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 방향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Values and Future Research Issues In Bibliometrics (도서관/정보학적 측에서 본 계량서지학의 가치와 중요성 및 연구방향 제시)

  • Jeong Dong 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9
    • /
    • pp.243-261
    • /
    • 1990
  • 계량서지학이 도서관 정보학 분야에 응용된 지 20년이 지난 지금, 이론 및 실무에 남긴 발전적 기여를 고찰함과 동시에,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계량서지학의 가치와 중요성은 한층 더 폭넓게 인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계량서지학의 개념 정리와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이론적 근거 및 장$\cdot$단점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기초를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문헌구조를 분석하는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동시인용분석(co-citation analysis), 인용문맥분석 (citation context analysis), 다차원축적기법(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 등에 대한 최근의 연구 동향 및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실무 혹은 정보시스팀에 계량서지학의 실제 응용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계량서지학의 3대법칙-Lotka's law, Brandford's law, Zipf's law-의 발달 단계, 상관관계 및 응용분야를 연구함으로써 전반적인 도서관 관리와 이론정보학의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 PDF

Static Tests on Transverse Joints of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Bridge Deck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바닥판 연결부에 관한 정적 실험)

  • 정철헌;김영진;김성운;박칠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2
    • /
    • pp.109-117
    • /
    • 1998
  • 중트럭통행으로 인한 철근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열화는 교량구조물을 유지보수하는데 있어서 심각한 문제중 하나이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이용한 교량바닥판의 시공 및 교체 방법이 실용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 사이 연결부에 대한 정적실험을 수행하여 실험부재의 탄성영역 및 극한 상태하에서 프리캐스트 바닥판 사이 교축직각 방향 연결부의 강성 및 강도를 평가하였다. 정적실험결과, 무수측 모르나트를 채움재로 사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사이 교축방향 연결부는 교축방향으로 적정량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서 일반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에 비해서 균열에 대한 사용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Effect on Camera Distortion when Measuring Surface Velocity using LSPIV (LSPIV를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시 카메라 왜곡의 영향 분석)

  • Lee, Jun Hyeong;Yoon, Byung Moo;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1-151
    • /
    • 2020
  • 표면영상유속측정법은 영상을 이용한 비접촉식 유속 측정 방법으로 카메라 외에 별도로 고가의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현장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조사인력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고, 안전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하천 유속 측정 방법이다. 표면영상유속측정법은 일반적으로 상호상관법을 이용하여 수표면을 촬영한 연속된 두 영상에서 입자군의 명암값 분포를 계산하여 입자군의 변위를 계산하고 이를 두 영상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입자군의 이동 속도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표면영상유속측정법으로 산정한 유속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상 내 두 입자군의 변위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분석하고자 하는 영상의 물리거리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하천 영상을 촬영한 영상은 카메라 렌즈에 의한 왜곡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는 영상 내의 변위 산정 시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드론을 활용하여 넓은 하천 영역을 촬영할 경우 카메라 렌즈에 의한 왜곡은 실제 물리 변위 계산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 왜곡이 영상 내 변위 산정 결과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카메라 렌즈 왜곡은 영상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점점 크게 발생하고 왜곡 정도는 비선형적으로 나타났으며, 변위 측정 오차는 영상의 중앙부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영상 외곽부에서 최대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카메라 렌즈 왜곡 보정을 실시하게 되면 영상 전체적으로 변위측정 오차는 모두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 왜곡 보정을 실시하여 표면영상유속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카메라 렌즈 왜곡 보정을 실시한다면 하천의 표면유속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vestigation and Greenhouse Heat Loss based on Areas and Weather Information (온실 열손실 분석용 기상정보 및 온실방위 조사 분석)

  • Kim, Young Hwa;Kang, Sukwon;Paek, Yee;Jang, Jae Kyung;Sung, Je Hoon;Kang, Yeon K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7 no.1
    • /
    • pp.64-70
    • /
    • 2018
  • In this study, eleven major coastal areas were selected and the climate environment and the greenhouse direction were analyze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greenhouse heat loss according to the wind environment at target areas. The target areas were selected based on heated greenhouse cultivation area and wind environment standard. Temperature,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among weather data for 30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e minimum, average, and maximum temperatures and the Meteorological Agency criteria applied to the weather and wind direction criteria. Data were collected in the range of $0{\sim}180^{\circ}$ considering the symmetry of the shape of the greenhouse. In addition, the wind direction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and the applied wind direction can be different when referr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eenhouse and the data are collected in the range of $0{\sim}90^{\cir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to calculate the heating load of greenhouse installed in places wind speed high.

