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료순응도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5초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조기 혹은 지연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의 전향적 비교연구 (Randomized Trial of Early Versus Late Alternating Radiotherapy/ Chemotherapy in Limited-Disease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 이창걸;김주항;김성규;김세규;김귀언;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16-122
    • /
    • 2002
  • 목적 :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의 교대 방사선-항암제 병행치료(alternating radio-chemotherapy)에서 방사선치료의 시기의 차이에 따른(조기 혹은 지연) 치료반응률, 생존율, 재발양상,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비교하기 위해 전향적 무작위 비교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8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은 연세암센터에서 조기(early arm) 혹은 지연(delayed arm)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군으로 무작위 분류되었다. 총 56명의 환자 중 44명이 비교분석 되었다. 환자들의 특성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는 항암제치료기간 중 방사선 치료를 쉬는 방법으로 교대로 쉬지 않고 치료를 하는 방법으로 조기방사선치료군(N=22)은 항암제 1차치료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하였고 지연방사선치료군(N=22)은 3차 항암제치료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하였다. 방사선치료는 1.8 Gy/fr으로 54 Gy/30 fr을 조사하였고 항암제치료는 Ifosfamide $1.5\;g/m^2$, 정맥주사로 제1일에서 5일까지 투여하였고 Carboplatin AUC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eurve) 5/day, 정맥주사로 제 2일째 투여하였으며 4주 간격으로 총6회 시행하였다. 관해율은 방사선치료 종료 한달 뒤 판정하였고 부작용의 빈도와 정도는 RTOG 등급체계를,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을 사용하였고,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치료에 대한 반응률은 조기군 $86\%$, 지연군 $85\%$로 차이가 없었다. 전체환자의 2년 생존율은 $18.9\%$, 중앙생존기간 15개월이었다. 치료시기별 2년 생존율, 중앙생존기간은 조기군 $22.7\%$와 15개월, 지연군 $14.9\%$와 17개월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7). 2년 무재발생존율은 조기군 $19.1\%$, 지연군 $19.6\%$로 차이가 없었다(p=0.52), 국소재발은 조기군 $43\%$, 지연군 $45\%$로 차이가 없었고, 원격전이는 조기군 $81\%$, 지연군 $70\%$으로 재발양상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첫 재발부위로 뇌전이는 조기군 $23\%$, 지연군 $35\%$로 차이가 없었다(p=0.51). 치료에 따른 부작용(RTOG 등급 $3\~4$)도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비교해볼 때 항암제치료를 6회 이상 시행받은 환자가 조기군 $82\%$, 지연군 $77\%$, 방사선치료를 45 Gy 이상 받은 환자가 조기군 $82\%$, 지연군 $91\%$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양군에서 대부분의 환자들은 치료에 잘 순응하였다. 결론 :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의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시 방사선치료를 조기 혹은 지연하여 시행하였을 때 치료 반응률, 생존율, 재발양상, 부작용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순응도는 높았다.

대전시 보건소 내원 당뇨병환자들의 치료실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Status and Treatment Compliance of Diabetics Who Visited the Health Centers of Daejeon City)

  • 이태용;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41-1147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시 보건소에서 당뇨병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577명을 대상으로 치료순응도 및 혈당 조절 실태를 2007년 7월 30일부터 2008년 2월 24일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식후 혈당수준이 200mg/dl 미만인 경우가 58.5%, HbA1C가 7% 미만인 경우가 67.9%로 많은 당뇨병환자에게서 혈당조절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식후 혈당수준과 HbA1C 조절정도는 보건소마다 차이가 있었다. 당뇨병 치료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경우는 88.0%로 높게 나타났고 당뇨병을 관리하기 위해 식이, 운동요법이 필요하다고 인지하는 환자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환자들은 약의 규칙적인 복용과 식이 및 운동요법이 당뇨병관리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잘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로 HbA1C와 식후 혈당수준으로 평가한 혈당조절은 제대로 되고 있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건소마다 차이가 크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본다.

통풍환자에 대한 간호사 주도 환자교육의 효과 (Effects of Nurse-led Patient Education for Gout Patients)

