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열궁 형태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인(韓國人) 성인(成人) 치열궁(齒列弓)의 형태학적(形態學的) 연구(硏究) (A Morphological Study of Dental Arches in Korean Adults)

  • 우상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0-36
    • /
    • 1968
  • The measurements on the various items, such as arch form, kinds of anterior dental arch, degree of curvature in anterior dental arches,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of the disto-incisal edge of the canine and first premolar, and kinds of posterior dental arch in upper dental arches were studied on 311 cases of the Korean adults aged from 20 to 30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mmonest type of the upper dental arches was U-type (53.7%), the remaining were O-type (25.4%) and V-type (20.0%). 2. A slight curvature type (71.87%) prevailed against angulated curvature type in upper anterior dental arches. 3. The degree of curvature from $121^{\circ}$ to $160^{\circ}$ in anterior dental arches was common, and the degree of curve of 1-type with on curvature was smaller than 4, 5 type with two curvature. 4. The direction of the disto-incisal edge of canine went between the tip of the buccal cusp and the lingual incline of the buccal cusp of the first premolar in most dental arches and went lingual incline of the buccal cusp of the first premolar in U-type, from buccal cusp to lingual cusp of the first premolar in O-type and were distributed from buccal edge to central groove of the first premolar in V-type. 5. A posterior dental arch with almost straight curvature was common in 60.87%, and 4-type with a half rounded curve from first premolar to second molar was next.

  • PDF

지역 및 안모형태에 따른 여고생의 치열궁 크기에 대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DENTAL ARCH DIMENSION OF HIGH SCHOOL FEMALES ACCORDING TO THE REGION OF RESIDENCE AND FACIAL TYPE)

  • 장재홍;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85-895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ental arch dimensions of urban and rural high school females according to the region of residence and facial type. A model and cephalometric analysis was made from 48 urban and 48 rural high school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 1. Arch width in the urban group were similar to the rural group. 2. Lingual arch length at upper 1st premolar level in the urban group was larger than the rural group and lingual arch length at lower canine level in rural group was larger than the urban group. 3. Palatal height at canine level in the rural group was higher than the urban group. 4. Palatal heights at 2nd premolar and 1st molar level had correlation with the VERT index. In comparison of lingual arch dimensions according to Rickett's facial group, palatal heights at 2nd premolar and 1st molar level in dolichofacial group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 PDF

발치지수(Extraction Index) 기준에 관한 두부 방사선학적 연구 (A Roentgenographic Study on the Extraction Index in Korean Adolescent)

  • 신수정;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9-358
    • /
    • 1996
  •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영구치 발거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교정학의 역사상 커다란 논쟁거리였고, 따라서 진단과정에서 사용되는 많은 분석법들과 발치의 기준들이 제시되었다. 이제까지 제시되어 온 발치기준들(Extraction formulas)을 검토해 보면, 치열궁 장경 부조화, 치열의 전방돌출, 그리고 환자의 골격형태에 기초하여 발치를 결정함을 알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진단요소는 환자의 골격형태로, 결국 개개 환자의 부정교합은 그 환자의 골격형태 범위 내에서 치료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EI(Extraction Index)는 환자의 골격형태를 감별진단 할수 있는 CF를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고, CF는 부정교합의 수직적, 수평적 요소를 감별해내는 ODI이와 APDI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피에는 환자의 안모에 영향을 미치는 절치간 각과 입술의 전후방 위치가 포함되어 있어서 안모형태도 고려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교합자로서 골격이 조화를 이루며 좋은 안모를 가지고 있고 교정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11.2 - 14.4 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두부계측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EI에 관련된 항목들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ODI이는 $73.5^{\circ}$, APDI는 $82.8^{\circ}$, CF는 $156.3^{\circ}$ 였다. 2. 절치간 각은 $123.6^{\circ}$ 였다. 3. E-line에 대한 상순의 거리는 0.0mm, 하순은 1.4mm 였다. 4. Extraction Index는 153.8 였다.

  • PDF

Preformed Arch Wire 제작(製作)을 위(爲)한 한국인(韓國人) 정상교합자(正常咬合者)의 치열궁형태(齒列弓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NFIGURATIONS OF KOREAN NORMAL DENTAL ARCHES FOR PREFORMED ARCH WIRE)

  • 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3-101
    • /
    • 1984
  • Human dental arches are very various in their sizes and dimensions as well as forms, so, it is very difficult to describe the shape of human dental arches as a criterion, and, further, to construct the preformed arch wires fit to them. In this study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shape of eighty Korean normal lower dental arches were studied, and nine theoretical two-parameter catenary curves were derived,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all of the sample. Test were conducted which demonstrated that these nine cattenary curves would correspond with a reasonable degree of accuracy to all of the dental arches, lower and upper.

