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유기간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linical Study on B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양측성대마비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광문;최홍식;최흥식;조정일;김세헌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6.11a
    • /
    • pp.84-84
    • /
    • 1996
  • 1986년 10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환자로서 문진, 이학적검사 및 방사선학적검사에 의하여 양측성대마비로 진단된 47례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주증상, 성대마비의 원인 및 치료경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34례(72%), 여자가 13례(28%)였고 연령별로는 20대에서 60대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6세였다. 주증상이 호흡곤란이었던 경우가 22례(47%)로 가장 많았고 애성이 19례(40%)로 그 다음 순이었다. 성대마비의 원인별로 보면, 중추성이 4례(9%)였고, 나머지는 말초성으로 이중 비수술적 외상에 의한 경우가 15례(32%)로 가장 많았고 수술적 외상이 10례(21%), 특발성이 9례(19%), 기도내 삽관이 5례(11%)였으며, 이외에도 염증성요인에 의한 것이 2례, 갑상선종양에 의한 것이 1례, 그리고 중증근무력증에 의한 것이 1례이었다. 양측성대마비에 대한 치료로서 기관절개술이 13례(28%), 피열연골절제술이 13례(28%)에서 행해졌으며 이중 술후 완전탈관이 가능하였던 경우는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던 경우에 6례(46%), 피열연골절제술을 시행하였던 경우에 9례(69%)였고 수술후 완전탈관까지의 기간은 기관절개술의 경우 평균 18개월, 피열연골절제술의 경우 평균 3개월이었다. 이외 보존적 치료가 20례(43%)에서 행해졌으며 이중 2례는 자연치유되었다.

  • PDF

IMPEDANCE AUDIOMETRY IN RELATION TO CHRONIC MAXILLARY SINUSITIS (만성 상악동염이 중이기능에 미치는 영향)

  • 문영일;박연아;김영주;조은아;서명숙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2.2-12
    • /
    • 1987
  • 만성 상악동염은 동점막의 복잡한 변화를 일으키고, 만성증으로 지속되는 비분비물 및 비점막의 염증이 이관에 파급되어 중이에 영향을 미치며 그 치유경과를 늦추게 한다. 저자는 만성 상악동염에서 동점막의 비후정도가 이관 및 중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1986년 1월부터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비폐색 및 비루를 주소로하여 내원한 환자중 만성 상악동염으로 진단된 16세 이상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동점막 비후정도에 따라 비정상군을 경도(2~3mm), 중등도(4mm이상), 고도(상악동 전체혼탁) 3군으로나누어 각각 40예를 조사군으로 하고 동점막의 두께가 0~1mm인 경우를 정상대조군으로 하여 40예를 GSI 28 AUTO TYMP를 사용하여 screening audiometry, tympanometry, acoustic reflex threshold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의 비는 1 : 2.6이고 21세에서 30세군이 53예(33.0%)로 가장 많았다. 2) 증상발현기간은 6개월 이내가 42.5%로 가장 많았다. 3) Tympanogram의 분포에서 비정상적 type으로 나오는 비율이 정상군과 비정상군중에서 경도군이 각각 22.5%이었고 중등도군이 30.0%, 고도군이 50.0% 순이었다. 4) 등골근반사역치는 정상군과 비정상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5) 등골근무반사율 역시 정상군과 비정상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 PDF

Application of Simplified Curing Unit for the Extension of Storage Life and Improvement of Physicochemical Quality of Sweet Potatoes during Long-term Storage (간이 큐어링 설비를 이용한 큐어링 처리가 장기간 저장 중 고구마의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 Song, Jeong-Hwa;Kim, Sung-Kyeom;Chun, Chang-H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0 no.4
    • /
    • pp.304-310
    • /
    • 2011
  • To evaluate the effect of curing treatment using a newly developed simplified curing unit (SCU)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of stored sweet potatoes was investigated for six months. The SCU consisting of a heater, an air circulation fan, exhaust fans, and a humidifying duct was installed in a cold storage room where the harvested sweet potatoes were stacked. During the six days of curing treatment,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storage room were set at $32^{\circ}C$ and 90%, respectively.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es were measured at 1-month intervals from the first day of storage. McKinney index showing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decay was 0.83% in the curing treatment, while that of untreated control was 5.08% over the same storing period.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and dry matter content in the cured sweet potato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untreated control. Moreover, the changes of skin color in uncured potatoes occurred rapidly than cured one which showed delay of skin discoloration during the long-term storage. Results suggest that the SCU treatment improves the physicochemical quality of stored sweet potatoes and extends their storability. Therefore, the SCU can be effectively used for curing treatment of sweet potatoes with a relatively low cost.

