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은세포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1초

치주염 원인균 LPS-PG로 유도된 인체 치은섬유아세포에서 연뿌리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Lotus Root Extract in LPS-PG-Stimulated Human Gingival Fibroblast-1 Cells)

  • 이영경;김철환;정대원;이기원;오영택;김정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65-573
    • /
    • 2022
  • 치주조직에 존재하는 주요한 세포의 한 형태인 인체 치은섬유아세포는 다양한 구강유해세균으로부터 염증이 유발되어지며, 그중 대표적으로 치주염 원인균인 P. gingivalis의 내독소인 LPS-PG로부터 염증성 자극에 반응하여 다양한 염증매개 물질을 분비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주염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균 중 하나인 P. gingivalis로 부터 분리한 LPS-PG를 이용하여 인체 치은섬유아세포주인 HGF-1 세포에 염증을 유도한 후 LRE에 대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LRE는 LPS-PG 유도에 따라 iNOS에 의한 NO 생성과 COX-2에 의한 PGE2와 같은 염증 매개 인자의 발현 및 생성 억제와 함께 염증성 싸이토카인(TNF-α, IL-1β및 IL-6)의 생성 또한 억제하였다. 신호전달계에서 염증성 전사인자의 발현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TLR4/Myd88/NF-κB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 LRE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화 환원 효소로 항염증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2상 효소 중 하나인 NQO-1과 이의 전사인자인 Nrf2를 분석 한 결과 LRE 처리에 의해 효소의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LRE는 TLR4/Myd88/NF-κB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고 NQO1/Nrf2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HGF-1 세포에서 LPS-PG에 의해 유도된 염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LRE는 식·의약품 소재 개발에서 치주질환 개선의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람 백악질 유래 세포의 형질 특성에 관한 연구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Cementum-Derived Cells in Human)

  • 김수환;양병근;구영;류인철;정종평;한수부;이용무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69-279
    • /
    • 2004
  • 백악질 세포의 분리 및 배양방법을 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백악질 세포의 형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 소구치를 이용하여, 치은섬유아세포, 치주인대 세포 및 백악질 유래세포를 분리, 배양하였다. 백악질 유래 세포 배양시에는 백악질을 절제한 후 Collagenase P를 이용하여 백악질 유래 세포 외의 다른 세포의 개제를 배제하였고, 기질을 분해하여 세포의 분리 및 배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분리 및 배양시기의 세포의 형태를 광화현미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골세포의 특성을 가지는 SaOs-2 세포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분리 및 배양된 세포군들을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3일 및 7일째에 세포증식도를 측정하였고 7일째에 ALPase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각 세포의 형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하여 조골세포 분화 표식자와 연관된 osteopontin(OPN), Alkaline phosphatase(ALP), type I collagen(COL-I), Bone sialoprotein(BSP), BMP-2 및 osteocalcin(OC)의 발현을 비교 관찰하였다. 백악질 유래 세포의 분리 및 배양을 시도한 5명의 치아 중에서 3명의 치아에서 세포군을 배양해 낼 수 있었다. 배양한 백악질 유래 세포는 섬유아세포와 유사한 형태와 증식을 보였다. ALPase 효소 활성도 검사 결과 백악질 유래 세포는 SaOs-2 세포보다 낮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배양된 세포의 RT-PCR 결과 백악질 유래 세포군에서는 ALPase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았고, 다른 조골세포 표식자의 발현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백악질 유래 세포가 조골세포 및 다른 대조군의 세포와는 다른 형질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상의 관찰결과로 사람의 백악질 유래 세포롤 백악질의 절제 및 효소처리 방법으로 효과적인 분리 및 배양이 가능하며, 이는 향후 백악질 세포의 형질 특성 및 백악질 형성의 분자적 기전을 파악하는 중요한 연구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주인대세포의 골기질 단백질 유전자 발현에 대한 Dexamethasone의 영향 (The effect of dexamethasone on the gene expression of the bone matrix protein in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정하봉;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445-456
    • /
    • 2002
  • 치주조직 재생을 위해서는 새로운 백악질과 치조골 그리고, 치주인대의 재생이 필요하며, 이러한 재생을 담당할 세포의 분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분화를 담당하는 것은 치주인대세포이며, 이 중 골아세포의 분화가 중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치주조직 재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치주인대세포의 골아세포성 세포로의 분화를 관찰하며, Dex가 광물화에 미치는 영향과 농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또한, 광물화시 발현되는 여러 골기질 단백질 중 Matrix GlaProtein의 발현양상도 관찰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의 제1소구치 부위의 정상치은을 절제하고, 건강한 제1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은섬유아세포와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ascorbic acid와 ${\beta}$-glycerophosphate 투여군을 실험1군, ascorbic acid, ${\beta}$-glycerophosphate, Dex 100nM 투여군을 실험 2군, ascorbic acid, ${\beta}$-glycerophosphate, Dex $5{\mu}M$ 투여군을 실험3군, 그리고, 단순 배양만 시킨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른 치주인대세포 형태의 변화 양상은 초기에 방추형 혹은 다각형의 단일층 형태에서 7일경에는 세포 크기와 수가 증가하여 복합층 형태로 변화했으며, 배양 14일 이후에는 세포들의 방향성이 없어지고, 더욱 치밀해 졌다. 골 결절형성은 치주인 대세포의 Dex 투여군에서만 21일째에 나타났으며, $5{\mu}M$ 투여군에서 100nM 투여군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ALP 활성도를 비교해보면 치주인대세포에서 0, 7일 경에는 활성도를 보이지 않았으며, 14일경에 높은 활성도롤 나타냈으며, 21일에도 비슷한 활성도를 유지하였다. MGP 유전자 발현 양상은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Matrix Gla Protein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이 나타났으며,그 발현양상은 모든 시기에서 일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주인대세포는 골아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하며, Dex는 농도의존적으로 광물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MGP는 치주인대세포에서 발현이 감지되었으며, 광물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개에서 거대세포 치은종의 증례 (Peripheral Giant Cell Granuloma in a Dog)

