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편차

Search Result 1,43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Distance Measurement Accuracy in Aerial and Satellite Image Photogrammetry (항공사진측량과 위성영상측량에서 거리측정 정확도 연구)

  • Kim, Hyung-Moo;Tcha, Dek-Kie;Nam, Guon-Mo;Yang, Chul-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10.04a
    • /
    • pp.253-255
    • /
    • 2010
  • Needs to study on distance measurement accuracy in aerial and satellite photogrammetry are rapidly increased. However, conventional studies show some confused definitions between measurement accuracy and measurement precision as well as standard deviation(STDEV) and root mean square error(RMSE or RMSD). So, Finite definitions of measurement accuracy and measurement precision as well as STDEV and RMSD are addressed in this paper. Experiment result show using correct definitions improve the distance measurement accuracy in aerial and satellite photogrammetry rapidly, but not the distance measurement accuracy in aerial and satellite photogrammetry.

  • PDF

Distance measurement using a radar sensor and standard deviation (레이더 센서와 표준편차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 Jung, Dong-Hun;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0-223
    • /
    • 2018
  • 스마트폰의 GPS 기능으로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GPS 기능은 위성에서 송신된 신호로 위도와 경도를 측정하여 위치를 계산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실외에 있을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실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상용화 되고 있는 UWB 레이더 센서는 실내외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객체 탐지 및 거리측정이 간단함과 동시에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UWB 레이더 센서와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거리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하고 있는 방법은 레이더 센서에서 나오는 raw data를 그래프화 하여 최대 탐지 거리가 몇 m 인지 파악하고, 파악된 최대 감지 거리를 일정 구간으로 나누어 구간별 거리를 측정한다. 그 후 표준편차 공식을 이용하여 객체의 유무를 판단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시하는 방법으로 최대 거리 9.7m에서 최대 오차 0.27m 이내로 측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Deviation Factor in a Reverberation Time to Measuring the Normalized Impact Sound Pressure Level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 측정시 잔향시간의 편차요인 분석)

  • 이주원;홍병국;이동훈;권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09-512
    • /
    • 2004
  •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 평가시 잔향시간은 흡음력 보정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그러나, 잔향시간의 측정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규준화 바닥충격음레벨이 5dB 이상씩 변동하는 경우가 생긴다. 잔향시간 측정 편차의 원인은 실의 형상에 따른 고유모드 분포로 설명할 수 있으며, 측정시 계측기에서의 원인, 특히 동특성에 따라 측정 편차가 심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잔향곡선은 직선적인 형태일 경우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나,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잔향곡선에 요철이 많이 생기므로 측정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잔향시간을 산출할 때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PDF

Brightness uniformity measurement analysis of the medical clinical monitoring (의료용 임상 모니터의 휘도 균일성 측정 방법 분석)

  • Kim, Seon-chil;Baek, Su-min;Lee, Jun-seok
    • Korean Journal of Digital Imaging in Medicine
    • /
    • v.17 no.1
    • /
    • pp.57-60
    • /
    • 2015
  • 병원에서 사용되는 임상용 모니터의 관리는 중요하다. 모니터의 기본적 관리는 휘도이며, 휘도에서도 균일도가 가장 먼저 관리되는 대상이다. 특히 LCD 모니터인 경우 균일도에 문제가 모니터의 교체주기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휘도에 대한 평가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AAPM TG18에 따라 TG18-UNL10, TG18-UNL80을 이용하여 휘도의 균일도를 조사하였다. 이 조사과정에서 측정값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준으로 나머지 값의 편차를 구하는 방법과 평균값을 이용하여 측정값의 편차를 구하는 방법 두 가지를 사용하였으며, 두 가지 방법의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휘도의 편차 변화량 즉, 균일도를 측정하였다. 휘도 균일도의 정량평가는 향후 모니터의 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써 측정기간 중 변화량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최대, 최소값의 편차나 평균값의 상대 편차값 모두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Reducing Computational Operations Using Difference Signal in Denoising of Image Signals by Soft-Threshold (Soft Threshold 기법에 의한 영상신호 잡음제거에서 차신호를 이용한 계산량 감소)

  • 우창용;박남천;주창복;권기룡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3.06a
    • /
    • pp.14-17
    • /
    • 2003
  •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잡음제거 방법 중 Visushrink 추정에 사용되는 경계값은 측정 데이터 수와 잡음편차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잡음편차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Donoho는 웨이블릿 변환 영역의 최고대역에서 잡음편차 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이 데이터 수에 반비례함을 이용하여 threshold 기법을 이용하여 잡음제거 시 계산량을 감소를 목적으로 차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데이터 수를 줄인 후 영상신호의 가우시안 잡음을 soft threshold 기법을 적용하고 이 기법의 실용성을 밝혔다.

