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지계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1초

GPS 정밀단독측위 성과의 보정을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Reference Epoch Adjustment Model for Correction of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s)

  • 성우진;윤홍식;황진상;조재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9-2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정적 측지기준계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GPS 정밀단독측위 해석 결과에 정적 측지기준계의 기준시점으로부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한 위치의 변동량을 보정함으로써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 중 14개소를 선정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약 10년간의 일별 GPS데이터에 대하여 GIPSY-OASIS II를 이용한 정밀단독측위 해석을 실시하고 이로부터 GPS상시관측소의 지각변동량을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SOPAC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각변동모델식의 파라미터를 계산함으로써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하여진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적용한 결과 GPS상시관측소의 위치는 약 12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었으며, 일반 측량점의 위치는 약 16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많은 GPS상시관측소의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결정할 경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하여 변동된 측량점의 위치를 실용적인 정확도 범위 내에서 GPS 정밀단독측위에 의하여 정적 측지계 기준의 좌표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GPS에 의한 제주지역의 측지기준망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n Geodetic Network in Jeju area using GPS)

  • 강상구;정영동;양영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4
    • /
    • 2006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 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 가능성를 제시하였다.

  • PDF

벳셀타원체 기준의 남한지역 지오이드 모델(KGM95) (Geoid Models Referred to the Bessel Ellipsoid of South Korea)

  • 이영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5-133
    • /
    • 1995
  • 지오이드고는 천문측지자료, 중력자료, 위성자료 등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연직선편차와 지오이드고 제약조건을 사용하여 곡면다항식법에 따라 동경원점계인 벳셀지오이드 모델(KGM95-A)을 산정하고 지심계인 중력지오이드 모델 KGM 93-C로 부터 동경원점 변환요소에 의해 변환된 벳셀지오이드(KGM95-D)와 비교하였으며 우리나라 측지망에서의 적용에 대한 토의가 제시되었다.

  • PDF

가중변수법에 의한 국가좌표계 변환요소의 산정 (National Datum Transformation Parameters of South Korea Using Weighted Parameter Constraints)

  • 이영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9
    • /
    • 1997
  • 최근 LIS/GIS측량과 지적조사 등의 분야에서는 위성측위시스템(GPS릿 활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지역측지계에서 지구중심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국가변환요소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벳셀타원체 기준의 한국측지좌표와 WGS84좌표간의 변환요소를 가중변수에 의한 최소제곱해법에 따라 결정하였다. 국가기준점망의 31개 측점에 대한 GPS관측으로부터 결정된 지심3차원좌표의 GPS성과와 실용성과 또는 정밀1차성과간의 기준계 변환요소는 표준편차 1미터 이내이며 벳셀지오이드고를 고려할 때 GPS기선해석을 위한 초기좌표결정과 중축척지도의 변환과 LIS/GIS 데이터베이스의 수정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개방형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좌표변환 소프트웨어 개발 (Software Development for Coordinates Conversion Using Open Source)

  • 김의명;송영선;조현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1
    • /
    • 2009
  •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개방형 라이브러리가 개발되어 온라인상으로 배포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오픈소스를 활용할 경우 최소한의 노력으로 요구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배포되는 오픈소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목적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공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세계 측지계의 변환작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상황에서 좌표계변환을 위해 개발된 오픈소스 Proj4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개발한 NGI Pro 소프트웨어와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간의 변환과정 만으로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좌표변환모듈의 개발이 가능하였으며, 좌표계변환을 요구하는 분야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 개방형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철도기준점을 이용한 철도중심선형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Study on Coordinate Transformation of Railroad Central Linear-line Using the Railroad Reference Points)

  • 문정균;허준;강상구;김일주;박재홍;김성훈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685-691
    • /
    • 2007
  • 건설교통부는 2007. 1. 1 (2009.12. 신구좌표병행) 세계측지계 전면 시행 방침에 따라 철도측량의 내실화 그리고 기술력 제고를 위하여 호남고속철도건설 사업수행에 요구되는 수치지도를 항공측량을 통해 제작하였으며 이와 함께 철도기준점(GPS 정밀 3등기준점)측량을 실시, 보다 정밀한 철도 중심선형 좌표값 과 수준값을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국토지리정보원은 세계측지계 변환지침에 의거 국가좌표변환계수 및 왜곡량 모델을 고시하였다. 호남고속철도의 경우 좌표변환을 위해 공통기준점을 새로이 설치하지 않고 중심측량 및 종횡단측량을 위해 이미 구축된 철도기준점을 공통기준점으로 가정하여 변환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남북축으로 계획된 호남고속철도 사례를 통해 현재의 계획노선을 선형 중심축으로 가정하고 철도기준점을 이용한 좌표변환을 실시후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변환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 좌표변환 실시 후 분석결과 Y축 왜곡량 값이 최소 21cm에서 최대 40cm까지 완만한 직선축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X축은 $14cm\sim29cm$의 왜곡량을 보였으며 이러한 왜곡량을 보정한 결과 좌표간 편차량이 $6mm{\sim}9mm$로 국토지리정보원의 세계측지계 변환 지침에 따른 허용오차 및 지적경계측량 허용오차인 10cm를 만족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철도기준점을 공통기준점(Common Point)으로 이용한 중심선형좌표 변환이 가능함을 설명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공통점의 데이터, 좌표데이터, 수치지도의 변환도 허용오차범위내에서 변환이 가능하다.

백침계 모이 측지발생 촉진을 위한 생장조정제 이용 효과 (Effects of Growth Regulator for Promoting Lateral Shooting in White-Spine Cucumber(Cucumis sativus L.))

  • 이재한;권준국;강남준;정호정;박진면;강경희;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5-279
    • /
    • 2005
  • 백침계 오이는 측지착과형으로 주지착과형인 국내용 오이와 차이가 있어 백침계 오이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측지발생을 높여야 가능하다. 그러나 백질계 오이의 재배시기는 대부분 동절기로 저온 및 일조부족 등의 불량한 환경조건 때문에 측지발생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생장조정제를 이용하여 백침계 오이의 측지발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BA의 농도 및 살포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BA $30mg{\cdot}L^{-1}$을 살포한 것은 농도 장해증상이 억제작형에서는 나타났으나, 반촉성작형에서는 경미하게 나타났다. 측지발생은 BA $10mg{\cdot}L^{-1}$ 살포하는 것이 BA $30mg{\cdot}L^{-1}$ 살포하는 것 보다 많았고, 처리시기는 본엽 10매, 15매 전개되었을 메 살포한 것이 본엽 5매 전개되었을 때 살포한 것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