  • 조은상;전성주;홍다해;류시윤;정주영;박배근;손화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78-481
    • /
    • 2013
  • 18살의 암컷 푸들의 구강에서 종괴가 발견되었다. 육안적으로, 종괴는 단단하고, 적자색을 띠었으며, 크기는 $1.5{\times}1.5{\times}1cm$ 였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종괴는 과증식된 잇몸 상피와 혈관이 잘 발달된 기질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다형 세포 및 퐁부한 호산성 세포질과 다수의 핵을 가진 많은 수의 거대 세포가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종양 세포는 alkaline phosphatase와 cytokeratin 7에 양성 반응이었지만, CD68에 음성 반응이었다. 종괴는 전형적인 임상적, 조직병리학적인 특징에 의해 구강내 거대세포 치은종으로 진단되었다.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Nitric Oxide Synthetase의 발현 양상 (THE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ETASE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S)

  • 박동권;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7-120
    • /
    • 2001
  • 반응 질소 중간 대사물 중의 하나인 nitric oride(NO)는 작고 불안정하며 전하가 없는 free radical이며 신체의 여러 종류 세포에서 분비되어 대부분의 조직 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NO는 lipopolysacchatide나 cytokines 등의 자극으로 골모세로로부터 생산되어 파골세포의 활성을 강력하제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NO는 L-arguinine으로부터 nitric oxide synthetase(NOS)에 의해 합성된다. 골개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생체 내 치아이동 및 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에서 NO 및 NOS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교정적 치아이동에서 치주인대의 재생 과정과 관련되어 이들의 역할이 밝혀진 것이 드물었다. 본 연구에서는 견인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시간 경과에 따른 NOS의 발현 정도 및 분포 변화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계 백서 27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4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견인력(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 28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NOS_3$$NOS_2$의 발현 정도 및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의 $NOS_3$ 발현은 치은과 상아질, 치주인대, 치조골에서 경미 하였지만 치수, 악간 봉합에서는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으며, $NOS_2$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2. 실험군의 상아질, 치은, 백악질, 백악모세포, 상아모세포에서의 $NOS_3$$NOS_2$의 발현은 견인력 적용 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이 경미하거나 약양성이었다. 3. 치주인대에서의 $NOS_3$의 발현은 실험 4일째부터 치근단에서 증가되어 7일째에 압박측을 중심으로 증가한 이후 감소되었다. 4. 치조골에서의 $NOS_3$는 실험 7일째까지 경미한 발현을 보이다가 14일째부터 28일째까지 약양성으로 발현 증가를 보였으며 압박 및 견인측 간의 차이는 없었다. 5. 치주인대에서의 $NOS_2$는 압박측과 견인측 간의 차이 없이 실험 7일째 이후에 대조군보다 증가된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으며 $NOS_3$의 발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6. 치조골에서의 $NOS_2$의 발현은 14일째에 가장 크게 증가하여 골모세포, 파골세포, 골세포 모두에서 발현되었으며 압박측보다 견인측 치조골의 골세포에서 약간 많았다.

  • PDF

치은 섬유아세포(纖維芽細胞)에 대(對)한 은(銀)-파라디움합금(合金)의 세포독성(細胞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CYTOTOXICITY OF SILVERPALLADIUM ALLOYS UPON GINGIVAL FIBROBLAST BY MEANS OF TISSUE CULTURE)

  • 유인탁;최부병;김인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26
    • /
    • 198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iocompatibility of silver-palladium alloys, gingival fibroblast was obtained from a healthy human gingival and cultured in MEM medium with the addition of silverpalladium alloys. Four different mixture of silver-palladium alloys comprising of Ag-Pd-Au, Ag-Pd-In and Ag-Sn were tested. Results were assessed by calculating the cell multiplication rate per millimeter of medium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cells were also observed and noted.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g-Pd-Au alloy was indicated to be most biocompatible with gingival fibroblast. Also there was a decrease in cytotoxicity of the alloy as the concentration of gold increased. 2. Ag-Pd alloy showed a decrease in cell multiplication rate as compared to Ag-Pd~Au alloy. 3. Silver-palladium alloy supplemented with Indium increased the cell multiplication rate. 4. Among the alloys tested, Ag-Sn alloy was indicated to be the most cytotoxic and the least biocompatible with human gingival fibroblast.

