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과방사선사진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comparison of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al images for the detection of dental caries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진단의 치근단 X선사진과 디지털영상의 비교)

  • Kang Byung-Cheo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24 no.1
    • /
    • pp.31-35
    • /
    • 1994
  • 전남대학교 치과진료처에 내원한 환자의 구내방사선사진중 1단계 (Cl: 30개 병소)또는 2단계(C2: 213.8병소)의 인접면 치아우식을 가진 방사선사진 168장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방사선사진은 코닥사의 Ektaspeed(E group) 필름을 사용하여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하였다. 168장의 방사선사진에 대하여 1단계 및 2단계 치아우식증을 4명의 구강악안면방사선학을 전공한 치과의사들이 같이 판독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또한 168장의 방사선사진을 필름-비디오 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이때 486 DX PC에 PCVision과 frame grabber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구내방사선사 진영상은 17"크기의 1280×768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모니터상에서 256단계 흑화도를 갖는 700×480픽셀로 제시되었다. 모니터상에서의 치아우식 판독 결과를 구내방사선사진 판독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sensitivity는 0.98이었다. 1단계 치아우식은 0.87, 2단계 치아우식 은 1.00의 sensitivity를 나타내었다.

  • PDF

교익방사선사진(Bite-wing radiograph)의 진단 효과에 대하여

  • Choe, Sun-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7 no.8 s.243
    • /
    • pp.691-695
    • /
    • 1989
  • Raper가 1925년 소개한 교익방사선사진 촬영법은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적절히 이용한다면 환자진료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Dental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한국 어린이의 골 성숙도와 치아 석회화 단계 간의 상관관계)

  • Kim, Seong Jin;Song, Je Seon;Kim, Ik-Hwan;Kim, Seong-Oh;Choi, Hy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8 no.3
    • /
    • pp.255-268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ges of calcification of various teeth and skeletal maturity stages among Korean subjects. The samples were derived from hand-wrist, panoramic radiographs, and lateral cephalograms of 743 subjects (359 males and 384 females) with ages ranging from 6 to 14 years. Calcification of seven permanent mandibular teeth on the left side were rat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Demirjian. To evaluate the stage of skeletal maturation, hand-wrist radiographs were analyzed by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 system of Fishman and lateral cephalograms by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 (CVM) method of Baccetti.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dental calcification and skeletal maturity stages according to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s (r = 0.40-0.84, p < 0.001). The second molar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and central incisor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for female and male subjects. For both sexes, canine stage G and second molar stage F were related to SMI 6 and CS 3. Because of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ooth calcification stages from panoramic radiographs might be clinically useful as a maturity indicator of the pubertal growth period in Korean patients.

THE USE OF POSTEROANTERIOR CEPHALOGRAM IN ORTHODONTICS (교정에서의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이용)

  • Kim, Young Joon;Rhu, Young Kyu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19 no.2
    • /
    • pp.165-175
    • /
    • 1989
  • In evaluation of some area within the craniofacial complex posteroanterior cephalogram together with lateral cephalogram is used for assessment of the exact existence and posture by grasping 3-dimensional concept. The usages of posteroanterior cephalogram in orthodontics are following; 1. The use dur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1) Assessment of the area and amount of facial asymmetry. 2) Assessment of therapeutic posit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2. The Assessment of success in orthodontic mechanics If we use posteroanterior cephalogram together with lateral cephalogram adequately and simultaneously we can establish the exact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planning.

  • PD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study related to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 radiography training using dental radiograph and augmented reality (치과방사선사진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방사선촬영법 숙련용 디지털 콘텐츠 개발에 대한 융복합 연구)

  • Gu, Ja-Young;Lee, Jae-G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2
    • /
    • pp.441-447
    • /
    • 2018
  • This study aims to develop digital techniques that enable repeated practice of dental radiography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 three-dimensional object was fabricated by superimposing a photograph of an adult model and a computed tomography image of a manikin phantom. The system was structured using 106 radiographs such that one of these saved radiographs is opened when the user attempts to take a radiograph on a mobile device. This system enabled users to repeatedly practice at the pre-clinical stage without exposure to radiation. We attempt to contribute to enhancing dental hygienists' competency in dental radiography using these techniques. However, a system that enables the user to actually take a radiograph based on face recognition would be more useful in terms of practice, so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on the topic.

재근관치료를 통한 치근단 병소의 치유

  • 전정훈;황호길
    • Proceedings of the KACD Conference
    • /
    • 2002.05a
    • /
    • pp.340-341
    • /
    • 2002
  • 근관치료 후 성패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근관충전의 양상으로 판단 될 수 없다. 근관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근관치료 직후의 방사선 소견과 주기적인 환자의 관찰을 통한 방사선 소견을 비교 평가하여 치근단 병소의 소실과 더불어 불편한 임상증상이 소실되었을 때 비로소 근관치료의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IMAGING OF THE MALIGNANT TUMOR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 COMPARISON OF CONVENTIONAL RADIOGRAMS AND MRI (구강영역 악성종양의 영상진단학적 평가 : 방사선사진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의 비교)

  • Lee Young-Mi;Park Tae-W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23 no.2
    • /
    • pp.323-332
    • /
    • 1993
  • 저자는 1988년 6월 1일부터 1993년 6월 30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에 내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구강악안면부 악성종양환자 35명의 방사선사진 소견과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인 방사선사진소견으로는 미만성의 골파괴가 15례 (42.9%), 연조직종괴의 음영이 7례 (20,0%), 부유치를 보인 경우가 3례 (8.6%), 골경화가 2례 (51.7%)로 나타났다. 2.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연조직종괴가 23례 (65.7%), 골수침범이 12례(34.5%), 피질골 파괴가 14례(40.0%), 정상피질골에 골수침범이 1례 (2.9%), 지방층소실이 19례(54.3%), 림파절전이가 8례 (22.9%), 조영증강이 15례 (42.9%), 골증식이 1례 (2.9%)였다. 3. 구강악안면부의 악성종양환자에 있어서, 방사선사진에서 관찰하기 힘들었던, 종양의 구강저, 저작근, 부인두강, 사골동, 측두하와, 악하선, 비강 등 인접조직으로의 침범여부 및 골파괴 정도와 림파절전이를 평가하는 데 자기공명영상은 도움을 주었다. 4. 정진율은, 방사선사진에서 35례중 16례로 45.7%였고, 자기공명영상에서는 35례중 27례로 77.1%로 자기공명영상의 정진율이 더 높았으나, 일반적인 방사선사진이 자기공명영상보다 더 우세한 경우도 2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