An analysis of interception capability of storm water grate inlet in road (도로 빗물받이의 차집능력 분석)

  • Lee, Jong-Tae;Yoon, Sei-Eui;Kim, Kap-Soo;Kim, Young-Ran;Ryu, Taek-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3 s.134
    • /
    • pp.465-480
    • /
    • 2003
  • The interception capabilities of storm water grate inlet we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hydraulic model lot gutter flow was used to estimate the interception capability. With the consideration of width and length of road, gutter discharges were ranged of 4-15l/sec. The transverse slopes of gutter were selected 4, 7 and 10%. The longitudinal slopes were 0, 2, 5 and 7%. The four sizes of storm water grate inlet were used in this experiments ($30\times40cm,\;40\times50cm,\;40\times100cm,\;40\times150cm$). The total number of experimental cases were 240. As the transverse slopes of gutter increased, the interception capability also increased. As the flow width in gutter and the discharge were lower, the interception efficiencies increased and the longitudinal slopes of road increased, the interception efficiencies decreased. The empirical formula with the factors of total inflow discharge, the longitudinal slope and the transverse slope of gutter were derived. These equations could be used to estimate the intercepting discharge of grate inlet. The reasonable construction space of grate inlet for the road widths, the longitudinal slopes, the transverse slopes and the grate inlet sizes were suggested.

Change of PAE according to Detector Measurement Method (검출기 측정방법에 따른 PAE값의 변화)

  • Im, In-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6
    • /
    • pp.307-311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E, as the result of the test of kVp accuracy, according to detector measurement method. Based on the indicated value of 70kVp, each distance between a focus and a kVp meter was 100cm, 80cm and 60cm and the angle of X-ray tube was set on $5^{\circ},\;10^{\circ},\;15^{\circ},\;20^{\circ},\;25^{\circ},\;30^{\circ}$. Each indicated value, 60kVp, 70kVp, 80kVp, 90kVp and 100 kVp, was used compare Small focus with Large focus. As a result, PAE on the side of cathode was higher than it on the side of anode in the case of 100cm and PAE on the side of anode was higher in the case of 80cm and 60cm. The coefficient rate was stable both the side of cathode and anode in the case of 100cm and it was fluctuated in the case of 80cm and 60cm. PAE in the case of Small focus was higher than Large focus and it was disproportionate to an indicated value. Error rate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indicated value.

Load Distribution Factors for Two-Span Continuous I-Girder Bridges (2경간 연속 I-형교의 하중분배계수)

  • Back, Sung Yong;Shin, Gi 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9 no.2
    • /
    • pp.233-245
    • /
    • 2007
  • Previous finite element studies have shown that AASHTO Standard load distribution factor (LDF) equations appear to be conservative for longer spans and larger girder spacing, but too permissible for short spans and girder spacing. AASHTO LRFD specification defines the distribution factor equation for girder spacing, span length, slab thickness, and longitudinal stiffness. However, this equation requires an iterative procedure to correctly determine the LDF value due to an initially unknown longitudinal stiffness parameter. This study presents a simplified LDF equation for interior and exterior girders of two-span continuous I-girder bridges that does not require an iterative design procedure.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rder spacing, span length, slab thickness, slab width, and spacing and size of bracing. The computer program, GTSTRUDL, was used to idealize the bridge superstructures as the eccentric beam model, the concrete slab by quadrilateral shell elements, steel girders by space frame members, and the composite action between these elements by rigid links. The distribution factors obtained from these analyse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AASHTO Standard and LRFD methods. It was observed through the parametric studies that girder spacing, span length, and slab thickness were the dominant parameters compared with others. The LRFD distribution factor for the interior girder was found to be conservative in most cases, whereas the factor for the exterior girder to be unconservative in longer spans. Furthermore,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velop simplified LDF formulas. The formulas developed in this study produced LDF values that are always conservative to those from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are generally smaller than the LDF values obtained from the AASHTO LRFD specification. The proposed simplified equation will assist bridge engineers in predicting the actual LDF in two-span continuous I-girder bridges.

