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수능력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evaluation of comprehensive flood management plan for the Yeongsan river basin using Robust Decision Making (로버스트 의사결정을 이용한 영산강유역 종합치수계획 재평가)

  • Kang, Dong-Heon;Kim, Young-Oh;Park, Junehy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2
    • /
    • pp.99-109
    • /
    • 2017
  • This research adopted a Robust Decision Making framework to re-evaluate four alternative strategies proposed by the Comprehensive Flood Management Plan for the Yeongsan River Basin report (MLTM, 2005) considering uncertainties of future floods under condition of climate change. To reflect the uncertainties, multiple sets of future flood scenarios were used with three uncertainty factors: the change in rainfall intensity based on the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changes in the temporal and the spatial flood distributions. With combinations of these factors, 216 plausible flood scenario sets were generated and the performances of the four alternatives under different future states were evaluated. From the results, the most robust alternative among the strategies was identified. Moreover, the key factors which made the tested alternatives poor were discovered through assessment of the uncertainty factors. This information can provide detailed insights to decision makers and can be utilized to overcome alternatives' potential vulnerabilities by modifying the strategy to be more robust.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applying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on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 (둑높이기 저수지의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Ryu, Jeong Hoon;Song, Jung Hu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9-369
    • /
    • 2017
  • 농업용저수지는 이수 목적으로 비홍수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 확보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농업용저수지가 홍수조절능력 또한 지니고 있음이 다수의 연구를 통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치수 목적으로 홍수기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치수 대책 또한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운영은 제한수위 방식을 기준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예비방류를 허용하는 조합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홍수기 이후 상시만수위로 복귀하지 못하면 해당 년도 잔여 비홍수기 혹은 다음 년도 영농 시작 시기의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홍수기 농업용저수지의 운영은 홍수조절과 함께 상시만수 위로의 복귀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VRWL) 방식은 홍수 발생빈도와 규모를 고려하여 단위기간별 (일별 혹은 순별) 제한수위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저수공간의 효율적 재할당에 따라 이수와 치수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를 대상으로 저수지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순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한 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110개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 중 가능최대홍수량 대상저수지 (유역면적 2,500 ha 이상, 총 저수량 500만 톤 이상) 12개소로 선정하였고, 저수지별 기상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저수지 유입량 모의를 위하여 장기유출량 산정 모형인 TANK를 이용하였으며, 구축된 저수지 유입량 자료를 토대로 순별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홍수기 저수지 유입량의 이론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토대로 초과확률 10%에 따른 순별 저수지 수위로서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변홍수기 제한수위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홍수조절용량을 산정하였고, 유역비 홍수량을 지표로 하여 홍수조절능력을 평가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및 관리, 운영 지침 개선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Development of Dam Risk Analysis Model Using Bayesian Network Model in Hydrologic (Bayesian Network(BN) 모형을 활용한 수문학적 댐 위험도 해석 기법 개발)

  • Kim, Jin Young;Kim, Jin-Gu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1-501
    • /
    • 2015
  •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치수능력부족은 구조물의 파손이나 붕괴로 직결되며, 대규모 재산피해와 인명피해가 불가피하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 현상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 예상치 못한 큰 강우와 홍수는 댐 안전을 저하하는 요소로 간주되며, 복합적으로 발생시 댐의 치수능력이 크게 저하되어 댐 파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또한 ICOLD, 세계대댐회 등의 조사 결과 댐 파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문학적 요소로서 예상치 못한 강우, 홍수 및 월류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문학적 위험인자를 효과적으로 고려하기 위해 2000년도 이후 선진국에서는 위험도 해석 기법을 기반으로 파괴모드, 다양한 하중조건 등을 조합하여 위험도 해석을 통해 댐의 안전도 검토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증가하는 기상변동성을 능동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는 위험도 해석기반의 수공구조물 안정성 평가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종합적인 위험도 해석 방안수립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BN 모형 기반의 댐 위험도 적용에 앞서 실증댐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OLD 및 세계대댐회 등 다양한 논문, 보고서 등을 조사하여 댐 붕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 파괴인자를 도출하였다. 둘째, BN 모형 구축시 각 노드는 앞서 도출된 수문학적 파괴인자를 이용하였으며, 각 파괴인자에 적합한 확률분포형을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노드별 임계값을 부여하여 상황별 파괴인자의 변화 양상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해 연구대상댐의 가장 취약한 수문학적 파괴인자 도출이 가능하며, 댐의 보수 보강시 우선순위 의사결정의 지원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in Detention Basin with Operation Rule of Pump Station (빗물펌프장 운영조건을 반영한 유수지 내의 흐름특성 수치모의)