  • 유인설;정선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97-105
    • /
    • 2022
  • 통풍은 관절염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등을 유발하는 만성염증질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이 단순히 관절질환으로 인식하고 있어 치료에 장애로 작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 간호사 주도의 통풍환자 대상 교육이 환자의 통풍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질병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육전문 간호사가 상급종합병원 류마티스내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통풍에 대한 일대일 교육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만족도 및 복약순응도, 혈중 요산치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교육을 받은 환자군의 진료만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번째와 세 번째 외래 방문 시에 측정한 복약순응도와 혈중 요산치는 대조군에 비해 교육군에서 유의하게 개선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 주도 환자교육은 진료 만족도 개선 및 질환 경과의 호전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의 치료순응도 (Treatment Adherence of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김봉석;이정섭;김의정;성형모;신윤미;황성혜;유한익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2호
    • /
    • pp.65-72
    • /
    • 2014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reatment duration and adherence of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OROS) methylphenidate for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 A total of 843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 213 children (25.3%) who had previously taken medications for ADHD and 630 drug-na$\ddot{i}$ve children (74.7%) were recruited. The dosage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clinician's judgment. The primary efficacy endpoint of this study was treatment retention rate, which was estimated at Week 12 and Week 20 using the Kaplan-Meier curve. The Swanson, Nolan and Pelham-IV (SNAP-IV),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 and the side effect rating scale were measured at every visit. Remission rates were presented based on SNAP-IV and CGI-S, respectively. Results : The treatment retention rate at 12 weeks and at 20 weeks was 76.2% and 66.8%, respectively. Divided according to 6-8, 9-11, 12-14 and 15-18 years of age, younger children tended to show a statistically higher treatment retention rate (p=.02). Based on SNAP-IV and CGI scores, children with better response to medication showed tendencies of statistically higher treatment retention rate. The most common adverse events included loss of appetite (7.1%) and insomnia (3.3%). There was no serious adverse event related to the treatment, such as death. Conclusion : The use of OROS methylphenidate for treatment of ADHD was safe and tolerable for children. In this study, lower age and better treatment respon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igher treatment adherence. Boys showed a trend of high treatment adherence. The treatment adherence at 20 weeks was satisfactory, however, the treatment adherence after 20 weeks showed a sharp decrease. Therefore, treatment persistence for six months after the beginning of ADHD treatment is important. In addition, the positive role of psycho-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ents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reatment adherence.

흡입제의 올바른 흡입방법 교육 시 전산화 평가프로그램을 이용한 반복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Repeated Education using a Computerized Scoring System for the Proper Use of Inhalation Medicine)

  • 유성근;박성임;박소영;박정규;김성은;김정엽;신경철;정진홍;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6호
    • /
    • pp.491-496
    • /
    • 2007
  • 연구배경: 기관지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과 같은 만성 기도질환의 여러 가지 치료법 중 흡입제가 가장 효과적 방법이지만 상당수 환자에서 부정확하게 흡입제를 사용하고 있고, 순응도 또한 낮은 편이다. 저자들은 흡입제의 정확한 사용과 치료 순응도를 높이고자 전산화 흡입제 상담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흡입제 사용에 대한 반복적 교육과 평가를 시행하여 흡입제의 사용 능력 및 치료 순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 법: 만성기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저자들이 개발한 전산화 흡입제 상담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회 이상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흡입제의 사용능력을 9개 항목에 따라 교육과 함께 평가를 하였으며, 교육 전후 질병의 이해와 약물의 순응도를 알아보았다. 결 과: 흡입제 사용 능력이 교육 전후, 1차와 2차, 2차와 3차 방문사이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자신의 질환에 대한 이해도는 1차 방문에서 70.7%, 2차 방문에서 는 78.7%, 3차 방문에서는 78.9%로 증가하였다. 순응도는 2차 방문에서 70.1%, 3차 방문에서는 81.8%로 향상되었다. 결 론: 저자들이 개발한 전산화 흡입제 상담 서비스 프로그램은 만성기도질환 환자에서 흡입제 사용능력 및 순응도, 질병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국 HIV 감염인의 치료 순응경험 (Experience of Treatment Adherence in Korean Patients with HIV)

  • 박윤희;서민정;김상희;박순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07-41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 adherence in Korean patients with HIV. Methods: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December, 2013 using open-ended questions during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s were taking HAART for HIV, and were contacted through purposive techniques. Results: Four men and 4 women whose average treatment period was 5.9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ven themes emerged from the analysis using Colazzi's method: (a) Seizing life in a deep sense of despair, (b) Struggling with medication, (c) Facing harsh treatment from health care providers, (d) Spoiling healthy pattern, (e) Hungering for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f) Turning to accepting HIV, (g) Becoming adherent to HIV treatment. Conclusion: Prejudice from health care providers and lack of emotional support were barriers to HAART in Korea. Intervention strategies are needed to decrease prejudices from health care providers and to increase family support.

