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근단 1/3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5초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MTA APEXIFICATION OF TRAUMATIZED IMMATURE PERMANENT INCISORS: A RETROSPECTIVE STUDY)

  •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24
    • /
    • 2011
  •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사침 말단의 형상과 위치, 세척액 주입속도가 치근단에 작용하는 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edle tip design and position, and irrigant flow rate on apical pressure)

  • 이창하;조설아;임범순;이인복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5-28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근관 내의 주사침 말단의 위치, 근관 세척액의 주입 속도, 주사침 말단의 형상이 근관 세척 시 발생하는 치근단 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5개의 사람 하악 소구치에 근관 와동 형성 후 #35(0.06 taper) 니켈-티타늄 회전식 기구로 근관을 형성하였다. 주사침 말단의 형상에 따라 구분되는 notched, side-vented, flat 3가지 종류의 주사침을 근단 협착부로부터 치관 방향으로 1, 3, 5 mm 거리가 되는 지점(주사침 말단의 위치)에 위치시켰다. 각 군에 대하여 세척액 주입 속도는 0.05, 0.1, 0.2, 0.3 ml/s로 변화시키면서 치근단 압력을 측정하였다. 나머지 조건이 동일한 경우 주사침 말단의 위치가 감소할수록, 세척액 주입 속도가 증가할수록 치근단 압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주사침 말단의 위치와 세척액 주입 속도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side-vented 주사침이 가장 낮은 치근단 압력을 보였고, notched, flat 주사침 순서로 치근단 압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주사침 말단의 위치가 1 mm인 군 또는 세척액 주입 속도가 0.1 ml/s 이상인 군에서는 나머지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서 중심정맥압(5.88mmHg)보다 높은 치근단 압력을 나타냈다. Flat 주사침은 세척액 주입 속도와 주사침 말단의 위치에 따른 치근단 압력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임상에서 사용이 추천되지 않으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근관 세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근단 협착부로부터 치관 방향으로 3 mm 떨어진 지점에 주사침 말단을 위치시키고 0.05 ml/s 이하의 세척액 주입 속도로 근관 세척액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수 종의 Ni-Ti 회전 기구들을 이용한 치근단 폐쇄 향상을 위한 근관 확대 평가 (Evaluation of canal preparation for apical sealing with various Ni-Ti rotary instruments)

  • 신유석;신수정;송민주;김의성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4호
    • /
    • pp.300-305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형의 치근단 삭제를 제공하는 능력에 관한 수 종의 Ni-Ti 회전 기구들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은 50개의 단근치를 선택하여 백악상아질 경계에서 절단하였고, 근관의 치관부 1/3은 Gates Glidden bur (#2, #3, #4)를 이용하여 확대하였다. 시편들은 각 군당 10개씩 5개의 실험군들로 나누었다. 1군은 GT file, Profile .04, Quantec #9, #10을 사용했고, 2군은 1군과 유사하나 Quantec 파일 대신 Lightspeed를 사용했고, 3군은 Orifice shaper, Profile .06 종류들, Lightspeed를 사용했고, 4군은 3군과 유사하나 Lightspeed 대신 Quantec #9, #10를 사용했고, 5군은 근관 확대를 위해 GT file, Profile .04를 사용했다. 모든 치아 시편들은 치근첨으로부터 1 mm, 3 mm, 5 mm에서 절단하여 현미경하에서 관찰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실험군 2, 3군(Lightspeed file군)이 실험군 1, 4군(Quantec), 실험군 5군(GT file, profile .04종류들)에 비하여 치근단 1 mm에서 더 원형에 가까운 치근단 삭제를 보였다(p < 0.05). 치근단 3, 5 mm들에서는 각 군들 사이에서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치근단 5 mm 시편들에서는 대부분의 시편들이 완전한 원형을 나타내었으며 불규칙한 모양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치근단 1 mm 시편에서 Lightspeed를 사용한 경우에서 다른 Quantec, GT와 Profile .04 종류들을 사용한 것보다 더 원형의 삭제를 얻었고, 근관장에서 최초의 Lightspeed에 맞는 크기보다 ISO 크기보다 3단계 크기 확대로는 모든 치근단 1 mm에서 원형의 삭제를 얻었을 수 없었고 단지 35%에서만 원형의 삭제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ISO 크기보다 3단계 크기 확대가 원형 삭제를 얻기에는 불충분하며 좀 더 큰 크기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나 치아에 따라 치근단 부위 치질의 양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Modified Continuous Wave Technique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형성된 치근단 크기가 치근단 폐쇄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APICAL SIZES ON THE APICAL SEALING ABILITY OF THE MODIFIED CONTINUOUS WAVE TECHNIQUE)