Histomorphometric study of machined titanium implants and calcium phosphate coated titanium implants (Machined 티타늄 임플란트와 calcium phosphate coated 티타늄 임플란트의 조직형태계측학적 연구)

  • Kang, Hyun-Joo;Yang, Jae-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8 no.2
    • /
    • pp.122-127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lcium phosphate coated titanium implant surface on bone response and implant stability at early stage of healing period of 3 weeks and later healing period of 6 weeks. Material and methods: A total of 24 machined, screw-shaped implants (Dentium Co., Ltd., Seoul, Korea) which dimensions were 3.3 mm in diameter and 5.0 mm in length, were used in this research. All implants (n = 24), made of commercially pure (grade IV) titanium, were divided into 2 groups. Twelve implants (n = 12) were machined without any surface modification (control). The test implants (n = 12) were anodized and coated with thin film (150nm) of calcium phosphate by electron-beam deposition. The implants were placed on the proximal surface of the rabbit tibiae. The bone to implant contact (BIC) ratios was evaluated after 3 and 6 weeks of implant insertion. Results: The BIC percentage of calcium phosphate coated implants ($70.8{\pm}18.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chined implants ($44.1{\pm}16.5%$) 3 weeks after implant insertion (P = 0.0264).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fter 6 weeks of healing (P > .05). Conclusion: The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of implant surface revealed that; 1. After 3 weeks early healing period, bone to implant contact (BIC) percentage of calcium phosphate coated implants (70.8%)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surface untreated machined implants (44.1%) with P = 0.0264. 2. After 6 weeks healing period, however, BIC percentage of calcium phosphate coated implants group (79.0%) was similar to the machined only implant group (78.6%).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 = 0.8074). 3. We found the significant de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early healing period of 3 weeks. But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during the later of 6 weeks.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두경부에 생긴 선양 낭포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 Kim, Won-Dong;Park, Charn-Ii;Kim, Kwang-Hyu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0 no.1
    • /
    • pp.35-41
    • /
    • 1992
  • Forty eight patients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in the head and neck treated between 1979 and 1990 were reviewed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and clinical courses. The common site of origin was minor salivary gland ($69\%$), mostly hard palate and maxillary sinus. 11 patients received radiation therapy (RT) alone and 37 patients received combined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The follow-up period of the survivors ranged from 4 to 118 months (median 49.5 months). The 5 year local control rate was $69.3\%$, $67.3\%$ and 83.9$\%$ in RT alone, conservative operation (OP)+RT and radical OP+RT group, respectively (p>0.05). The control of local disease was best achieved with radical OP+RT. In postoperative RT, high dose ($\ge$60 Gy) and generous field size($\ge$64 cm$^2$) yielded a better local control rate. Actuarial overall survival rate was $79.0\%$, at 5 years and $19.2\%$ at 10 years. Distant metastases (DM) developed in $40\%$ of patients, mostly in the lung. Disease-free (NED) survival rate was $45.8\%$ at 5 year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did not exist according to primary sites and treatment options. Survival rate after the onset of DM was $19.5\%$ at 5 years. Occurrence of DM tends to lower survival significantly. In an effort to find the role of RT in the treatment of ACC, our data suggest that a well-planned postoperative RT employing a high dose and generous field size can produce high local control rate and remaining urgent problem of distant metastasis demands more effective chemotherap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urvival of ACC patients.