도시와 농촌지역의 폐결핵 환자 순응도 및 치료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with the Compliance and Treatment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in Urban and Suburb Area)

  • 김상순;김윤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9-79
    • /
    • 1996
  • 도시와 농촌지역의 폐결핵환자 순응도 및 치료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2년 1월 1일부터 1993년 12월 31일까지 2년동안 도시지역 보건소에서 등록치료한 545명과 농촌지역 보건소 210명으로 총 7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폐결핵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지역으로 나누어보면 도시는 545명중 $20\sim29$세가 150명(27.5%)이고 농촌은 210명중 $60\sim69$세가 45명(21.4%) $70\sim79$세가 45명(21.4%)으로 유의하게 많았고, 폐결핵환자의 폐결핵과 관련된 특성은 도시는 초회X-선 검진결과 경증이 54.5%, 농촌은 중등증이 44.3% 많았다(P<0.01). 추후X-선 검진은 도시지역이 94.3% 실시한 것으로 농촌지역 90.0%보다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폐결핵 발견경위는 도시지역은 보건소 유료X-선 검진 56.7% 농촌지역은 보건소 무료X-선 검진 35.2%로 가장 많았다(P<0.01), 폐결핵환자의 완치자 수는 도시가 90.8% 농촌이 87.1%로 도시지역이 높았다. 폐결핵환자의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는 도시지역이 79.1% 이고 농촌은 88.1%로 농촌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폐결핵환자의 폐결핵과 관련된 특성별 치료효율은 배양검사결과 양성인자의 완치자수는 도시가 201명(93.5%)이고 농촌은 108명중 99명(91.7%)으로 음성인 도시 330명중 294명(89.1%) 농촌 102명중 84명(82.4%)으로 배양에서 양성으로 나온사람이 음성인자보다 완치율이 높았다. 일반적 특성별 수약협조에 관한 사항의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연령, 동거가족유무, 사회경제적상태 등이고 폐결핵과 관련된 특성별 수약협조에 관한 사항은 방사선 소견, 배양검사 등이었다(P<0.05). 생존분석에 의한 도시에서의 등록기간별 규칙수약 누적율은 추적 6개월째 92.5%이고 농촌은 88.1%였다. 규칙수약실패율은 도시가 2개월째 3.75%, 농촌은 4개월째 4.15%로 가장 높았다. 치료결과에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다변량분석결과(Logisric Regression) 도시는 X-선 검진과 수약협조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농촌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없었다. 이는 sample size가 작아서 유의하지 않은 것처럼 나온 것이라 생각된다. 수약협조에 관련된 요인에 대한 다변량 분석결과 (Logistic Regression) 도시는 초회 X-선, 객담 배양검사결과와 동거가족 유무가 유의한 변수였다(P<0.05). 즉 가족이 있는 환자가 치료지시이행이 높은 것으로, 이는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는 질병일수록 가족의 지지가 중요한 것임을 시사한다 하겠다. 따라서 동거가족이 있고, 규칙수약하는 환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폐결핵환자의 치료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료실시전 보건교육을 보다 철저히 하여 규칙수약토록 하여야 하며 특히 동거가족이 없는 환자에 더욱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분화 갑상선암에서 방사선치료 순응도와 생존기간 (Survival and Compliance with the Use of Radiation Therapy for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 오윤경;장지영;정웅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29-236
    • /
    • 2008
  • 목 적: 본 연구는 미분화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순응도와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미분화 갑상선암으로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던 1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외부방사선치료는 14명에서 수술 후에 시행하였고, 3명에서 조직검사 후에 시행하였다. 수술이 시행되었던 14명의 수술 방법은 9명은 근치적절제술 5명은 고식적절제술이었다. 고분화 갑상선암이 6명에서 동반되어 있었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보다 컸던 경우는 14명이었다. 총방사선량은 $6{\sim}70\;Gy$ (중앙선량, 37.5 Gy)이었고, 11명은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고, 6명에서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었다. 추적기간은 $1{\sim}104$개월로 중앙값이 5개월, 평균값이 20개월이었다. 결 과: 5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에 육안적 종양이 없었으며, 5명 모두 종양의 재성장 없이 방사선치료를 잘 끝낼 수 있었다 나머지 1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작할 당시 육안적 종양이 있었는데, 이 중 4명은 근치적절제술 후에 바로 암이 자란 경우였고, 5명은 고식적절제술, 3명은 조직검사만을 받은 상태였다. 육안적 종양이 있었던 12명 중 6명 만이 예정된 방사선치료를 끝낼 수 있었는데, 2명에서는 방사선치료로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하였고, 2명은 약간 감소, 2명은 무반응이었다. 전체 환자의 생존기간은 $1{\sim}104$개월의 범위로 중앙 생존기간은 5개월이었고, 평균 생존기간은 21개월이었다. 1년 2년, 5년 생존율은 41%, 24%, 12%이었다. 원발암수, 종양크기, 수술, 방사선치료 완료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장기 생존자는 단기 생존자에 비해 진단 당시와 방사선치료 시작 당시에 암의 크기가 작은 경향이 있었다. 결 론: 진단 당시 암의 크기가 5 cm 이하, 방사선치료 전에 수술 시행(근치적 또는 고식적), 수술 부위에 종양의 빠른 재성장이 없는 환자들이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좋은 지원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그와 반대인 경우는 방사선치료가 중단되기 쉽고 생존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방사선치료의 역할이 매우 부족하여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