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방사선사진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26초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진단의 치근단 X선사진과 디지털영상의 비교 (A comparison of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al images for the detection of dental caries)

  • 강병철
    • 치과방사선
    • /
    • 제24권1호
    • /
    • pp.31-35
    • /
    • 1994
  • 전남대학교 치과진료처에 내원한 환자의 구내방사선사진중 1단계 (Cl: 30개 병소)또는 2단계(C2: 213.8병소)의 인접면 치아우식을 가진 방사선사진 168장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방사선사진은 코닥사의 Ektaspeed(E group) 필름을 사용하여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하였다. 168장의 방사선사진에 대하여 1단계 및 2단계 치아우식증을 4명의 구강악안면방사선학을 전공한 치과의사들이 같이 판독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또한 168장의 방사선사진을 필름-비디오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이때 486 DX PC에 PCVision과 frame grabber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구내방사선사 진영상은 17"크기의 1280×768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모니터상에서 256단계 흑화도를 갖는 700×480픽셀로 제시되었다. 모니터상에서의 치아우식 판독 결과를 구내방사선사진 판독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sensitivity는 0.98이었다. 1단계 치아우식은 0.87, 2단계 치아우식 은 1.00의 sensitivity를 나타내었다.

  • PDF

교익방사선사진(Bite-wing radiograph)의 진단 효과에 대하여

  • 최순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7권8호통권243호
    • /
    • pp.691-695
    • /
    • 1989
  • Raper가 1925년 소개한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적절히 이용한다면 환자진료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 PDF

한국 어린이의 골 성숙도와 치아 석회화 단계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Dental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 김성진;송제선;김익환;김성오;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55-268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의 골 성숙 단계와 여러 치아들의 석회화 단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 6 - 14세의 남아 359명, 여아 384명의 수완부 방사선사진,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하악 좌측의 7개 영구치의 치아 석회화 단계는 Demirjian이 제시한 방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골 성숙도 단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완부 방사선 사진은 Fishman이 제시한 skeletal maturity indicators(SMI)에 따라 평가되었고, 측방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은 Baccetti가 제시한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CVM) 방법에 따라 평가되었다. Spearman의 순위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치아 석회화 단계와 골 성숙도 간에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 0.40-0.84, p < 0.001). 7개의 영구치 중에서 하악 제2대구치가 골 성숙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중절치가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남녀 모두에서 하악 견치의 stage G와 하악 제2대구치의 stage F가 SMI 6단계와 CS 3단계에서 나타날 확률이 가장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치아 성숙도와 골 성숙도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의 치아 성숙도 평가는 성장기 아동의 골 성숙도를 평가하는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교정에서의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이용 (THE USE OF POSTEROANTERIOR CEPHALOGRAM IN ORTHODONTICS)

  • 김영준;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5-175
    • /
    • 1989
  • 두개 안면부 내의 임의 부위를 평가시 정모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과 측방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을 동시에 적절히 사용할시에는 3차원적 공간 개념을 인지함으로서 대상의 정확한 존재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최근 교정학 분야에 있어서 점차 그 중요성과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1. 교정 치료시 진단 및 치료 계획 과정에서의 이용 (1) 두부 안면부에서의 비대칭 부위와 양의 인지 (2) 교정 치료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therapeutic position의 평가 2. 교정 치료 mechanics의 성공 여부 평가 이같은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을 측방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과 등시에 적절히 사용 함으로서 정확한 진단과 그에 합당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PDF

치과방사선사진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방사선촬영법 숙련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and integration study related to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 radiography training using dental radiograph and augmented reality)

  • 구자영;이재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41-44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기술을 활용하여 치과 방사선 촬영술의 반복 연습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다. 성인 모델의 외형을 사진 촬영하고, 실습용 마네킹 팬텀을 컴퓨터 단층 촬영한 후, 이를 중첩하여 삼차원 객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결과로 출력되는 106장의 방사선사진은 촬영법과 관련된 치아 정보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고, 학습자가 성공적인 촬영을 수행하면 각 촬영조건에 맞는 부위별 영상이 호출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전 단계에서의 연습을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이 콘텐츠를 이용하여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촬영 임상 실무역량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다만, 직접 얼굴인식을 통해 촬영하는 것이 실습효용 가치가 클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이에 관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재근관치료를 통한 치근단 병소의 치유

  • 전정훈;황호길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0-341
    • /
    • 2002
  • 근관치료 후 성패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근관충전의 양상으로 판단 될 수 없다. 근관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소견과 주기적인 환자의 관찰을 통한 방사선 소견을 비교 평가하여 치근단 병소의 소실과 더불어 불편한 임상증상이 소실되었을 때 비로소 근관치료의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구강영역 악성종양의 영상진단학적 평가 : 방사선사진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의 비교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IMAGING OF THE MALIGNANT TUMOR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 COMPARISON OF CONVENTIONAL RADIOGRAMS AND MRI)

  • 이영미;박태원
    • 치과방사선
    • /
    • 제23권2호
    • /
    • pp.323-332
    • /
    • 1993
  • 저자는 1988년 6월 1일부터 1993년 6월 30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에 내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구강악안면부 악성종양환자 35명의 방사선사진 소견과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인 방사선사진소견으로는 미만성의 골파괴가 15례 (42.9%), 연조직종괴의 음영이 7례 (20,0%), 부유치를 보인 경우가 3례 (8.6%), 골경화가 2례 (51.7%)로 나타났다. 2.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연조직종괴가 23례 (65.7%), 골수침범이 12례(34.5%), 피질골 파괴가 14례(40.0%), 정상피질골에 골수침범이 1례 (2.9%), 지방층소실이 19례(54.3%), 림파절전이가 8례 (22.9%), 조영증강이 15례 (42.9%), 골증식이 1례 (2.9%)였다. 3. 구강악안면부의 악성종양환자에 있어서, 방사선사진에서 관찰하기 힘들었던, 종양의 구강저, 저작근, 부인두강, 사골동, 측두하와, 악하선, 비강 등 인접조직으로의 침범여부 및 골파괴 정도와 림파절전이를 평가하는 데 자기공명영상은 도움을 주었다. 4. 정진율은, 방사선사진에서 35례중 16례로 45.7%였고, 자기공명영상에서는 35례중 27례로 77.1%로 자기공명영상의 정진율이 더 높았으나, 일반적인 방사선사진이 자기공명영상보다 더 우세한 경우도 2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