  • 류무현;정일영;이승종;신수정;김의성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1호
    • /
    • pp.66-7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근관형성의 치근단 크기가 근관 충전의 치근단 폐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36개의 단근관, 단근치를 대상으로 3가지 치근단 크기 (Master apical file : #25, #40, #60)에 따라 3가지 실험군으로 나누어 $Profile^{(R)}$$LightSpeed^{(R)}$를 이용하여 근관을 확대하고, Modified continuous wave technique으로 근관충전을 시행하였다. 미세누출의 측정을 위해 실험군당 10개의 치아를 1주일간 India ink에 넣어 색소 침투를 일으키고 치아를 투명화시켜 미세누출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미세누출에 치근단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Kruskal-Wallis one-way ANOVA를 시행하였고, 사후 검정을 위하여 Student-Newman-Keuls method를 시행하였다. 또한, 치아 단면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색소 침투까지 실행된 각 실험군당 2개의 치아를 근첨 1 mm에서 4 mm까지 1 mm간격으로 수평 절단하고 사진 촬영하였다. 각 실험군에서 측정된 미세누출양을 Krustal-Wallis one-way ANOVA에서 분석한 결과 치근단 크기는 유의성 있게 (P < 0.05) 미세누출에 영향을 미쳤으며 치근단 크기가 클수록 미세누출의 평균간과 표준편차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tudent-Newman-Keuls method를 통한 사후 검정에서 치근단 크기가 #25 - #40, #25 - #60에서 유의 한 차이를 보였으며 #40 - #60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단면형태에서는 대부분의 치아에서 난원형의 근관 형태를 관찰 할 수 있었고, 치근단의 크기가 작을수록 성형된 근관에 불규칙한 내면이 존재하였고 gutta-percha나 sealer로 충전되지 않는 recess의 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recess는 미세누출의 통로가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Modified continuous wave technique으로 근관충전시 근관 형성된 치근단 크기가 커질수록 보다 일관되고 성공적 인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근관충전을 시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AEROBIC BACTERIAL LEAKAGE MODEL을 이용한 음파와 초음파 치근단 와동 형성 기구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ULTRASONIC AND SONIC ROOT END PREPARATIONS USING ANAEROBIC BACTERIAL LEAKAGE MODEL)

  • 조낙연;박동성;유현미;오태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530-534
    • /
    • 2002
  • 최근 치근단 와동 형성 시 초음파 또는 음파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고 여러 측면에서 평가되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혐기성 세균을 이용한 미세 누출 모델을 이용하여 초음파와 음파 기구를 사용, 치근단 와동 형성을 하였을 때 두 기구의 사용이 충전된 치근단 와동의 미세 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48개의 단근치의 근관을 crown-down방법을 이용 Profile로 .06 black까지 근관 성형을 시행하고 수직 가압법을 사용하여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이용하여 근관 충전을 시행하였다. 각 충전된 시편의 치근단 3mm를 절제하였다. 각 시편은 이미로 4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에서는 치근단 와동을 초음파 기구로 형성하였고 2군에서는 음파 기구로 형성하였다. 3군은 음성대조군으로 4군은 양성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형성된 치근단 와동은 공기 분사침을 이용하여 건조 후 super EBA 시멘트로 충전하였으며 Anaerobic chamber에서 Fusobacterium nucleatum (VPI 10197)을 사용한 혐기성 세균 미세누출 모델을 이용하여 30일간 미세 누출을 관찰한 결과, 초음파 기구를 사용한 군에서는 80%에서 음파 기구를 사용한 군에서는 75%에서 미세누출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1, -2, -3의 분포에 관한 연구 (Detection of Matrix Metanoproteinase -1, -2, -3 in pulpal and periapical pathosis)

