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 점데이터

Search Result 699,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근사 함수에 기반한 대용량 3차원 모델 복원 알고리즘

  • 조현철;김선정;김창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307-30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스캔기기에서 실제 모델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점 데이터로부터 모델의 표면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3차원 스캔기기가 정밀해지고 스캔 규모도 커짐에 따라 측정 데이터의 크기도 증가되어, 이러한 대용량 측정 데이터의 복원 알고리즘이 필요로 되고 있다. 그리고 여러 다른 각도에서 스캔닝 된 점 데이터들은 이어지는 부분이 정확히 맞지 않아 중첩되어 표현되거나 기계적인 또는 환경적인 제약 등의 이유로 오류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복원 알고리즘은 이러한 중첩된 표현을 정리하고 오류를 보정해 주어야 한다.(중략)

  • PDF

3D Modeling of Terrain Objects according to the Point Density of Lidar Data (Lidar 데이터의 점밀도에 따른 지물의 3D모델링)

  • 한동엽;김용일;유기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50-555
    • /
    • 2003
  • 최근에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위치 정보와 지표면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높은 위치 정확도, 3차원 데이터 동시 취득, 기존 측정 방식에 비하여 점 데이터 취득의 자동화, 데이터 정확도의 안정성 등으로 인하여 복잡한 지형 및 인공구조물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Lidar 데이터의 응용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건물 모델링에서 반자동 방식의 디지털 사진측량에 비하여 자동 모델링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Lidar 데이터의 점밀도는 1점/㎡이내이며, 촬영된 스트립을 중복시켜 점밀도를 높이기도 한다. 건물은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모델링에 필요한 점밀도를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5점 내외에서 모델링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물이외에 다른 지형지물에 대한 모델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idar 데이터의 점밀도에 따라 지물의 모델링 가능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취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LFT viscosity from CAE analysis with measuring cavity pressure (캐비티 내압 측정 및 CAE해석을 통한 Long Fiber Thermoplastic(LFT)의 점도 추정)

  • Kim, Yong-Hyun;Noh, Seong-Kyu;Kim, Dong-Ha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345-3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LFT와 같은 고점도 수지의 점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제 사출공정에서의 점도를 추정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점도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 하였다. 우선 금형 내에 캐비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이 시스템을 이용해서 실제 사출과정에서 나타나는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용화 된 CAE 프로그램(Moldflow)은 사출공정에서 캐비티 내부를 흐르는 수지의 압력변화를 모사할 수 있다. 만약, CAE D/B에 있는 수지의 점도 데이터가 정확하다고 가정하면, 실험에서 측정한 압력 프로파일과 CAE로부터 계산 된 압력 프로파일이 일치해야 한다. 이것이 실험값과 일치하지 않으면 가정한 값을 CAE D/B에 입력해서 일치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점도를 추정 할 수 있다. 한편, LFT에 대하여 적용하여 최적화 된 점도 데이터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Setting of Breast Measurement Points on 3D Scan Data

  • Sohn, Boo-Hyun;Ha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5
    • /
    • pp.81-90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setting measurement point in the 3D scan data based on the manual measurement data. The optimal 3D body scan postures and measurement point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breast were set up. The outer breast poin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body shape or standing posture as it is on the line connected from the bisecting point of the lateral waist thickness to front armpit p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reast-related outer point proposed in this study. And many researches need to reduce the differences between MAM and 3D dimension items associated with the upper breast point. When measuring depth, the difference by pressing in MAM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the differences in flexion depending on breast type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3D measurement. So the measurement method in 3D scan should be further studied depending on the types of breast and verified by multiple subjects.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를 이용한 Semi-Variogram의 추정과 거리에 의한 할인점 이용권 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Yu, Seong-Mo;Yun, Yeon-Sang;Kim, Gi-Hwan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99-108
    • /
    • 2006
  • 대형 할인점 매출 데이터는 G-CRM, 에어기어 마케팅(Area Marketing)에 활용하기 위해 고객의 구매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TM중부좌표로 이루어진 고객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점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통시에 측정된 자료들이 공간적인 변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면, 공간적인 변인의 함수식에 의한 예측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변인으로 거리가 주어졌을 때, 대형 할인점 매출 자료에 대한 세미베리오그램(Semi-Variogram)의 모형을 추정하고, 관측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할인점 이용권을 공간예측기법으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공간예측 기법을 통해 예측된 할인점 이용권을 토대로 할인점 이용권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매출 데이터의 공간이상치 탐지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실례로 알아보았다.