  • PDF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Soft Tissue Sarcomas (연조직육종에서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 Kim, Won-Dong;Oh, Do-Hoon;Ha, Sung-Wha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3 no.1
    • /
    • pp.69-78
    • /
    • 1995
  • Seventy four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s treated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979 and September 1990 were analyzed.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3 to 145 months with a median of 51 months. Liposarcoma and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MFH) constituted $54\%$ of the cases and the histologic grades of tumors are as follows: grade I, 23 cases; grade II, 17 cases; grade III, 24 cases: unknown grade, 10 cases.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marginal(17 cases), wide(55 cases) or compartmental(2 cases) excision followed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The total radiation doses were 4200-8820 cGy (median 6000 cGy), 180-200 cGy daily. 5 times per week. Of 74 Patients, 35 ultimately failed. The local control was $62.2\%$ at 5 years and cumulative risk of distant metastasis was $22,3\%$ at 5 years. Th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72.3\%$, and $53.3\%$ at 5 years, respectively. Survival after appearance of metastasis was $15.1\%$ at 3 years. Patients with liposarcoma experienced better local control than those with other histologic type and tumor grade and surgical resection margin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cal recurrence, distant metastasis and overall survival on univariate analysis. In conclusion, re-excision is needed for patients with positive surgical resection margin to improve local control and further therapeutic measures using effective chemotherapy should be explored in the hope of improving overall survival.

  • PDF

The effect of enamel matrix derivative (EMD) in combination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aterial (DBBM) on the early wound healing of rabbit calvarial defects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혼합된 이종골 이식재가 토끼 두개골 결손부 초기 치유에 미치는 영향)

  • Kim, You-Seok;Jang, Hyun-Seon;Park, Ju-Chol;Kim, Heoung-Jung;Lee, Jong-Woo;Kim, Chong-Kwan;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99-216
    • /
    • 2005
  • 치주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상실된 치주조직의 형태적, 기능적 재건이다. 법랑기칠 단백질 유도체(enamel matrix derivative: EMD)는 치주 병소에 사용시 상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치주인대 및 백악아세포를 활성화시켜 무세포성 백악질 및 치주인대와 골조직의 생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법랑기질 단백칠 유도체는 골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시키며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 및 mineralized nodule의 형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이식한 후 골밀도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고, 신생골 형성 및 주변 조직 반응을 조직학적으로 관찰,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끼 두개골에 6mm trephine bur(외경 8mm)를 이용하여 경뇌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4개의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아무것도 이식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이종골 이식재 ($Bio-Oss^{(R)}$, Geistlich, Wolhusen, Switzerland)을 이식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 ($Emdogain^{(R)}$, Biora, Inc., Sweden)만 이식한 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이식한 군을 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재료를 이식한 후 비흡수성 차폐막 ($Tefgen^{(R)}$, Lifecore Biomedical, Inc., U.S.A.)을 위치시키고 흡수성 봉합사로 일차봉합을 시행하였다. 각 군당 술 후 1, 2, 4주의 치유기간을 설정하였다. 동물을 희생시킨 후 두개골을 절제하여 먼저 방사선학적인 골밀도측정을 시행한 후 10%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법에 따라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 방사선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에서 더 큰 골의 밀도를 보이고 있었다 (P<0.01). 하지만, 동일한 시기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P>0.05),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의 차이 또한 발견할 수 없었다 (P>0.05). 2. 조직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군에서 골의 형성이 더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이 대조군보다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볼 수 있었으며,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보다 1,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 치유단계에서 초기 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골 이식시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적용하는 것은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A Comparison of the Implant Stability Among the Bone Density Groups: Prospective Study (골밀도와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에 대한 전향적 연구)

  • Ko, Sok-Min;Park, Seong-Jae;Lee, In-Kyung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9 no.1
    • /
    • pp.11-2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a proper time when implant was loaded and superstructure was fabricated by tracing a change of the implant stability in bone type for 1 year. We carried out RFA(resonance frequency analysis) of 67 implants in 36 patients at the time of surgery, 2, 6, 10, 14weeks, and 1year postoperatively for each implant, and analyzed data for different bone density. The ISQ value at the time of 10 & 14weeks postoperatively were significant(P<0.01) in subjective grouping, while that were not significant in objective grouping(P>0.05). The change pattern of ISQ value could be expressed $y=y_0+a{\times}\{1-\exp(-b{\times}x)\}$ for 1 year in this study, ISQ value at surgery might be used to estimate the time of superstructure fabrication consequentially.