An Analytical Study of Vibrating Considering Soil-Structure Interactions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진동기계기초의 해석법 연구)

  • Lee, In-Mo;Lee, Seok-Won;Park, Jong-Gwan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7 no.3
    • /
    • pp.5-20
    • /
    • 1991
  • 동하중을 받는 진동기계기초의 동적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임피던스함수의 적절한 산 출이 필수적이며, 회전기계 -기초 -지반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동적해석이 요구된다. 이제까지 지 반의 임퍼던스함수는 주로 원형기초에 한하여 제시되어 왔으나, 기초의 형상은 실제로 지반의 임퍼 던스함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형상 및 매립된 기초에 적용할 수 있는 임퍼던스함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임퍼던스함수를 바탕으로, 회전기계 -기초- 지반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동적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예제해석을 통하여 각종 임피던스함수의 적용에 따른 기계기초의 응답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주파수독립 임퍼던스함수와 주파수종속 임피던스함수를 이용한 결과를 비교해 볼 때,수평방 향과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동적응답이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연직방향 운동에 대해서는 상 당한 차이를 보인다. 2) 표면기초와 매립기초를 비교해 본 결과, 매립기초에 있어서 수평방향과 회전방향에 있어서는 동적응답이 거의 일정한 간에 도달하므로 기초가 어느 정도 매립된다면 안전측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직방향에 있어서는 매립여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 PDF

Design of Trajectory Following Controller for Parafoil Airdrop System (패러포일 투하 시스템의 궤적 추종 제어기의 설계)

  • Yang, Bin;Choi, Sun-Young;Lee, Joung-Tae;Lim, Dong-Keun;Hwang, Chung-Won;Park, Seung-Yub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8 no.3
    • /
    • pp.215-222
    • /
    • 2014
  • In this paper, parafoil airdrop system has been designed and analyzed. 6-degrees of freedom (6-DOF) model of the parafoil system is set up. Nonlinear model predictive control (NMPC) and Proportion integration differentiation (PID) methods were separately applied to adjust the flap yaw angle. Compared the results of setting time and overshoot time of yaw angle, it is found that the of yaw angle is more stable by using PID method. Then, trajectory following controller was designed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of trajectory following effects, which was carried out by using MATLAB. The lateral offset error of parafoil trajectory can be eliminated by its lateral deviation control. The later offset deviation reference was obtained by the interpolation of the current planning path. Moreover, using the designed trajectory, the trajectory following system was simulated by adding the wind disturbances. It is found that the simulation result is highly agreed with the designed trajectory, which means that wind disturbances have been eliminated with the change of yaw angle controlled by PID method.

판매 촉진과 광고전략

  • 서영준
    • Food Industry
    • /
    • s.13
    • /
    • pp.80-83
    • /
    • 1973
  • 70년대의 소비자패턴은 큰 변모를 갖어 올것이라고 평론가들이 말 하였듯이 이미 모든 분야에 걸쳐서 일대격변의 시대가 찾아왔다고 말하지 않으면 안될것이다. 원인은 여러가지로 생각할수 있겠으나 소득증대, 여가선용, 가치관의 변화라고하는 요인을 들수있을 것이다. 60년대라고하면 소비자에 있어서 생리적욕구와 물리적 욕구를 충족만 시켜주면 되었던 시대였었다. 그리고 이와같은 욕구를 만족시킬 상품이나 서어비스는 비교적 라이프싸이클(生活環)이 길고 안정된 시장이 였었다. 기업측에서 볼것 같으면 물건을 팔기쉬운 시대였다고 말할수 있을것이다. 그러나 70년대라고 하면 소비자가 저차원의 욕구라고 할 기본적인 욕구는 일단 만족되고 자기실현의 욕구와 같은 고차원의 욕구를 구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있는 시대인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