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

검색결과 1,469건 처리시간 0.031초

운동이 치매 환자의 수면 관련 인자,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on Sleep Quality and Dementia-related Factors of Dementia Patients)

  • 윤병곤;김종진;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40-746
    • /
    • 2019
  • 운동은 치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매 관련 연구에서는 치매의 증상 완화, 치매에 관한 다양한 치료 및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규칙적인 운동은 뇌 기능과 치매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치매와 뇌 기능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이 수면 관련 인자(melatonin, serotonin), 치매 관련 인자(BDNF, beta-amyloid, IGF-1, Irisin, GLU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yokine (Irisin, IGF-1), GLUT 및 Melatonin이 지구성 운동을 통한 BDNF 활성화를 통해 치매 증상을 개선하거나 지연시키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 유형, 형태, 기간 및 운동 강도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추후 운동과 치매에 관한 기전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도구 분석 (Analysis of Dementia Tests Affecting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 박이랑;강광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81-189
    • /
    • 2021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MMSE-K, SGDS, NPI-Q, BADL IADL CDR 평가도구 결과를 분석하여 치매평가 도구들 간의 상관관계와 치매중등도 판정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개 병원의 알츠하이머대상자의 치매검사자료인 2차 자료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일개 치매검진병원에서 등록 관리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총 6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치매평가도구 중 치매중등도 판정에 영향력이 큰 유의한 도구로는 CDR, ADL, MMSE-K, SGDS 도구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도구로는 NPI-Q, IADL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Behavior of Dementia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 한은경;서유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77-385
    • /
    • 2022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 101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 2일부터 1월 16일까지 수행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는 치매지식(r=.42,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β=-.26, p=003), 주관적 건강상태(β=.26, p=.003), 치매에 대한 지식(β=.37, p<.001)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8.7%이었다. 이에 지역사회 거주 독거노인의 치매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과 주관적 건강상태 및 치매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매예방교육 중재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신체 접촉 모형의 비평 분석 (Critical Analysis of Conceptual Model of Touch)

  • 김은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95-402
    • /
    • 1997
  • 인지능력 손상으로 인해 치매환자의 정상 언어 사용은 점차 감소되고 좌절감과 스트레스는 상승된다. 신체접촉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서 치매환자를 지지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겪는 불안을 완화한다. Hollinger와 Buschmann은 1993년 신체 접촉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그 모형을 적용하여 신체접촉 인지도와 우울과의 관계와 신체 접촉의 우울증감소 효과를 정상 노인과 우울증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그러나, 모형을 치매환자 연구에 적용시켜 검토한 연구는 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접촉 모형을 비평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모형을 치매 환자 연구에 적용하도록 변형시켰다. 치매 환자의 인지, 언어 능력은 손상되었지만, 환경에 반응하는 감정과 접촉 감각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신체 접촉 모형을 치매환자에게 적용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다. 개인의 문화 차이는 신체 접촉에 대한 인지와 반응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연구대상자 선택시 대상자가 신체 접촉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대상자는 인지 능력 손상으로 면담이나 질문지에 적당히 반응할 수 없으므로 연구시 관찰 방법의 이용을 제언한다.

  • PDF

비착용형 센싱기술을 융합한 가상현실을 활용한 치매 케어 시스템 개발 (Dementia Care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with Non-wearable Sensing Technology)

  • 유재환;안도현;천승호;허성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79-82
    • /
    • 2019
  • 본 논문은 VR을 기반으로 하여 별도의 장갑이나 핸드헬드 디바이스 없이 치매 예방과 재활치료를 위한 VR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뇌 사용능력과 신체 활동성을 증가시켜 치매예방과 재활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치매 예방 콘텐츠로는 치매의 대표적인 원인인 뇌세포의 퇴화에 초점을 맞춰 기억력, 논리력, 산술능력, 공간인지능력 등을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노인을 위한 재활치료 콘텐츠로는 상지훈련, 하지훈련, 정신훈련, 밸런스훈련 등에 효과적이도록 구성하였다. 1:N 방식의 그룹훈련으로 고도화하여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이 작업치료사 한 명의 통제를 받아 치매예방 및 인지훈련이 가능한 시스템 개발하고 공공보건의료시설, 요양원, 재활의학과 보유병원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 PDF

치매 예방을 위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Edutainment Contents to Prevent Dementia)

  • 송미영;백주민;서지아;김주혜;최지원;황수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37-39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현장형 교육으로 이루어졌던 치매 예방 교육을 보다 접근하기 쉽도록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한다. 기존의 보드 게임이나 카드게임 형식으로 되어 있는 치매 브레인트레이닝 게임을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구현하고, 보호자의 조호 지침을 시각화하여 이해를 돕는 콘텐츠를 개발을 통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게임은 물론 치매 예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가족들이 치매 예방 교육의 원활한 진행 상황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_50대를 지켜라 - 원인을 알면 예방할 수 있는 치매

  • 서상원
    • 건강소식
    • /
    • 제35권10호
    • /
    • pp.18-20
    • /
    • 2011
  • 치매(dementia)는 라틴에게서 유래된 말로서 '정신이 없어진 것' 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태어날 때부터 지적 능력이 모자라는 경우를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라고 부르는 반면, 치매는 후천적인 뇌질환이다. 즉, 정상적으로 생활해 오던 사함이 후천적인 뇌 손상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방향감각,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을 잃어가는 것이다. 또한 이런 인지 기능 장애가 심각하여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날 때 치매라고 한다.

  • PDF

치매노인의 현황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의 개선방안 (Current State of Senile Dementia and Improvement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Elderly People)

  • 조현;고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816-5825
    • /
    • 2012
  •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치매환자는 매년 급증하고 있고 이로 인한 치매환자의 치료 및 관리비용 등 사회적 비용은 크게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 외국에서도 국가차원에서 치매에 관한 국가전략을 수립하거나 효율적인 치매관리를 위한 국가차원의 대책을 세우거나 관련 법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치매에 대한 법제도적 대응방안으로 노인복지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치매관리법이 존재한다. 보다 효과적인 치매관리 대책을 위해 관련법과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치매 검진을 65세 이상노인에 대한 국민건강보험의 건강검진 항목에 반드시 포함시키고 1차 검진에서 이상이 발견되면 진료를 계속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의 특성상 치매는 증상이 심해질수록 치료 효과가 적고 가족들의 부담도 급격히 증가한다. 치매예방사업과 조기 검진을 통해 치매 발병을 예방하거나 발병 시기를 늦추고 조기 발견하여 치료를 받도록 하여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와 같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의 장기요양급여내용의 획일성으로는 경증 치매 등 요양노인의 욕구를 다양하게 충족시키기 어려우므로 등급판정기준 완화와 서비스 이용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인공지능(AI) 기반 치매 조기진단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arly Diagnosis of Dementia Based 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 오성훈;전영준;권영우;정석찬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9
    • /
    • 2021
  • 한국의 치매 환자 수는 8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치매의 심각성은 사회적 문제로 되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치매를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도 약물도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며, 향후 급격한 고령화 추세로 인해 치매 환자 수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매 증상의 경과를 늦추는 것이 최적의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내 치매를 가장 명확하게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중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AI 기반의 영상분석을 통해 측정하고 분석하여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망막 데이터를 CNN을 기반으로 이진분류 학습 및 다중분류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전처리 된 망막 데이터를 기반으로 치매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딥러닝 모델에 대한 정확도와 재현율을 검증하였으며, 검증 결과 재현율과 정확도 모두 충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실제 치매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