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 모형

Search Result 3,95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Using the Velocity Index Method (유속지수법을 이용한 자동유량측정)

  • Kim, Chi-Young;Kim, Won;Lee, Chan-Joo;Kim,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2-246
    • /
    • 2006
  •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유량측정 분야의 큰 변화의 방향은 자동화이다. 전자, 전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유량측정 분야에 적용하여 자동적으로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모든 유량자료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최근에 초음파 유량계와 더불어 자동 유량측정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법이 유속지수법(index velocity method)이다. 유속지수법의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수위 기록을 통하여 수위-면적 관계로부터 흐름 단면적을 구하고, 임의의 영역에서 측정된 유속이 단면 평균 유속으로 환산될 수 있다면, 흐름 단면적과 평균 유속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유속지수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전체 평균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유속지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유속지수법에 의한 연속 유량측정 목적으로 최근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ADVM은 수중에 초음파를 발사해서 산란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의 주파수 편이, 즉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ADVM을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시험하천에 설치하여, 유속지수법에 의한 유량측정기법을 적용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속지수법으로 측정된 유량을 괴산댐 방류량과 비교한 결과 평균 4.0%의 상대오차를 지니고 있어 비교적 정확한 연속 유량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속지수법을 하천 유량측정에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유량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연계모형의 한계로 인하여 두 모형의 통합모형이 필요하다. 즉, 강우 혹은 월류유량으로 발생한 지표유량 중 일부분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유입구 지점을 통과할 때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유입된 유량은 배수시스템 내의 흐름에 반영되도록 배수시스템과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표면과 배수시스템에 대한 수리학적 관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과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합하고, 두 모형간의 유량의 전송과정을 수리학적 관계를 고려한 dual-drainage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Model of Personal Information Competency in Information Environment (정보 환경하에서 개인정보역량 측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Chui-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4D no.1 s.111
    • /
    • pp.131-138
    • /
    • 2007
  • This study developed an efficient model for measuring personal information competency in an enterprise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is model includes four measurement domains, twelve factors and feasible measurement items. This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b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rough a pilot test with the application of SPSS software, and presented the concrete measurement items that tn efficiently gauge personal information competency.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the measurement of 264 workers in an enterprise in order to testify its practicability and utilization, and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presented. This model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information competency of human resources in industrial fields.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in the data from KYPS (청소년패널자료 분석에서의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활용한 잠재성장모형)

  • Lee, Hwa-Jung;Kang, Suk-B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6
    • /
    • pp.1409-1419
    • /
    • 2013
  • We analyzed the data from KYPS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which has been widely studied as an analysis method of longitudinal data. In this study, we applied repeated measures ANOVA to unconditional model in order for faster decision of the unconditional model of the latent growth model. Also, we compared the six-type models, the quadratic model and the model of which repeated measures ANOVA is applied.

Development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 and Index for Digital Libraries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과 지표 개발)

  • Hwang, Jae-Young;Lee, Eung-Bo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1 no.1
    • /
    • pp.121-14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ve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 and indicators which are able to measure objectively service quality of digital libraries in Korea.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 are used to investigate service quality dimensions. User perceived service quality performance was measured to validate DL-SQI model with three digital libraries. Finally DL-SQI(Digital Library-Service Quality Index) model was developed which is composed of four primary dimensions. The survey results reveal that reliability coefficient is 0.8 which means high reliability of survey and it suggests that DL-SQI model based on the above dimensions is prov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PDF

수익률의 측정간격과 베타계수

  • Kim, Dong-Ho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59-184
    • /
    • 1996
  • 재무모형의 검증과 포트폴리오의 성과측정 등에 이용할 목적으로 시장모형에 의한 베타계수를 추정할 때 대부분의 연구들은 측정간격을 달리한 수익률의 자료들 즉 일간, 주간 혹은 월간수익률의 자료들 중에서 임의적으로 하나를 선택하고 있다. 그런데 진정한 투자계획기간과 다른 기간간격에 대하여 계산된 수익률자료의 임의적 선택은 시장모형에 의한 베타계수의 추정치에는 물론 그러한 추정치를 이용한 재무모형의 검증 및 포트폴리오의 성과측정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몇몇 연구자들에 의하여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규모와 베타의 크기에 따라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대상으로 하여 수익률의 측정간격이 시장모형에 의한 베타계수의 추정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1984년 1월 4일부터 1995년 12월 27일까지의 기간(총거래일수 3515일)에 걸쳐 수익률의 측정간격을 달리하여 산출한 연속복리수익률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규모나 베타가 시장평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포트폴리오에 있어서는 수익률의 측정간격이 길어짐에 따라 추정되는 베타계수는 더욱 커지고, 반면에 규모나 베타가 시장평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포트폴리오에 있어서는 수익률의 측정간격이 길어짐에 따라 베타계수는 더욱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월간수익률과 같이 장기수익률의 자료를 이용할 경우에 시장모형에 의해 추정되는 베타계수는 규모가 작을수록 크게 나타나지만, 일간수익률과 같이 단기수익률의 자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규모가 작다(크다)고 해서 추정되는 베타계수가 반드시 크게(작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연구는 수익률의 측정간격을 달리함에 따라 추정되는 베타계수에 차이가 나타나는 주된 원인이 각 포트폴리오의 단위기간수익률에 있어서 시장지수의 단위기간수익률에 대한 시점간 교차상관의 상대적 강도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A Survey on Appraisal Methods of Maturity Level for Applying to Simulation-based Acquisition (SBA 성숙도 심사 방법론 개발을 위한 조사 연구)