  • PDF

Facial mask를 이용한 구순구개열 아동의 악안면 성장조절 (Growth modification treatment with facial mask in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전영미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18
    • /
    • 2001
  • 구순구개열은 악안면 영역의 선천기형 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으며 출생시부터 성장완료 시기까지 일관된 치료계획에 의한 종합적 진료체계가 필수적이다. 구순구개열의 개선을 위한 구개부 및 입숭? 조기 봉합 후의 반흔조직의 형성은 치열궁 협착 뿐 아니라 상악골 열성장에 의한 중안모의 함몰을 야기하며 이러한 상악골의 열성장 경향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성향을 보인다. 따라서, 성장잠재력을 이용한 조기의 악정형치료는 구순구개열 환자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적절한 치료 결과를 얻어내기 위하여 환자의 전후방 골격 형태 뿐 아니라, 성장 방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러나 혼합치열기의 악정형치료는 좋은 결과를 얻었다 하더라도 높은 재발 성향 및 잔여성장에 의한 악골관계의 변화가 예상되므로 장기간의 보정이 필수적이며 성장에 대한 지속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환자별 교정시스템 구축의 기초 알고리즘 개발과 적용 (Finite Element Method Modeling for Individual Malocclusion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Basic Algorithm)

  • 신정욱;남동석;김태우;이성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5-824
    • /
    • 1997
  •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유한요소를 이용한 교정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정상교합자가 아닌 부정교합 환자별 유한요소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알고리즘 개발에 그 목표가 있다. 기존에는 유한요소 분석을 위해서 한 환자의 치열을 유한요소 모델로 재현하고자 할 때, 전처리 과정에 대부분의 시간을 소요해야만 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전처리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초 알고리즘을 마련하여, 향후 이 방면의 연구를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임의로 선택된 부정교합 환자의 상하악 모형을 이용하여 치아의 삼차원적인 위치를 계측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한요소의 전처리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하였다. 1. 상,하악 중절치에서 제2대구치까지 14개의 치아 형상을 상,하악 각각 구축하여 개별 파일로 저장한다. 2. 이 치아에 standard bracket을 치관의 FA point와 bracket slot의 중앙이 일치되도록 부착한다. 3. 대상 환자의 석고 모형을 제작한다. 4. 석고 모형에서 본 연구를 위해 제작된 기구들로 치아의 crown inclination, angulation, 그리고 교합면에서 치관첨까지의 수직거리를 계측한다. 5. 표준화하여 촬영한 석고 모형의 사진을 이용하여 화상처리기법으로 치아의 치열궁 형태를 파악한다. 또한 사진상에서 치아의 수평적 위치 및 회전량을 측정한다. 6. 계측된 crown inclination, angulation, 수직거리, 그리고 치열궁의 형태 및 치아의 회전정 도 등을 회전행열을 이용하여 만든 프로그램에 입력한다. 이 프로그램은 유한요소 전처리 과정에 필요한 치아의 배열상태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결과 파일로 제공하는데, 이 결과 파일은 일반적인 상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7. 개개의 치아 파일은 이 결과 파일에 따라 삼차원적인 위치로 배열되어 선택한 특정 환자의 유한요소 모델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 단계를 거친 후 임의로 선택한 부정교합자의 상,하악 유한요소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가 있었으며, 개개인 환자의 모형에서 얻은 정보로 유한요소 모델로 재현하기 위한 전처리과정의 기초 알고리즘을 마련하였다.

  • PDF

성장기 반대교합자의 FR III 효과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CONSIDERATION ON THE EFFECT OF FR III IN GROWING PATIENTS WITH ANTERIOR CROSS-BITE)

