성능, 교원질 합성능 그리고 bone sialoprotein (BSP)의 발현 정도를 검사하였다. 세포증식에서 각 농도의 HA 처리군과 대조군 간에 2일과 4일간의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에서는 0.063% HA 처리군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해 가장 유의한 염기성 인산분해효소 활성을 보였다 (p<0.05). 0.063% HA 처리군은 교원질 합성능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p<0.05). 석회화 결절 형성능에서는 0.063% HA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많은 염색된 석회화 결절을 보였다. BSP의 발현 정도를 분석한 Western blot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0.063% HA 처리군에서 증가된 단백질 발현을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고분자 HA가 실험실상에서 사람 태아 골모세포의 분화를 통해 새로운 골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