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이용

검색결과 4,316건 처리시간 0.026초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Porphyromonas endodontalis의 동정에 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PORPHYROMONAS ENDODONTALI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RCR))

  • 이상엽;윤수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328-338
    • /
    • 1998
  • Porphyromonas endodontalis, an anaerobic Gram negative cocobacillus which wa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infected root canals and periapical lesions, is very difficult to culture and to detect by the traditional method in that it requires much time to induce the specific black pigmentation, and it is very sensitive to oxygen and the antibiotics added in the culture medium. In this study,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robe h' (0.73kb), one of the specific DNA probes top. endodontalis (ATCC 35406) which had been developed by our department, was determined and then a pair of primers for PCR amplification was fabricated to identify P. endodontalis. The plasmids containing 'probe h' were purified by $Wizard^{TM}$ Midipreps DNA Purification System (Promega Corp.), an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robe h' were determined by the dideoxy chain termination method using TaqTrack Sequencing System (Promega Corp.) and detected by fluorescent labelling method. The sense/antisense PCR primers were designed with computer software (Lasergene, DNASTAR Ind. PCR was done with a programmable GeneAmp PCR System 2400 (Perkin Elmer-Cetus Co.). Each sample containing the whole genomic DNA of P. endodontalis and other black-pigmented Bacteroides was itailly denatured at $94^{\circ}C$ for 5 min and then subjected to 30 cycles, each of them consisting of 60s at $94^{\circ}C$, 60s at $60^{\circ}C$, and 90s. at $72^{\circ}C$. The amplified DNA was resolved electrophoretically in a 1.0 % agarose gel in 1X TAE buffer, stained with EtBr, and photographed on a UV transillumina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nucleotide sequences of 'probe h' (743 base pairs) were obtained by dideoxy chain termination method, and from that results the specific primers to P. endodontalis (ATCC 35406), 'Primer H1/ Primer H2', were designed. 2. It has been found that 'Primer H1/H2' could detect P. endodontalis (ATCC 35406) using PCR. 3. The PCR system with this primers may be a powerful technique to amplify the specific sequences of 'probe h' of P. endodontalis (ATCC 35406) that produce distinct identification of it from other black-pigmented Bacteroides, and this could help us to determine the nature of periapical disease.

  • PDF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커피와 인공타액에서의 수복용 복합레진의 변색에 대한 연구 (A SPECTROPHOTOMETRIC STUDY ON DISCOLORATION OF RESTORATIVE COMPOSITE RESINS IN COFFEE AND ARTIFICIAL SALIVA)

  • 엄승희;조효선;이정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530-54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y spectrophotometry the changes in color parameters of composite resins after exposure to distilled water, filtered coffee, and artificial saliva. Five kinds of fine particle composite resin in experiment 1, and six kinds of composite resin in experiment 2 were used. In experiment 1, each group of composite resin was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4^{\circ}C$, $50^{\circ}C$, and filtered coffee solution at $4^{\circ}C$, $50^{\circ}C$. And then each specimen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Measurements were repeated in 1 hour, 2 hours, 4 hours, 8 hours, 16 hours, 24 hours, and 48 hours. In experiment 2, all specimens of each brand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artificial saliva not contained mucin at $37^{\circ}C$, and artificial saliva contained mucin at $37^{\circ}C$. All specimens of each brand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rmeter in 1 week, 2 weeks, 4 weeks, 8 weeks, and up to 12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old coffee, five of fine particle composite resins showed ${\Delta}E{^*}_{ab}$ values less than 2. However, in hot coffee ${\Delta}E{^*}_{ab}$ values of Amelogen Universal and Prisma TPH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quest Crystal, ${\AE}$litefil and Z100. 2. Z100 and ${\AE}$litefil had better cleansibility of extrinsic coffee staining than Amelogen Universal, Conquest Crystal and Prisma TPH. 3. In distilled water and artificial saliva not contained mucin, five of fine particle composite resin showed ${\Delta}E{^*}_{ab}$ values less than 2 up to 12 weeks. However, Silux Plus showed higher than ${\Delta}E{^*}_{ab}$ values of fine particle composite resin. 4. As an immersion solution for discoloration experiment, artificial saliva not contained mucin showed similar appearance as distilled water. However, artificial saliva contained mucin had different appearance from the others. 5. In artificial saliva contained mucin, ${\AE}$litefil, Prisma TPH and Z100 showed ${\Delta}E{^*}_{ab}$ values less than 1 up to 12 weeks. However, Silux Plus, Amelogen Universal and Conquest Crystal showed ${\Delta}E{^*}_{ab}$ values more than 1 up to 12 weeks. But, Conquest Crystal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hromacity difference value(less chromatic) and lightness difference value(lighter) from Silux Plus and Amelogen Universal.