  • 송경;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0-143
    • /
    • 1989
  • FR III에 의해 전치부 반대교합이 개선된 성장기 반대교합자 7명을 대상으로 치료전과 전치부 반대교합개선 즉시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모형을 분석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으나, 악골형태, 성장형태, 부정교합상태등에 따라 아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어 FR III에 의한 악안면의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것으로 사료된다. 1. 상악골은 미약한 전상방으로의 회전 경향과 전방성장을 보였다. 2. 하악골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미약한 수직적 위치변화와 함께 하안면고가 증가되었다. 3. 상악전치는 치체이동 또는 순측경사되었다. 4. 모든 증례에서 하악전치는 설측경사를 보였다. 5. 상악치열궁 폭경은 증가되었으며, 하악치열궁 폭경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 PDF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구개 각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OF VARIOUS PARTS OF THE PALATE FOR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 이용훈;양연미;이용희;김상훈;김재곤;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9-578
    • /
    • 2004
  • 본 연구는 유치열과 영구치열에서 구개의 길이, 폭, 깊이 및 치열궁의 형태 등을 조사하여 남녀간의 차이와 유치열과 영구치열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유치열기 아동 100명과 영구치열기 성인 100명 총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악 석고 모형을 채득하고 3차원 laser scanner(SD Scanner, DS4060, LDI, U.S.A.)를 통한 석고 모델의 측정을 통해 cloud data, polygonization, section curve and loft surface, fit and horizontal plane (Surfacer 10.0. Imageware, U.S.A.)을 기초로 하여 구개의 폭, 길이, 높이 및 치열궁의 형태 등을 계측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t-tests가 사용되었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개의 계측항목에서 유치열 전방부 구개높이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크게 나왔으며, 유치열은 전구개폭(p<0.05)과 후구개폭(p<0.01), 영구치열은 구개폭(p<0.05)과 전구개길이(p<0.01), 중구개, 후구개길이(p<0.05)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남녀의 구개지수에서 유치열에서는 구개장고지수(p<0.05)와 구개장폭지수(p<0.01)가 남녀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구치열의 구개지수에서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계측항목 비교에서 후방부 구개폭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다음으로 후방부 구개높이, 전방부 구개폭, 전방부 구개길이 순이었다. 전방부 구개높이와 후방부 구개길이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4. 유치열과 영구치열의 구개지수 비교에서 구개장고지수와 구개장폭지수, 후구개폭고지수는 영구치열에서 증가하였고, 나머지 지수는 감소하였다.보아 Er:YAG 레이저와 Chinese ink로 photosensitization을 시행한 후의 Nd:YAG 레이저 조사는 일정시간 동안 S. mutans의 증식과 산 생성능을 억제시키므로써 치아우식증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되나 억제효과가 오래가지 않아 임상적으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자주 조사를 해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임상적으로 치아우식증 예방이란 단독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실용성이 크지 않다고 사료된다.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에서 resin tag의 길이가 길었고, lateral branch의 수도 많이 관찰되었다.TEX>$1\rightarrow6$ 결합이 주된 결합인 수용성 글루캔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Streptococcus salivarius 119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 억제작용은 수용성 글루캔 형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동을 유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이유식을 통한 다양한 식품의 경험 및 식품 섭취방법 등을 연습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식생활 및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영유아의 성장발달에 따른 적절한 영양교육의 실시가 보다 체계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내용, 방법 및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어서, B군은 A군,C군,D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고(p<0.05), E군은 F군,G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탈회 예방효과가 있었다. 4.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탈회 진행억제효과가 있었다. 5.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표본에

  • PDF

안모, 치열궁 및 상악 중절치의 형태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THE FORM OF THE FACE, THE DENTAL ARCH AND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 이봉호;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3-28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acial form, arch form and tooth form in young adults to determine if a correlation exists. 115 subjects who had healthy natural maxillary incisors and good occlusion consisted of 71 males and 44 females ranging from 20-30 years of age. Facial photographs and, intraoral photographs of upper anterior teeth and dental casts of upper jaws were taken to demonstrate facial form, dental arch form and tooth form. Form analysis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atio of the widths of the faces, dental archs and the teeth. The Chi-square test of independence between facial form, arch form and tooth form, was executed and the significance level deter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istribution of facial forms was 66.1% square-tapering, 27.0% square, 5.2% ovoid, 2% tapering-square. 2. The distribution of tooth forms was 65.2% ovoid, 20.0% square-tapering, 11.3 % tapering-square, 3.5 % square. 3. The distribution of arch forms was 50.4 % square-tapering, 48.7 % tapering, 0.9 % reverse tapering-square. 4.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facial forms, dental arch forms and tooth-forms between male and female. 5. No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tooth form and the facial form. 6. No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facial form and the dental arch form. 7. No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tooth form and the dental arch form. 8. This gave the impression that dental arch form and facial form could not be used as a true index in tooth selection.

  • PDF

저작운동에 미치는 치열궁형태의 영향에 관한 연구 III. 치열궁형태와 저작운동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THE STUDY OF THE EFFECT OF DENTAL ARCH FORM ON CHEWING MOVEMENT I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NIAL ARCH FORM AND THE CHEWING MOVEMENT)

  • 조병완;김종필;장헌수;안상헌;안재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65-572
    • /
    • 1994
  •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dental arch form and the analysis of patterns of chewing movement, the patterns of chewing movement in each group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group.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Opening phase in chewing movement In the group which the maxillary second molar positionsbuccal side, the chewing patterns which have the Vertical Guide Openings in frontal plane, the Posterior Guide Openings in hjorizontal plane were observed. In the group which the maxillary premolars position lingual side, the chewing paterns which have the Protrusive Shift Openings in horizontal plane and sagittal plane were observed. 2. Closing phase in chewing movement. In each group except for the normal group, the chewing patterns which have the Concave Closure in frontal plane and in Horizontal plane were observed. In the group which the maxillary premolars position buccal side, the chewing patterns which have the Lateral Guide Closure in frontal plane and in horizontal plane, the Vertical Guide Closre in sagittal plane were observed: From the result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ntal arch form have appeared in chewing movement, the clos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dental arch form and chewing movement. It i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of dental arch form is effective in the diagnosis of function of stomatognathic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