Clinical Course of Aplasia Cutis Congenita (선천성 피부 무형성증의 임상 경과)

  • Kim, Ji-Young;Lee, Yeon-Kyung;Ko, Sun-Young;Kim, Kyung-A;Shin, Son-Moon
    • Neonatal Medicine
    • /
    • v.18 no.2
    • /
    • pp.359-364
    • /
    • 2011
  • Purpose: Aplasia cutis congenita (ACC) is a rare condition characterized by a localized absence of skin, and it can be associated with other congenital anomalies.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clinical course and outcome of ACC in neonates. Method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8 neonates diagnosed with ACC at Cheil General Hospital and Women's Health Care Center,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0. We classified ACC by Frieden's classification and analyzed the patient's demographic data, clinical course and outcome. Results: Among 8 patients with ACC, 5 patients were classified to group 1; scalp ACC without anomalies and 3 patients to group 7; ACC localized to extremities without blistering. Defect size was from 0.3 cm to 1.5 cm, limited in the superficial skin or subcutaneous tissue without associated anomalies. Defects were healed under conservative treatment with mild scar formation within four months. Conclusion: ACC could be diagnosed easily through physical examination in neonates. All cases showed good clinical outcome without surgical treatment. However because of small numbers and small sized defects of cases, further study including lesions of large size is needed.

Biocompatibility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Si,Mn)-HA Coated Ti-Alloy by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법으로 (Si,Mn)-HA 코팅된 치과 임플란트용 Ti 합금의 생체적합성 및 표면특성)

  • Gang, Jeong-In;Son, Mi-Gyeong;Choe, H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83-83
    • /
    • 2017
  • 생체재료의 표면은 이식과 동시에 생체계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일련의 생물학적 반응이 시작되고 진행되는 중요한 장소가 된다. 초기에 생체계면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흡착이나 염증반응을 비롯한 생물학적 반응들은 궁극적으로 임플란트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골융합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생체불활성의 타이타늄 (Ti)과 골조직의 능동적인 반응을 이루기 위해 생체활성 표면을 부여함으로서 계면에서의 골형성 반응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생체불활성의 Ti과 Ti합금은 골조직과 직접적인 결합을 이루지 못하므로, 골조직과의 반응을 향상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생체활성 재료를 코팅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고, 이 중 생체의 변화와 가장 유사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코팅이 가장 대중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초기 골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형상과 화학조성이 골 융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므로 최근의 연구동향은 이들 두 가지 표면특성을 결합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최적의 골세포반응을 유도하고, 골융합 후 골조직과의 micromechanical interlocking에 의해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이크론 단위의 표면조도와 표면 구조를 유지하면서, 부가적으로 골 조직 반응을 능동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생체활성 성분을 부여하여 골 융합에 상승효과를 이루기 위한 표면처리법에 관해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골을 구하는 원소인 망간과 실리콘으로 치환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으로 코팅하여 세포와 잘 결합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골 융합과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방법은 시편은 치과 임플란트 제작 합금인 Ti-6Al-4V ELI disk (grade 5, Timet Co., USA; diameter, 10 mm, thickness, 3 mm)이며, calcium acetate monohydrate, calcium glycerophosphate, manganese(II) acetate tetrahydrate, sodium metasilicate을 설계조건에 따라 혼합 제조된 전해질 용액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으로 표면 코팅을 실시하였다. 각 시편의 플라즈마 전해시 전압은 280V로 인가하였고, 전류밀도는 70mA로 정전류를 공급하여 해당 인가전압 도달 후 3분 동안 정전압 방식을 유지하였다. 코팅된 피막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과 X-선 회절분석을 통하여 미세구조 및 결정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코팅된 표면의 생체활성 평가는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동전위시험과 AC 임피던스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분극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potentiostat (Model PARSTAT 2273, EG&G, USA)을 이용하여 구강 내 환경과 유사한 $36.5{\pm}1^{\circ}C$의 0.9 wt.% NaCl에서 실시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 거동은 potentiodynamic 방법으로 조사하였고 인가전위는 -1500 mV에서 2000 mV까지 분당 1.67 mV/min 의 주사속도로 인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임피던스 측정은 potentiostat (Model PARSTAT 2273, EG&G, USA)을 이용하였으며, 측정에 사용한 주파수 영역은 10mHz ~ 100kHz 까지의 범위로 하여 조사하였고 ZSimWin(Princeton applied Research, US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용액의 저항, 분극 저항 값을 산출하였다. 망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불규칙한 기공을 보였으며, 실리콘은 $TiO_2$ 산화막 형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독으로 표면을 처리한 경우보다 두 가지 원소를 이용해 복합 표면처리를 시행한 경우가 내식성이 좋아 임플란트과의 골 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