  • PDF

Noise and Vibration Analysis in Hydro Power Plant (수력발전소 소음 및 진동의 측정분석)

  • Lee, Jung-Whan;Byun, Doo-Gyoon;Kim, Eu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7.07b
    • /
    • pp.516-520
    • /
    • 1997
  • 수차발전기 유지관리상 중요한 자료인 소음 진동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있는데 측정자의 전문성, 측정장비, 데이터 취득분석 등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과거 데이터를 현재 취득 값과 비교분석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수차발전기의 진동원인, 측정상의 주의점, 진동의 판정법, 수차발전기 이론진동수 조사, FFT Analyzer를 이용한 데이터분석의 실례를 보임으로서 보다 과학적인 설비관리의 기법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3D Shape Pointcloud without GCPs using UAV images (UAV 영상을 이용한 무기준점 3D 형상 점군데이터 활용 연구)

  • Kim, Min-Chul;Yoon, Hyuk-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97-104
    • /
    • 2018
  • Recently, many studies have examined UAVs (unmanned aerial vehicles), which can replace and supplement existing surveying sensors, systems, and images. This study focused on the use of UAV images and assessed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to obtain GCPs (ground control points), such as disasters. Therefore, 3D (dimensional) pointcloud data were generated using UAV images and the absolute/relative accuracy of the generated model data using GCPs and without GCPs was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e 3D shape pointcloud generated by UAV image matching was proven if the relative accuracy was set, regardless of whether GCPs were used or not;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error rate was within 1%. Even if the absolute accuracy was low, the 3D shape pointcloud that had been post processed quickly was sufficient to be utilized when it is impossible to acquire GCPs or urgent analysis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results can obtain quantitative measurements and meaningful data, such as the length and area, even in cases with the ground reference point surveying and post-process.

Design of foot parameter measurement system in 3D Point cloud (3D 점군 데이터에서의 발 고유 변인 검출 시스템 설계)

  • Yun, Jeongrok;Kim, Un Yong;Kim, Hoemin;Chun, Su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95-696
    • /
    • 2021
  • 최근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군들 사이에서 기능성 신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성 신발 및 맞춤형 신발은 높은 가격대와 긴 제작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3D 스캐너 도입으로 해결이 가능하나, 정확한 발 형상 측정이 가능한 3D 스캐너는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매장별 보급이 어렵다. 본 논문은 기능성 신발의 보급을 위하여 저가형 3D 스캐너에서 정확한 발 고유 변인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서술한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저가형 Depth Camera를 이용한 저가형 3D 스캐너의 발 형상 3D 점군 데이터를 2차원으로 변형하고, 발 형태를 감싸는 최소 사각형(Min Area Rect)를 형성하여 발 안쪽점 및 발 가쪽점을 추정한다. 생성된 최소 사각형과 발 안쪽점 및 발 가쪽점 등은 발 고유 변인 측정의 기준이 된다. 실험 결과에서는 측정 기준을 이용하여 발 고유 변인인 발 길이, 발 너비, 발꿈치 너비, 발꿈치에서 발안쪽점 및 발 가쪽점 길이 등 5가지 고유 변인을 측정하는 것을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of a cavity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estimation of viscosity functions of various polymer composites (사출성형 금형 캐비티 내압 측정장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복합재료의 점도 측정)

  • Kim, Yong-Hyeon;Kim, Dong-Ha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
    • /
    • pp.877-887
    • /
    • 2015
  • We have proposed a new method for estimating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e.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device for measuring the injection mold cavity pressure. This makes it possible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viscosity in CAE D/B in real time by measuring the melt pressure in the mold, and comparing this with the simulated pressure from the CAE analysis.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is a PP(Polypropylene), PP/LGF30%(Polypropylene/long glass fiber 50% composite) and PA66/LGF50%(Polyamide 6,6/long glass fiber 50% composite). The viscosity data for PP and PP long fiber composite have already been built, but the one for PA66 long-fiber composite does not exist because it is a newly developed material. Thus we obtained the viscosity curve of PA66/LGF50% by this system. Then, the viscosity curves from conventional viscometer were also compared with the viscosity obtained by the our method. And, we proved the accuracy of the CAE data of PP. In case of PP/LGF50% which is highly viscous and complex material, we improved the existing CAE data.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ing data and the CA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