  • PDF

Applicability of index method for stream suspended sediments estimation (하천 부유사량 산정을 위한 지표 부유사 측정법 적용성 검토)

  • Lee, Si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1-231
    • /
    • 2021
  • 하천 및 하천시설물 관리 등을 위해서는 유역에서 하천으로 유출되는 유사량 파악이 필요하다. 현재 유사량측정은 하천에서 여러 개(3~7개)의 측선에서 부유사채취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유사량을 산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유량측정 기법 중 최근 자동유량측정기술에 활용하는 지표유속법(index velocity method)을 부유사량 측정에 적용하고 검토하였다. 지표법(index method) 적용 방법은 여러 개의 측선에서 측정된 부유사농도와 평균농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평균농도와 가장 상관성이 높은 측선의 부유사농도를 지표 부유사농도로 설정하여 지표부유사 농도와 평균부유사농도와의 관계식을 개발하여 부유사량 산정에 활용하였다. 대상하천은 주천강에 위치한 영월군(주천교)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2020년 주요 홍수사상에서 27개의 부유사 측정성과를 확보하였다. 부유사 측정을 위하여 5개의 측선에서 부유사를 측정하였고, 부유사농도 규모는 2.20~373.20mg/ℓ이다. 평균부유사농도와 가장 상관성(상관계수 0.9988)이 높은 4번 측선의 부유사농도를 지표부유사농도로 설정하고 평균부유사농도와 지표부유사농도의 관계식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지표관계식의 결정계수(R2)는 0.9977로 매우 높게 산정되었으며, 실측 평균부유사농도와 계산 평균부유사농도의 편차율은 평균 26.71%(0.60~103.26%)로 분석되었다. 편차율은 상대적으로 부유사농도가 낮은 성과에서 높았으며, 부유사농도가 10mg/ℓ 이상에서는 편차율이 14.81%로 1/2 가까이 줄어들었다. 즉 유량이 적은 경우 흐름 및 부유사가 하천의 일부구간으로 불규칙하게 편중되거나 흐름 전체적으로 확산되지 않아 편차율이 높게 산정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홍수시 부유사농도의 지표법을 이용한 부유사량 산정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stance Measurement System using Radar Sensor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Jang, Si-woong;Jung, Dong-h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7
    • /
    • pp.1009-1014
    • /
    • 2018
  •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system that utilizes a radar sensor to measure distance between a sensor and objects. The sensor module creates raw data and uploads the data on the distance measuring system, which detects the presence of objects by using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filters. The experiment found that an algorithm using average filters measured people with error rates of up to 9.7 meters and a maximum error rate of 0.02 meters or less. While in an algorithm using standard deviations, it was found that an object is measured at an error rate of up to a maximum distance of 9.7 meters and a maximum error rate of 0.15 meters. Therefore, we have concluded that if a distance was measured by using a radar sensor, algorithms using average filters resulted in a higher accuracy than standard deviations filters.

Deviation of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Levels According to Measurement Positions (마이크로폰의 위치에 따른 중량 바닥충격음레벨의 편차)

  • Oh Yang-Ki;Joo Moon-Ki;Park Jong-Young;Kim Ha-Geun;Yang Kwan-Seop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2
    • /
    • pp.49-55
    • /
    • 2006
  • Measurement of impact sound insulation of floor, by current Korean Standard KS F 2810-2. is to be made with peak levels over 4 point in a receiving room. But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re is inconsistency in results at various receiving points in the receiving room. Such variations obviously have effects on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measured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even 10 dB deviations in 63Hz octave band frequency range and relatively less variations are occurred in other low frequency ranges. Such variations seems to be coming from modal overlaps of the receiving room. According to current rating method of floor impact sound. KS F 2863-2, that may affect on the single number latins scheme. From the result of tests in this study, there are 2dB to 6dB differences in the sin91e number with the combination of measurement points. This means that the reduction of measurement variations from the microphone positions is needed for a better credi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Study on the Integration of MMS and Airborn Survey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Precise Road Spatial Database (정밀도로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지상 MMS 측정자료와 항공측량자료의 결합방법 연구)

  • Hwang, Jin Sang;Kim, Jae Koo;Yun, Hong Sik;Jung, Woon 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2
    • /
    • pp.97-104
    • /
    • 2015
  • Due to the introduction of various IT devices, including the recently smartphones and the widespread use of the car navigation system to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space has been increased. Spatial information users have been requiring higher levels of quality. In this paper, we study how to build accurate three-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by integrating MMS(Moblie Mapping System) survey and airborne survey data. Thus, to analyze the tendency of deviation between the MMS survey and airborne survey data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region, the deviation tendency of the data, it was confirmed that was not consistent. Deviation correction model to select how to change the georeferencing information directly contained in the GPS/INS processing results for the determination, classifies the standard is a method for acquiring the correction reference point coordinates using the calibration model, and analyzed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the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oint obtained by airborne photograph of a project, using the method of correcting the MMS survey data. Not only clear the deviation existing between the MMS survey data,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deviation exists between the airborne survey data and MMS survey data was also almost erased.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oil Moisture (토양수분량 측정 현황 및 분석)

  • Lee, JungHoon;Jang, Eunse;Lee, YeonKil;Kim, SangHy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3-223
    • /
    • 2016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특히 국내 지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 사면에서 토양수분량 측정은 물순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장비를 이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2015년 3월부터 12월까지 측정을 수행하였다. 관측지점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감악산내 범륜사 주변 사면과, 충청북도 음성군의 청미천 유역내의 수레의산 산지 사면에서 수행하였다. 관측소에서 측정된 토양수분량 자료는 토양수분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수분량의 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를 수행하였다. 설마천유역의 설마천 관측소에서는 2015년 강수량이 적어 2014년의 토양수분량 평균값보다 낮게 측정되었다(평균 12.96%, 표준편차 2.2%). 청미천유역의 청미천 관측소에서도 설마천관측소와 마찬가지로 과거보다 적은 강수량이 발생하였지만, 설마천 관측소와는 다르게 안정적인 토양수분 평균값을 유지하는 것은 설마천 관측소 보다 토양층이 발달하고 토성의 점토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미천 관측소의 토양수분량은 평균 24.3%, 표준 편차 1.7%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