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transplantation of an impacted maxillary canine using Rapid Prototyping : A case report

Rapid Prototyping을 이용한 상악 매복 견치의 자가이식 치험례

  • Cho, Nan-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a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a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a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조난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Management options for impacted maxillary canines can include (1) continued observation, (2) extraction of the primary canine to aid spontaneous eruption, (3) uncovering and bonding of the impacted tooth and its eruption using orthodontic traction, (4) autotransplantation, and (5) extraction followed by prosthetic replacement. Auto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degree of malposition is too severe to correct by orthodontic alignment.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the management of an ectopic eruption of the left maxillary canine in an 10-year-old girl. The treatment included the extraction of primary maxillary left canine and the autotransplantation using a Rapid Prototyping model. By using RP model to contour the recipient bone and check for fitting in the prepared socket, the extra-oral time can reduce. The autotransplanted canine showed mobility within normal limit, negative response to percussion and positive to electric pulp test after 6 months.

매복치의 치료는 발생 원인, 치아 발육 상태, 매복 위치 및 맹출 경로, 맹출 공간 여부, 환자의 연령이나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시행하며 방해 요인 제거 후 자연 맹출 관찰,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후 교정적 견인, 매복치의 재위치 또는 치아이식, 발거 후 보철수복을 할 수 있다. 이 중 치아이식은 매복치가 맹출 경로를 크게 벗어나 외과적인 노출과 교정적 견인이 어려운 경우 시행할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의 성공을 위해 이식치아의 외상을 최소화하며 치주인대의 생활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좌측 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10세 여자 환자에서 Rapid Prototyping model을 이용하여 자가치아이식술을 시행하였다. RP technique을 이용하여 제작한 공여치의 모델로 수용부의 골와동 형성을 공여치 발치전에 미리 시행함으로써 공여치의 구강 외 소요시간을 단축시키고 공여치를 수용부에 여러 번 시적할 때 생길 수 있는 치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치료 후 상악 좌측 견치는 6개월 후 치근 흡수 등의 합병증 없이 정상 치아 동요도와 타진시 음성을 나타내었으며 전기치수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