  • Su-Jung Shin;Seung-Ho Baek;Sung-Sam Li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3호
    • /
    • pp.191-199
    • /
    • 2001
  • 목적 -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는 조직의 염증 및 치유과정에서 숙주세포에서 생성, 분비되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해에 작용한다. 다양한 염증반응에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그 역할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이 있는 사람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을 채취하여 Enzymeimmunoass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해 제1형, 2형, 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수준 및 그 분포를 측정하여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이 효소의 작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연구재료는 근관치료를 위해 서울대학교 병원 치과 진료부 보존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34개의 치아에서 통상의 근관치료 중 발수한 치수조직과 치근단 수술중 얻은 치근단 병소(n=10)를 이용하였다. 치수는 발수 전에 임상진단을 통해 급성 치수염(n=12), 만성 치수염(n=12), 정상 치수(n=10)로 구분하고 정상치수로 진단된 것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채취된 표본은 둘로 나누어 절반은 30분 이내에 5$\mu\textrm{m}$ 두께로 동결절단을 시행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고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조직은 ELISA를 위해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ELISA를 시행하기전 표본의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여 모든 표본의 단백질 양을 50mg/$\mu\textrm{l}$로 일치시키고 Amersham사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1형, 2형, 3형의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각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1. ELISA의 결과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급성치수염군의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가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5). 2. 제2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과 대조군에서만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3.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에서 대조군이나 만성치수염군보다 유의성 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p<.05). 4. 면역조직화학검색 결과 염증성 치수에 존재하는 급성 및 만성염증세포 주위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에 대한 면역 반응이 존재하였으며 주로 제1형과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대식세포 및 림파구 주위로 강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5. 치근단병소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결과 만성염증 세포 주변으로 미약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MTA와 4-META/MMA & TBB레진 혼합 재료의 치근단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PICAL MICROLEAKAGE OF MTA WITH 4-META/MMA & TBB RESIN AS A ROOT-END FILLING MATERIAL)

  • 김진철;김미리;고현정;양원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4호
    • /
    • pp.371-37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와 4-methacryloxyethyl trimellitate anhydride (4-META) / methyl methacrylate (MMA) & tri-n-butylborane (TBB) 레진을 혼합하여 치근단 역충전 재료로 사용하였을 때의 미세누출을 MTA,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였다. 발치된 사람 치아의 근관형성 및 충전 후 치근단 절제와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였다. MTA, Portland cement, MTA와 4-META/MMA & TBB레진을 혼합한 각각의 재료로 치근단을 역충전한 후 methylene blue dye에 72시간 동안 침적하여 염료가 침투한 길이를 10배 현미경 하에서 측정하였다. MTA와 4-META/MMA & TBB 레진 혼합 충전 군에서는 포틀랜드 시멘트나 MTA 충전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은 미세 누출을 보였으며, 포틀랜드 시멘트와 MTA 충전군의 미세 누출 정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보아 MTA와 4-META/MMA & TBB레진 혼합 재료는 치근단 역충전시 포틀랜드 시멘트나 MTA에 비해 낮은 초기 미세누출을 보여, 치근단 봉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악 제1 대구치 근단부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Y OF THE APICAL ROOT CANAL SYSTEM IN KOREAN MANDIBULAR FIRST MOLAR)

  • 정현;박상진;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37-144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하악 제1 대구치 60개를 대상으로 생리적 근단공의 크기와 형태, 근심 치근의 치근단 3mm에서 isthmus의 발생 빈도와 형태, 그리고 원심 치근의 치근단 3mm의 근관 형태를 입체현미경하에서 60배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근심 치근은 두 개의 근단공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으며(51.67%), 원심 치근은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비율이 높았다(71.66%). 2. 부근단공의 빈도는 근심 치근의 1개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26.07%) 3. 생리적 근단공의 크기는 근심 치근에서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 0.329mm, 근심 협측 근단공은 0.266mm, 근심 설측 근단공은 0.246mm였으며, 원심 치근에서 하나의 근단공을 가지는 경우 0.375mm, 원심 협측 근단공은 0.291mm, 원심 설측 근단공은 0.237mm로 나타났다. 4. 근단공의 형태는 oval 형태 (69.93%)가 가장 많았다. 5.근심 치근의 치근단 3mm에서 isthmus의 발생빈도는 55%였으며, partial isthmus는 31.66%, complete isth-mus는 23.34%로 나타났다. 6.원심 치근의 치근단 3mm의 근관 형태는 oval형태(50.64%)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하악 제1대구치의 성공적인 근관 치료를 위해서는 생리적 근단공의 실제 크기와 형태 및 isthmus의 존재에 대한사전 지식이 필요할 것이다.

