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은 연상 변연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심미적인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 수복 증례 (Clinical performance of esthetic ceramic partial-coverage restorations with supra-gingival margin using minimally invasive tooth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dhesive dentistry)

  • 홍명식;최유성;이종혁;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19-332
    • /
    • 2021
  • 심미적인 도재 재료와 레진 시멘트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임상에서 금속도재관에서 전부도재관으로의 전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재 수복물 제작 시 그에 적합한 형태와 기술을 이용하여야 그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다. 최근 법랑질을 최대한 보존하고 접착 효율을 높이는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하여 치은 연상 변연을 가진 심미적인 도재 부분피 개관 수복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이를 통해 치질 삭제의 최소화, 시멘트 제거의 용이성 등 여러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된다. 또한 이 제작법은 치은 압배사의 삽입이 불필요하여 치은 압배사 삽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환자의 불편감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치은 열구액이나 혈액의 개입 없이 명확하게 변연을 채득할 수 있어 더 정확한 수복물 제작이 가능하다고 보고된다. 본 증례에서는 각각 해당 치아 부위에 부분적인 결함이 있는 환자에서 통상적인 전부피개관이 아닌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으로 다양한 제작 방법을 활용하여 수복함으로써 불필요한 치아 삭제를 방지하고 잔존 치질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다. 치료 후 환자와 술자 모두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섬유 강화 포스트와 코어 축성 방법에 따른 파절 강도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n the Fracture Strength Depending on the Fiber Post and Core Build-up)

  • 이자형;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3호
    • /
    • pp.225-235
    • /
    • 2009
  • 최근 심미 치과 수복이 발달하게 되면서 치은 연상 변연을 가진 전부 도재 수복물을 하게 되는 경우 섬유 강화 포스트는 자연치와 유사한 반투명성을 보여 더욱 심미적으로 보이게 해준다. 섬유 강화 포스트인 석영 섬유 포스트와 유리 섬유 포스트로 수복시 코어 축성 방법을 달리한 5가지 군으로 분류하여 각 방법에 따른 파절강도를 비교하였다. 발치된 45개의 치아를 사용하여 모두 근관치료를 시행하고 CEJ 상방 1mm 부위에서 치축에 수직이 되도록 주수하에 치관부를 절삭하였다. A, B, C군은 #1 D.T. $Light-post^{(R)}$를 사용하였고, D, E군은 #1.5 $LuxaPost^{(R)}$를 사용하였다. A군은 제조사의 지시대로 D.T. $Light-post^{(R)}$와 시멘트로는 $DUO-LINK^{TM}$을 코어로는 $LIGHT-CORE^{TM}$을 사용하였다. B군은 시멘트와 코어로 $DUO-LINK^{TM}$을 포스트 접착 후 코어를 축성하는 이 단계 방법을 사용하였고, C군은 시멘트와 코어로 $DUO-LINK^{TM}$를 사용하면서 포스트 접착과 코어 축성을 동시에 시행하는 일단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D군은 시멘트와 코어로 $LuxaCore^{(R)}-Dual$을 이단계 방법으로 축성하고, E군은 일단계 방법으로 축성하였다. ferrule 0mm로 치관을 삭제하여 금속관으로 수복 후 $45^{\circ}$로 기울여 CEJ 하방 2mm 까지 매몰 후 crosshead speed 1mm/min로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강도는 A, B, D, E, C군 순으로 작은 값을 나타냈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B군에서만 치근 파절이 나타났으며 모두 재수복이 불가능한 파절이었다. 파절 양상은 모든 군에서 코어/치근 파절이 절반 이상 나타났으며, B와 D군에서는 대부분 재수복이 불가능한 파절이었다.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로 미루어 섬유 강화 포스트나 코어의 종류 그리고 코어 축성 방법이 치아 파절 강도와는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파절 양상을 보면 섬유 강화 포스트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수복이 불가능한 경우가 절반 이상 나타났으며, 이단계 방법으로 코어를 축성한 군에서 그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보아 일단계 방법으로 코어를 축성하는 것이 재수복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