  • PDF

색상 측정 기기를 이용한 복합레진 적층 수복과 단일 수복의 색상 비교 분석 (Colorimetric comparison of single layered dental composite with double layered dental composite)

  • 송영상;김자현;이빈나;장지현;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2호
    • /
    • pp.84-89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color caused by different thickness in enamel layer of composite resins when applied with single and layering placement technique, and evaluated if the results agreed with the shade guide from the manufacturers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color matching process of the manufacturers. Materials and Methods: For single composite resin samples, 6 mm diameter and 4 mm thickness cylindrical samples were fabricated using Ceram-X mono (DENTSPLY DeTrey) and CIE $L^*a^*b^*$ values were measured with spectrophotometer. Same process was done for layering composite resin samples, making 3 dentinal shade samples, 4 mm thickness, for each shade using Ceram-X duo (DENTSPLY DeTrey) and enamel shade resins were layered in 2 mm thickness and CIE $L^*a^*b^*$ values were measured. These samples were ground to 0.2 mm thickness each time, and CIE $L^*a^*b^*$ values were measured to 1 mm thickness of enamel shade resin. Results: Color difference (${\Delta}E^*$) between single and layering composite resin was 1.37 minimum and 10.53 maximum when layering thicknesses were between 1 mm and 2 mm and 6 out of 10 same shade groups suggested by manufacturer showed remarkable color difference at any thickness (${\Delta}E^*$ > 3.3). Conclusion: When using Ceram-X mono and duo for composite resin restoration, follow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for choosing the shade is not appropriate,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for Ceram-X duo is needed on the variation and expression of the shade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enamel.

와동벽에서 접착제의 두께가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hesive thicknes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the cavity wall)

  • 이화언;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9-1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와동벽에서 다른 위치에서의 상아질 접착제의 두께를 평가하고, 이런 다양한 접착제의 두께와 미세 인장 강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 개의 인간 대구치에 모든 상아질 면이 노출되도록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3개의 치아는 filled adhesive ($Clearfil^{TM}$ SE bond)를 와동 내에 도포하였고, 다른 3개의 치아는 unfilled adhesives ($Scotchbond^{TM}$ Multi Purpose)를 도포하였다.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접착층의 형태와 두께를 관찰하였다. 접착제의 두께는 수직 와동벽을 따라 와동 변연, 와동벽 1/2, 와동 내각의 세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Scotchbond^{TM}$ Multi Purpose와 $Clearfil^{TM}$ SE bond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를 재현하여 미세 인장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에서 두 가지 상아질 접착제 모두에서 와동 내각에서의 접착제의 두께가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위치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웠으며, 와동 내각의 두꺼운 접착제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는 와동 변연과 와동벽 1/2에서의 얇은 접착제 두께의 미세 인장 결합 강도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아연나노입자함유 교정용 레진의 물리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Resin Containing Zinc Nanoparticle.)

  • 조정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73-379
    • /
    • 2019
  • 가철성 교정장치의 자가중합 레진인 Polymethyl methacrylate(PMMA)는 색의 안정성과 체적 안정성, 조직 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어 오랫동안 치과 교정장치 재료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가철성 교정장치는 구강내에서 사용이 길어질수록 PMMA의 낮은 강도로 인하여 사용중 교정장치 레진상이 파절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zinc nanoparticle (ZNP)가 orthodontic PMMA에 혼합하여 강도효과를 도입하고자한다. ZNP을 함유된 orthodontic PMMA (0, 0.5, 1.0, 2.0 및 4.0%)의 직사각형 시료($1.4{\times}3.0{\times}19.0mm$)를 제작하였다. 제작완료된 시편을 1 mm/min의 속도로 3점 굽힘강도 시험하였고, 비커스 경도는 경도기를 이용하여 3회측정하였고, 표면조도기로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점 굽힘강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경도를 평가한 결과 역시 유지됨을 관찰하였다. 표면조도도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표면에너지는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다. ZNP함유된 orthodontic PMMA는 의치 및 교정용 장치의 기계적 특성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ZNP를 성공적으로 합성하고 이것이 분산된 교정용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다. 추후 항균실험을 추가하여 고강도와 항균력이 있는 교정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성인의 생애주기별 구강보건 지식과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웰에이징 구강보건교육안 개발 기초자료 조사- (A Study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of Adult's Lifestage -Research on Basic Data for Developing Oral Health Education Plan for Well-aging-)