  • Park, Jinsoo;Kim, Yun Bae;Jung, Chul Woo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9 no.3
    • /
    • pp.265-273
    • /
    • 2012
  • To improve M&S and SBA, it is important that their capability and maturity models should be developed. In general, capability and maturity models provide the standards for growth and improvement as well as the assessment on the organizational maturity level and the process capabilities, which are composed of a standard reference model and appraisal methods. In this paper, following introduction of a standard reference model for SBA in brief, we investigate some appraisal methods by survey and provide frameworks of appraisal method for SBA.

A Comparison of SERVPERF and KS-SQI for the On-line Education-website Service Quality Measurement (온라인 교육사이트의 서비스품질 측정을 위한 SERVPERF와 KS-SQI모형의 비교)

  • Shin, Mi-Hya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5
    • /
    • pp.253-263
    • /
    • 2011
  • In this study of the domestic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use the online education-website to measure the quality of service between SERVPERF model and the KS-SQI model fits which were analyzed further. Analysis using AMOS 7, SERVPERF for measuring quality of service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and tangibility, was a measurement model. KS-SQI for primary needs fulfillment, unexpected benefit were performance dimensions, reliability, individual empathy, positive assistance, accessibility and media tangibility, consist of process dimension was measured. In comparison of two models, the KS-SQI model on a path analysis showed better in terms of model fit indexes.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for Information Systems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 모형개발 및 측정)

  • Kim, Heesop;Park, Y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4 s.54
    • /
    • pp.153-171
    • /
    • 2004
  •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 (IS) effectiveness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efficacy of IS actions and IS invest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odel of the user satisfaction index for ISs and present the user satisfaction index which is measured by the proposed model. Based on the representative theories and models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IS, we propose a new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and verify the new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four basic dimensions :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systems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Also, users' royalty and complaint are adopted as the additional dimension in this model.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TFIND users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index. We, then, suggest some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better ITFIND which may useful when the system designers consider upgrading of the system in the future.

Expansion Function Point Model for Measurement of Size for Web-Page (웹 페이지 규모 측정을 위한 기능점수모형의 확장)

  • 박상훈;노재우;류성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59-261
    • /
    • 2003
  •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규모 측정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산정하거나 필요한 인력 투입. 기간의 산정 등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1990년대 후반 급격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기술과 웹 사이트가 등장하였다. 기존의 소프트웨어의 규모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LOC와 기능점수(Function Point)가 있다. 그러나 LOC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존적이므로 웹 페이지 규모를 측정하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웹 페이지 규모를 측정하기 위해 기능점수분석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웹 페이지를 기존의 기능점수모형과 확장된 기능점수모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 미비점을 보완한다. 또한 다양한 웹 페이지들의 규모를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 기능점수분석모형에 추가 조정 인자를 기술하고 확장된 기능점수모형을 제안한다.

  • PDF

Parameters Regionalization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Application of Ungauged Small Streams (미계측 소하천 적용을 위한 분포형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지역화)

  • Choi, Seung-Yong;Cheong, T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4-974
    • /
    • 2012
  • 하천의 유량 측정은 대부분 홍수 예보지역, 댐 상류지역, 대하천 및 유역 내 주요 지점을 위주로 수행되고 있다.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대해서 유출모의를 수행할 경우에는 과거의 측정 자료를 이용해서 모형의 검보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해당 지점에 대한 유출모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시유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소유역에서는 유량의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측정 자료가 없는 미계측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 및 모의결과의 검증은 사실상 불가능 하다. 분포형 수문모형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소유역 분할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유역내 임의의 여러 지점에 대한 유출을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포형 모형의 특징은 관측된 지점에 대해서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해서 이 지점의 유량 발생에 기여한 상류 미계측 지점의 유량을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의 임의 지점에 대해서 모형을 보정한 후 유출모의를 수행하고,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해서 상류의 소하천 지점에 대한 유량을 모의함으로써 매개변수의 지역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중소 하천의 소유역에 대한 유량 추정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모의 결과 산지유역 또는 소하천유역과 같은 미계측 유역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