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ementia Tests Affecting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검사도구 분석

  • Received : 2020.12.16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Status and Dementia Tests" and "predictive diagnosis of severity of dementia".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Alzheimer's patients and identify which "Mental Status and Dementia Tests" has the most impact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dementia. For this study, Alzheimer's patient's CDR, MMSE-K, SGDS, NPI-Q, BADL and IAD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is study will provide a predictive factor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dementia when "Mental Status and Dementia Testss" are being used and also to provide the right treatment. For this study, a total of 617 cases of data from Alzheimer's pati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In addition, effective "Mental Status and Dementia Tests"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dementia were CDR, ADL, MMSE-K, and SGDS whereas NPI-Q and IADL.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was recommended to implement more efficient diagnostic method by utilizing a standardized "Mental Status and Dementia Tests".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MMSE-K, SGDS, NPI-Q, BADL IADL CDR 평가도구 결과를 분석하여 치매평가 도구들 간의 상관관계와 치매중등도 판정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개 병원의 알츠하이머대상자의 치매검사자료인 2차 자료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일개 치매검진병원에서 등록 관리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총 6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치매평가도구 중 치매중등도 판정에 영향력이 큰 유의한 도구로는 CDR, ADL, MMSE-K, SGDS 도구이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도구로는 NPI-Q, IADL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0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남효정, 황성희, 김유정, 변선정, 김기웅(2017). 대한민국 치매현황. 중앙치매센터.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0). The 4th Comprehensive Dementia Management Plan.
  3. 김정은, 이종혁, 정지훈, 강민구, 방준석(2014). 알츠하이머병 처방약 연구: 국민 건강보험 공단 보험금 청구 자료. 한국임상약학회지. 24(4); 255-264.
  4. Jung H. K, Han C. S.(2013).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mentia in primary ca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12): 1104-1112. https://doi.org/10.5124/jkma.2013.56.12.1104
  5. 신준현(2010). 치매의 진단: 신경심리검사.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31:253-266.
  6. 김현정, 임형준(2015). 치매의 평가. 대한뇌신경재활학회, 8: 11-18.
  7. 김민걸, 이상수, 이영호, 이상경, 안동성, 윤성환, 심주철, 김용관, 김영훈(1998). 도시 지역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MMSE (MMSE-K)의 진단적 타당성 조사와 정신병리평가.신경정신의학회지, 37(6): 1277-1291.
  8. 한은경(2010). 신경심리평가를 통한 인지적 노화의 변별과 경도인지장애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이환 예측.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신용재, 정성수, 왕성수, 신석철(2000). 치매환자의 다면적 평가와 평가척도간의 상관성. 대한노인정신의학회, 4(2): 186-192.
  10. 신홍현, 소희영, 이애영(2008). 치매 환자 인지 기능 검사(CDT, K-MMSE, K-3MS, CDR)의 임상적 유용성 비교. 한국재활간호학회, 11(2): 90-98.
  11. 이윤지(2002). 노인에서 치매의 간편한 조기검사법 유용성 평가-시가.금전 계산검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진(2014). 소근육 활동을 병행한 인지치료가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인지, 치매정도, 우울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석사학위논문.
  13. M. Folstein, S., Folstein and P. McHugh,(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https://doi.org/10.1002/(sici)1099-1166(199805)13:5<285::aid-gps753>3.0.co;2-v
  14. Kwon Y. C., Park J. H.(1990). Modificat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in the elderly in a non-western society. Part 1.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5(6). 381-387. https://doi.org/10.1002/gps.930050606
  15.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강민희(1998).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38(1): 48-63.
  16. 대한노인정신의학회(2007). 한국형 치매평가 검사. 학지사.
  17. Lawton, M.P., & Brody, E.M(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9(3): 179-186. https://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18. 박종한, 조성완, 손형석(1995). 노인 기능 상태 평가의 신뢰도. 신경정신의학회지, 1995; 34: 475-483.
  19. 최성혜, 나덕렬, 이병화, 함동석, 정지향, 윤수진, 유경희, 하충건, 한일우(2001). 한국판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척도의 타당도. 대한신경과학회지, 19(6): 585-591.
  20. 김성자, 류언나, 박경숙(2007). 여성치매노인의 통증, 신체적 기능, 인지적 기능, 우울, 초조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3): 401-411.
  21. 박경아(2007). 집단회상요법이 치매질환자의 우울감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노인병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성기혜(2006).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부양자의 부양감과 우울감.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3. 박지은(2015). 노년기 우울증이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요인 분석: 지역사회기반 5년 추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최진영, 이지은, 김명진, 김호영(2006). 노인용 언어 학습 검사(Elderly Verbal Learning Test)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5(1); 141-173.
  25. 지혜련(2003). 치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경증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김종필. 현미열(2013).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살시도. 대한 간호학회지, 43(2): 296-303.
  27. 이도희(2015). 중증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를 위한 다감각 자극 중심 음악활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김보경(2016).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행동 심리증상과 돌봄 제공자의 부담감.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29. 김문영(2017). 실행기능 요소가 경도치매노인의 일상생활활동 독립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힉위논문.
  30. 강수진, 윤수진, 정지향, 나덕렬(2001).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처음으로 병원을 찾는 시기. 대한신경과학회지, 19(1): 6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