  • 김설희;김두리;안상윤;황혜정;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63-272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의 생애주기별 구강건강 지식과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웰에이징을 위한 구강건강 교육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21년 2월 한 달 동안 한국갤럽의 온라인・모바일 조사를 통해 만 19세 이상 성인 319명을 조사하였다. 연구내용은 일반적 특성,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구강보건 지식, 웰에이징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IBM Co., Armonk, NY,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구강보건 지식과 교육 요구도 조사결과 전 연령층에서 예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청년층은 원인, 중년층은 치료법, 장년층과 노인층은 구강질환과 전신질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나 연령층별 교육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관심 있는 구강질환은 시린이, 구취, 치주질환, 치아변색 순서이었다. 구강보건 교육 희망기관은 인터넷 치과・의료기관, 보건소 순서이었다. 교육방법은 강의+체험, 동영상, 전문가강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웰에이징을 위한 생애주기별 교육 시행시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교육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보건소 모자보건실 연계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Case study on Dental Hygiene Care Program with the Focus on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with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 손정희;김상희;배수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69-276
    • /
    • 2019
  • 본 연구는 제천시보건소 모자보건실을 이용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하고, 시범운영의 구조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를 통하여 보건소에서 치과위생사가 지역사회 임산부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3회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9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위생관리 프로그램 결과 4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40.4%에서 14.0%로(p<0.05), 치은출혈 치아 보유율은 4.6%에서 2.7%로(p=0.180), 치석형성 치아 보유율은 23.7%에서 0%로(p<0.05) 감소하였다. PHP Index(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는 2기 임산부의 경우 1차 1.7점에서 3차 1.4점으로 개선되었고, 3기 임산부의 경우 1차 2.4점에서 1.3점으로 개선되었다(p<0.05). 본 연구 결과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프로그램을 보건소 구강보건실에서 적용 및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운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작기능장애의 구강근기능훈련이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al Myofunctional Exercise on the Oral Health in Masticatory Dysfunction)

  • 오나래;윤성욱;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55-463
    • /
    • 2019
  • 본 연구는 최종대상자는 5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29명, 대조군26명을 배정한 후, 실험군에게 구강안면프로그램을 교육하여 저작기능을 향상 시킴으로써 집단 간 구강위생 및 실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프로그램 효과분석은 프로그램 전-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의 평균 사후 $9.57{\pm}1.4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8.68{\pm}1.46$점으로 실험군의 OHBI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p<0.05)으로 나타났다. 실험군의 QHI 점수는 평균 사후 $1.00{\pm}.14$점 이었고, 대조군은 사후 평균은 $1.03{\pm}.23$점으로 실험군의 QHI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실험군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평균점수는 $4.13{\pm}.17$점 이었고 대조군은 $3.94{\pm}.22$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안면프로그램을 이용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는 집단 간 치면세균막 지수, 구강건강행동지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안면운동프로그램을 저작기능의 향상과 구강위생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치주염 치료를 위한 저온상압 플라즈마의 항염효과: 예비 실험 (Anti-inflammatory effect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for periodontitis treatment: in vitro pilot study)

  • 박유리;김현주;이주연;정성희;권은영;주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2호
    • /
    • pp.88-94
    • /
    • 2021
  • 목적: 대표적인 만성 구강내 염증성 질환인 치주염의 치료에 저온상압 플라즈마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 치주 조직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치은섬유모세포에 대한 항염효과를 평가해보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두명의 환자의 구강내에서 건강한 치은조직을 채득하여 primary culture 시행한 후 실험실에서 치은섬유모세포를 계대배양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헬륨 가스를 이용하는 저온상압 플라즈마 장치를 제작하였다. 치주염증을 유도하기 위해 Porphyromonas gingivalis (Pg)의 LPS를 처리하고, CCK-8 kit를 통해 세포생존율 평가를 시행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nterleukin (IL)-8, IL-6의 분비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인간치은섬유모세포 생존율 평가에서는 Pg LPS를 처리한 군과 플라즈마를 처리한 군, Pg LPS와 플라즈마를 함께 처리한 군 모두에서 생존율이 92.28%에서 100% 사이로 존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6시간과 24시간 세포배양시간에 따른 세포생존율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Pg LPS를 적용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IL-8과 6의 분비가 증가되었으며, 저온상압 플라즈마의 적용시 그 분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저온상압 플라즈마가 인간섬유모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치주염유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인 IL-8과 IL-6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미세먼지가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도 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on Oral Health)

  • 김주영;손화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0-628
    • /
    • 2021
  • 이 연구는 미세먼지가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조사해보고 미세먼지로 인한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전국의 일부 시민들로부터 총 134명의 성인이 최종분석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IBM 21.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위생 습관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세먼지가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5년 전과 비교하여 미세먼지의 수준이 나빠졌다고 인식한 대상자들이 가장 많았다. 그러한 결과는 30대 대상자들과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대상자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세먼지의 농도를 확인하는 대상자들은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날에 구강 건강에 더욱 신경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가 구강 건강에 위협이 된다고 인식하는 대상자들은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날에 구강 건강에 더욱 신경 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미세먼지와 구강 건강과의 관련성을 인식하고 있는 대상자들은 미세먼지로부터 구강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