  • Kim, Hyung-Jun;Rhee, Dong Sop;Yoon, Kwang Seok;Park,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24-324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우특성이 변화하여 기존 치수시설물의 설계능력을 초과하는 홍수사상이 빈발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내의 하천변 저지대는 대표적인 침수취약지역으로 강우사상이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경우 침수피해를 입을 수 있는 지역이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강우특성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존 빗물펌프장의 치수능력 증대 또는 신규시설의 설치가 필요하지만, 부지확보의 어려움으로 신규사업의 진행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비하여 기존 빗물펌프장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지 않고 있는 요소의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빗물펌프장의 유수지 용량 설계단계에서는 유입되는 우수의 수문곡선과 펌프의 최대토출량을 비교하여 잔류하게되는 우량수문곡선을 적분하여 설계용량을 산정한다. 그러나, 빗물펌프장의 실제 운영단계에서는 유수지 내의 수위와 하천의 수위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펌프를 가동하기 때문에 설계단계의 가정과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빗물펌프장은 넓은 부지에 유입구와 흡수정을 설치함에 있어서 배치에 따른 유수지내의 흐름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흡수정 설계단계에서는 흡수정으로 유입되는 흐름 특성이 토출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펌프장의 유수지 및 흡수정 형상과 펌프운영 기준을 반영하여 2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유수지내의 흐름특성을 재현하였다. 수치모의결과, 유수지 형상에 따라서 흐름특성이 상이하고 흡수정 인근의 흐름특성이 유수지와 흡수정 배치에 영향을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Method for Selecting a Structural Optimal Flood Mitigation Pla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화분석기법을 통한 구조물적 홍수방어 최적대안 선정 방안 연구)

  • Lee, Jeong-Ho;Jun, Young-Joon;Ahn, Jae-Hyun;Kim, Tae-W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3
    • /
    • pp.117-126
    • /
    • 2009
  • Various dimensions of watershed structural/non-structural planning can be applied in comprehensive flood mitigation plan in a river basin. Especially structural counterplans have very broad and diverse nature as flood control facilities. It is not easy to find the optimum alternative to maximize the ability of a basin to reduce flood risk using a combination of structural counterplans. In addition, there is no standar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structural counterplans and for selecting optimal combination of them.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select the best alternative of a comprehensive watershed structural plan from various flood defense alternative candidates. By introduc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we would like to show how we decide the best alternative using standard worksheets developed in this study for economics and policy evaluation, and Expert Choice 11.5, which calculates weights for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best practice of a standardized watershed plan for flood protection.

A Study on Alternatives Database Construction for a Efficient Levee Management (효율적 제방관리를 위한 DB구축 방안 연구)

  • Kang, Kyung-Seok;Lee, Kye-Yun;Park, Ki-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2-236
    • /
    • 2011
  • 우리나라의 물관련 정보는 국토해양부 및 관련 기관에서 구축 및 운영, 개발 중에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치수, 이수, 환경 및 생태분야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제방에 관련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며, 시스템 DB간의 상호 연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제방에 대한 DB관리 및 향후 제방의 안전모니터링을 위해 정확하고 다양한 제방관련 DB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방관련 DB구축을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구축을 위하여 국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인 하천일람의 "하천이력관리체계", 유역조사사업의 "WAMIS", 하천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RIMGIS"의 관련 자료를 분석한다. 기구축된 시스템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물관리정보 표준과 RIMGIS 관련코드를 적용한 도형 및 속성 정보의 테이블 설계를 수행하며, 기구축된 시스템의 제방관련 수집자료 DB 및 관련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제방제원 및 관리정보의 DB를 구축하도록 한다. 또한 향후 제방의 안전모니터링을 위한 관련항목을 포함하여 제방 유지 및 보수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제방관련 DB구축은 치수시설물 안전모니터링의 기초를 마련하여 홍수방어 및 관리시스템 구축에 활용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절감하고 기술수준을 향상시킴으로서 홍수 재해로부터 안전한 국토 건설 및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러한 제방관련 DB구축은 기구축된 시스템과 연계하여 국가 홍수관리 시스템 구축, 치수능력증대, 장래유역단위 통합홍수방어 및 관리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n Discharge Capacity Improvement for Small and Medium Sized Dams (중.소규모 댐에 대한 홍수배제능력 증대방안에 대한 연구)