  • PDF

교정용 호선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wires)

  • 임용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1-599
    • /
    • 1996
  • 본 연구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두 종류의 교정용 호선에 다양한 처리를 가한 후 호선의 세포독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018x025 inch 굵기의 stainless steel 호선과 Co-Cr 호선을 실험 재료로 선택하여 stainless steel 호선을 A 호선, Co-Cr호선을 B 호선이라 칭하였으며 각각의 호선을 다시 가해진 처리에 따라 4군으로 나누었다. A-1군과 B-1군은 제작된 상태 그대로의 호선을 이용하였으며 A-2, B-2군은 기기를 이용하여 $850^{\circ}\;F$에서 4분간 열처리하였다. A-3, B-3군은 같은 방법으로 열처리한 후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전해연마를 시행하였고 A-4, B-4군은 소량의 은납(Ag-solder)을 납착(soldering) 하였다. 사람의 치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고 agar overlay법을 이용하여 각군의 호선의 세포독성을 검사하였으며 세포독성을 반응지수(탈색지수/용해지수)로 평가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stainless steel 호선과 Co-Cr 호선 모두 제작된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2. 두 호선에 대한 열처리나 전해연마는 호선의 세포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3. 은납이 납착된 stainless steel호선은 은납이 납착된 Co-Cr호선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탈색을 나타냈으나 탈색지수와 세포독성(반응지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은납이 납착된 호선은 두 호선 모두에서 중증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 PDF

Nifedipine이 건강 치은 조직의 치은 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fedipine on Cellular Activity of Human Gingival Fibroblast)

  • 신형식;한희란;김명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669-679
    • /
    • 1996
  • Gingival overgrowth is a well known side effect of several drugs, including nifedipine, phenytoin, cyclosporin, dilitiazem, verapamil.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y which nifedipine(a calcium channel blocking agent) affects the gingival tissue. The aim of the present work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fedipine on healthy gingival fibroblasts with special emphasis on determining the changes in cellular proliferation and protein and collagen synthesis. Gingival fibroblasts were obtained from the explants of healthy gingiva of extracted 3rd molars or premolar teeth extracted from the patients for orthodontic treatment. To evaluate the effect of nifedipine on cell proliferation, the cells were seeded at a cell density of $1{\times}10^4$cells/well in 24-well culture plates and treated with 100 and 200ng/ml of nifedipine for 10days. After trypsinization, the cells were counted with a haemocytometer on 1st, 3rd, 5th, 7th and 10th days. Then, MTT assay was carried out. For total protein and percent collagen synthesis, $3{\mu}Ci/ml$ $^3H-proline$ was added to each well for the final 4 hours of the incubation period. The results indicate that nifedipine does not influence cell proliferation in healthy gingival fibroblast in vitro and has a specific effect in reducing total protein and percent collagen synthesis. On the above the findings, exogenous nifedipine does not influence on healthy human gingival fibroblast proliferation and protein and collagen synthesis.

  • PDF

황련과 Centella asiatica 추출물이 치은 섬유모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hizoma coptidis and Centella asiatica extracts 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유형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681-688
    • /
    • 1996
  • Periodontal regeneration requires the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gingival fibroblasts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These cellular events are influenced and regulated by growth factors and some dru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hizoma coptidis and Centella asiatica extracts 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Gingival fibroblasts were primarily cultured from extracted premolar with non-periodontal diseases. Cells were cultured with ${\alpha}-MEM$ at $37^{\circ}C$, 5% $CO_2$, 100% humidity incubator for 2 or 3 days, as a measure of cell proliferation potential, it was examined that the DNA synthesis using $[^3H]-thyrnidine$ incorporation, the cell numbers (with or without dye), and cell viabilities. Rhizoma coptidis is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gingival fibroblasts at concentration of $10^{-9}g/ml$, but Centella asiatica is decreased the proliferation at all concentrat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Rhizoma coptidis is a potential mitogen for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vitro, and we can expect the usefulness of this drug in periodontal regeneration.

  • PDF

치은 섬유아세포(Gingival fibroblast)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광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ITS OF LOW POWER DENSITY LASER ON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

  • 김기석;김생곤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2권1호
    • /
    • pp.17-26
    • /
    • 198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iostimulatory effect of low power density laser radiation in vitro,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cultured in MEM in which experiment groups respectively were made to 30 sec, 60 sec and 90 sec group.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cell count, DNA and protein content measurements after experimental groups were irradiated with GaAlAs laser every day by forth day and th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ell count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increased with exposure time, but showed no significance (P>0.05). 2. When the protein contents were compared, there was a very significant increase in 90 sec. experimental group (P<0.01). 3. When the DNA contents were compar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control and 70 sec. group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