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arly Diagnosis of Dementia Based 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AI) 기반 치매 조기진단 방법론에 관한 연구

  • 오성훈 (동의대학교 대학원 인공지능학과, 부산IT융합부품연구소) ;
  • 전영준 (동의대학교 부산IT융합부품연구소) ;
  • 권영우 (동의대학교 대학원 인공지능학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 정석찬 (동의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인공지능그랜드ICT연구센터, 부산IT융합부품연구소)
  • Received : 2021.07.03
  • Accepted : 2021.08.23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n Korea is estimated to be over 800,000, and the severity of dementia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However, no treatment or drug has yet been developed to cure dementia worldwide.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Currently, early detection of dementia and delaying the course of dementia symptoms is the best alternative.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ology for early diagnosis of dementia by measuring and analyzing amyloid plaques. This vital protein can most clearly and early diagnose dementia in the retina through AI-based image analysis. We performed binary classification and multi-classification learning based on CNN on retina data. We also developed a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can diagnose dementia early based on pre-processed retinal data. Accuracy and recall of the deep learning model were verified, an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and derived results that satisfy both recall and accuracy. In the future, we plan to continue the study based on clinical data of actual dementia patient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olve the dementia problem.

한국의 치매 환자 수는 8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치매의 심각성은 사회적 문제로 되고 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치매를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도 약물도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며, 향후 급격한 고령화 추세로 인해 치매 환자 수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매 증상의 경과를 늦추는 것이 최적의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내 치매를 가장 명확하게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중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AI 기반의 영상분석을 통해 측정하고 분석하여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망막 데이터를 CNN을 기반으로 이진분류 학습 및 다중분류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전처리 된 망막 데이터를 기반으로 치매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딥러닝 모델에 대한 정확도와 재현율을 검증하였으며, 검증 결과 재현율과 정확도 모두 충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에는 실제 치매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역지능화혁신인재양성(Grand ICT연구센터)사업 (IITP-2021-2020-0-01791)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지역SW서비스사업화지원사업 (ITAS0837210110240001000300200)의 연구결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박지영 기자. 전세계 치매환자 26년새 2배 증가. MEDICAL TRIBUNE. 20181214.
  2.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치매 오늘은 60세이상 치매상병자통계, https://www.nid.or.kr/info/today_list.aspx
  3.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연구센터.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20. 2021.
  4. 보험 비교 플랫폼 누잘 매거진. 치매보다 무서운 치료비부담, https://www.nuzal.io/front/nzMagazineView?seq=84
  5.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연구센터, 2020 나에게 힘이 되는 가이드북. 2020
  6. WT. Chen, A. Lu, K. Craessaerts, B. Pavie, CS Frigerio, B. D. Strooper, "Spatial Transcripto- mics and In Situ Sequencing to Study Alzhei-mer's Disease". Cell, Vol.182, No.4, pp.976-991, 2020. https://doi.org/10.1016/j.cell.2020.06.038
  7. 대한치매학회 99가지 치매이야기. 아밀로이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검사는 어떤 경우 필요합니까?, ttps://www.dementia.or.kr/general/bbs/index.php?code=story&category=&gubun=&page=5&number=995&mode=view&keyfield=&key=
  8. 신찬옥 기자, 혈액.콧물 한방울, 뇌지도로 치매 조기진단, 매일경제, 20180725.
  9. 박현기자, 가족 몰래 피운 담배 '망막은 알고 있다', 병원신문, 20110531.
  10. Y. Koronyo, D. Biggs, E. Barron, D. Boyer, J. Pearlman, W. Au, S. Kile, A. Blanco, D. Fuchs, A. Ashfaq, S. Frautschy, G. Cole, C. Miller, D. Hinton, S. Verdooner, K. Black, and M. Koronyo-Hamaoui, "Retinal Amyloid Pathology and Proof-of-concept Imaging Trial in Alzheimer's disease," JCI Insight, Vol.2, No.16, pp.1-19, 2017.
  11. S.M. Swati, J.M. Beach, C. McClelland, A. Mokhtarzadeh, and R. Vince, "In Vivo Assessment of Retinal Biomarkers by Hyperspectral I-maging: Early Detection of Alzheimer's Dise-ase," ACS Chemical Neuroscience, Vol.10, No.11, pp.4440-4765, 2019. https://doi.org/10.1021/acschemneuro.9b00513
  12. NeuroVision Imaging Inc. https://neurovisi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