  • Park, Sae-Hoon;Moon, Young-Il;Seo, Il-Won;Lee, Dae-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35-739
    • /
    • 2006
  • 중 소규모 댐의 경우 대부분 홍수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투자의 우선순위에 밀려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만약 댐이 붕괴될 경우에는 그 피해가 막대하므로 현실적인 대책수립과 함께 보강조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수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현실적인 대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기존의 중.소규모 댐들을 저수지 규모 및 여수로 형식별로 분석하였고, 홍수배제능력증대사례를 조사하여 중.소규모 댐들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의 여수로 개축모형(안)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정된 개축모형(안) 중에서 1차적으로 Labyrinth spillway의 경우에 대한 방류능력증대 효과를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검토한 결과 초기방류량의 증가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로 개축전의 월류수심 2.40m를 2.05m로 낮출 수 있고 기준 여유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alysis of Small reservoir system by Flood control ability augmentation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저수지시스템 분석)

  • Park Ki-Bum;Lee Soon-Tak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4 no.11
    • /
    • pp.995-1004
    • /
    • 2005
  • As a research establish reservoir safety operation for small dam systems. This study presents hydrologic analysis conducted in the Duckdong and Bomun dam watershed based on various rainfall data and increase inflow. Especially the Duckdong dam without flood control feature are widely exposed to the risk of flooding, thus it is constructed emergency gate at present. In this study reservoir routing program was simulation for basin runoff estimating using HEC-HMS model, the model simulation the reservoir condition of emergency Sate with and without. At the reservoir analysis results is the Duckdong dam average storage decrease $20\%$ with emergency gate than without emergency gate. Also, the Bomun dam is not affected by the Duckdong flood control augmentation.

Structural Safety Analysis on Overflowing Dam by Extreme Flood (이상홍수에 의한 댐체 월류시 댐의 구조적 안전성 검토)

  • Choi, Hong-Suk;Shin, Cheol-Shik;Bai, Suk-Joong;Ryu, Keu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34-639
    • /
    • 2008
  • 일부 콘크리트댐들의 경우 이상홍수 발생시 상 하류부 수위차가 크지 않은 상태로 월류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치수능력 증대사업을 수행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에는 지리적, 경제적인 문제로 어려움이 많아 현실적인 대책 수립이 어려우므로 월류가 발생한 상태에서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한국시설안전공단(2007)에서는 기존 댐의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를 필댐과 콘크리트댐으로 구분 적용할 필요성과, 콘크리트댐의 경우 상태에 따라 일부 월류를 허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는 콘크리트 댐의 구조적 안전성 검토의 평가방법으로 수행하게 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Tailrace (방수로를 이용한 치수효과 분석(굴포천방수로를 중심으로))

  • Jung, Eui-Taek;Ahn, Je-Sik;Hwang, Jae-Choong;Jeong, Bo-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34-538
    • /
    • 2008
  • 최근 여름철 기상이변과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인해 대도시 유역의 첨두홍수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대도시 지역은 비도심 지역에 비해 하천 확폭이나 제방 증고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대한 도심지역의 홍수 예방대책으로 유역을 전환시키는 방수로는 하천통수능력을 초과하는 홍수량을 유역상류부에서 호수나 바다로 방류할 수 있어 하류지역 홍수부하량을 감소시켜 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업 진행중인 굴포천방수로를 통한 굴포천 유역의 치수효과를 수치해석 및 실제 홍수처리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