치근단절제 및 역충전와동 형성방법이 치근단누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PICOECTOMY AND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METHODS ON THE APICAL LEAKAGE)

  • 양정옥;김성교;권태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2호
    • /
    • pp.537-549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치근단 수술법에서 사용되는 치근단 절제방법 및 역충전와동 술식을 종래의 치근단 수술법에서 사용해 온 술식 및 방법과 치근단 미세누출의 측면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함이다. 치근단 절제방법 및 역충전와동 형성 방법에 따른 치근단 누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최근에 발거된 상악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71개를 절제 각도 및 와동 형성방법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으며, 근관협부 처리에 따른 치근단 누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최근 발거된 상악 제 1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 44개를 근관협부의 처리 유무에 따라 2개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각 시편치아에서 근관을 형성하고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한 후 각 군에 따라 저속 다이아몬드 절단기를 이용하여 치근단 3 mm를 절제하였으며 저속 round bur와 초음파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를 이용하여 역충전와동을 형성하고 IRM으로 역충전하였다. 시편을 2% methylene blue 용액에 7일간 침잠시킨 후 35% 질산 용액에서 용해시킨 다음,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비색계를 이용하여 누출 색소의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치는 이원변량분석법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 사면을 부여하지 않고 치아 장축에 대해 직각이 되게 치근단을 절제하고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경우, 초음파기구를 이용한 군과 저속 round bur를 이용한 군사이에는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cdot}$ 사면을 부여하면서 치근단을 절제하고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경우, 초음파기구를 이용한 군은 저속 round bur를 이용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치근단 누출을 보였다(p<0.0001). ${\cdot}$ 초음파기구를 이용하여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경우에는, 치근단 절제시 사면의 부여에 관계없이 치근단 누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저속 round bur를 이용한 경우에는, 사변을 형성하지 않은 군이 사면을 형성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p<0.0001). ${\cdot}$ 치근단 절제시 사변을 부여한 경우에는, 저속 round bur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군은 치아 장축에 직각으로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적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cdot}$ 초음파 기구를 이용하여 근관협부를 따라 역충전 와동을 형성한 군은 저속 round bur를 이용하여 근관협부를 따라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지 못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치근단 누출을 나타내었다(p<0.0001).

  • PDF

치근 발육정도와 Laser Doppler Flowmeter 측정치의 상호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LASER DOPPLER FLOWMETER OUTPUT AND STAGE OF ROOT DEVELOPMENT)

  • 서완종;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37-445
    • /
    • 1999
  • 외상받은 치아의 치수 생활력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치수생활력을 조기에 알 수 없으며, 특히 미완성 치근단을 가진 치아에서는 치수생활력 검사의 신뢰도는 더욱 낮아진다. 본 연구는 미완성 치근단을 가진 치아를 대상으로 하여 치근단 완성도에 따른 Laser Doppler Flowmeter(이하 LDF)의 측정치 차이와 발육단계에 따른 각각 LDF 측정 기준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3세에서 24세 성인 남녀 20명 및 7세에서 8세 취학 아동중 치근단공의 크기가 2mm이상인 아동 20명, $1{\sim}2mm$인 아동 20명의 상악 좌우중절치를 대상으로 LDF검사를 시행하였다. LDF는 안정된 signal이 나타날 때 까지 5분이상 관찰하였으며, 안정상태 도달후 5분이상 측정하였다. 모든 반응인자의 정규분포를 확인한 다음, 각 시험군간의 LDF측정치를 ANOVA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동일대상에서 좌우 치아간의 비교는 paired-t test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DF측정치에 있어 미완성 치근단을 가진군이 완성된 치근단을 가진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2. 미완성 치근단을 가진 군간의 비교시 LDF측정치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3. 각 실험군내에서 좌우중절치간의 비교시 LDF측정치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