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정의 학습 요소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3초

모바일폰의 메인메뉴 네비게이션 방식이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n the usability for mobilephone main menu navigation)

  • 오영재;이현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27-332
    • /
    • 2007
  • 모바일폰의 컨버전스가 가속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습득해야 할 정보량이 증가하였고,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학습과 숙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게 되었다. 모바일폰의 주 사용자층인 20-40대 외에 10대와 50대 이상의 이동전화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여 실버폰과 키즈폰 시장이 형성될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제조사에서는 획일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만을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자 층의 요구와도 서로 맞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폰의 휴먼인터페이스 요소 중 메뉴요소에 해당하는 메인메뉴의 네비게이션 방식에 중점을 두어 각 사용자 유형별로 사용성을 측정하였다. 국내외 모바일폰 제조사에서 2006년 출시된 제품에서 메인메뉴 네비게이션 방식을 추출하여 8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플래시 기반의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사용성 측정에 이용하였다. 모바일 사용성 평가를 위한 요인을 중심으로 10대부터 60대 이상의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뮬레이터 사용을 관찰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폰 기종을 고려하여 설문지로 사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식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유형별로 사용성이 높은 인터페이스를 선별하고 사용자의 개성과 선호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UI 개발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조직학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혁신활동을 매개로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Management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on Activities)

  • 강희경;추교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237-256
    • /
    • 2018
  • 본 연구는 혁신활동의 선행변수로서의 조직학습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학습과 혁신활동,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지식을 획득하고 공유하는 활동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역량은 조직학습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조직학습이 혁신의 선행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학습이 제품 및 혁신활동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조직학습은 학자마다 다양한 정의와 구성요소를 제시하나 본 연구는 Levitt와 March(1988), Huber(1991)의 학습능력 구조 분석의 틀을 사용하여 지식의 획득과 정보분배, 정보해석과 조직기억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과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혁신은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으로 구분하였고 신제품 제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활동 등의 하위변수로 측정하였다. 경영성과는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로 측정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 및 붓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조직학습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위변수 중 학습활동의 초기단계인 지식획득과 정보분배가 제품혁신을 매개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신경망을 이용한 도로가 포함된 야외영상 인식 (Recognition of Outdoor Scenery Containing Roads using Neural Network)

  • 이효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2호
    • /
    • pp.132-140
    • /
    • 2001
  • 야외에서 인지되는 자연 경치는 다양한 개체, 빛의 산란, 또는 변화를 주는 많은 요소들 때문에 컴퓨터 영상처리에서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 인지 신경망을 이용하여 도로가 포함된 야외영상에 나타나는 개체들을 인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자연 영상을 영역화한 후, 각각의 영역들에 대하여 색상과 기하학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특성벡터를 추출하고 이를 신경망에 입력하여 각 영역을 구분하는 2단계의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먼저 야외 영상들을 개선된 영역 확장법과 병합과정에 의하여 개체별로 영역화하였다. 영역화된 연상은 자연 영상과 함께 영상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고, 이 자료들을 이용하여 각 영역의 특성벡터를 계산하였다. 이 특성 벡터를 구성된 신경망의 입력층에 전달하면, 각 영역은 27개의 개체 중의 하나로 출력층에서 인식된다. 제안된 방법은 학습에 사용된 데이타, 학스베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데이타, 그리고 모두 합하여 놓은 데이타의 세가지 데이타 군에서 무작위로 선별하여 인식률을 측정하였다. 학습된 데이타에서는 99.4%까지의 인식률을 보여주었고, 학습되지 않은 데이타에 대해서도 최고 89.1%까지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제안된 방법은 평균적으로 88.1%~97.9%의 인식률을 보여주어 자연 경치의 인식에 신뢰성이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기계학습을 활용한 음성인식 감정분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peech recognition emotion analysis program using machine learning)

  • 이상우;윤영재;이경희;조정원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1-73
    • /
    • 2018
  • 사람의 음성이 가진 고유한 특성을 이용하여 그 안에 담긴 감정을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이 가진 피치 값과, 속도의 변화와 같은 요소를 데이터화 하여 그 안에 담긴 감정을 기계학습을 통해 분류 및 예측하는 과정을 거친다. 감정 별 음성 데이터 분석을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며 선행 연구들보다 높은 정확도로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음성만으로 사람의 감정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소규모학습그룹의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위한 비정형데이터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unstructured data for customized education of learners in small learning groups)

  • 민연아;임동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89-95
    • /
    • 2020
  • 이러닝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자 맞춤형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습자 맞춤형 교육은 학습자 분석을 위한 대량의 데이터 및 학습 콘텐츠 등의 필수 구성요소가 필요하며 이러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간과 비용 측면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학습그룹에서의 효율적으로 학습자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도록, python 모듈들을 사용하여 비정형 학습자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제시된 학습알고리즘을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제시된 비정형 학습데이터분석을 통하여 학습관련 비정형 데이터를 정량화 하여 측정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학습자 맞춤교육 제공을 위한 키워드 분석 시 90% 이상 데이터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일반고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 김진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1-27
    • /
    • 2022
  • 본 연구목적은 일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그리고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세종 B고교 3학년의 219명이며,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과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에는 중간 이상의 상관관계를 있었다. 둘째로, 측정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도 양호했다. 자기주도 학습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 영향을 주고, 온라인 수업환경은 학습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은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교사의 훌륭한 수업환경의 조성이 이루어질 때 시너지 효과를 얻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대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 가정 및 학교요소를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분석할 것을 제안했다.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strument)

  • 강문봉;김정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9-537
    • /
    • 2014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수학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추출하고, 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수학 교수 효능기대, 수학 교수 결과기대,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념, 교사의 과거 수학학습 경험에 대한 신념,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기대라는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에 기반하여 30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I)를 개발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LIS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and Motivational Component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03-124
    • /
    • 2013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문제기반학습을 적용한 자기조절학습모형을 설계해 실행한 후 학습자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강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사전 사후 동일 검사지로 설문조사하여 살펴보았다.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각각 일반적 영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해당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세부하위요인들의 학습 전 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기반학습법은 학생들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는 후속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mage of Scientists and Perception on the Science-Related Career)

  • 송영욱;최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53-763
    • /
    • 2018
  •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과학자 이미지는 과학학습이나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과학자의 이미지는 주로 그리기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기 분석법은 그리는 것에 제한이 있어 주로 과학자의 외형적인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과학교사들이 갖고 있는 과학자의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학습이나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의미분석법을 통해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측정 도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중등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자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사범대학교에서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2, 3학년 남학생 79명, 여학생 55명 총 134명이다. 연구결과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는 '능력', '평가', '활동', '정서'의 4개 요소,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적용한 결과 과학자의 '평가', '능력', '활동' 요소에 대한 이미지는 높은 반면에 '정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해서는 '힘들다', '전문적이다', '똑똑해야한다', '복잡하다'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들은 '힘들고 어렵다'라고 인식하는 반면 여학생들은 '도전적이고 복잡하다'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과학자 이미지 측정도구 활용의 유용성 및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고등학생의 과학학습관 (High School Students' Views about Learning and Knowing of Science)

  • 박현주;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5
    • /
    • 2001
  • 이 연구는 개념생태 구성요소 중 학습자가 지닌 동기 심리적 관점의 측면에서 수행되었다. 즉 학습자가 학습동기와 관련하여 과학학습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가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과 분석 의 전과정 동안 삼각측정법을 사용하였다. 면담, 직접 및 간접 관찰, 문서를 통한 자료 수집을 하여 분석한 후, 사례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열정은 과학 학습에 대한 관점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점은 지식의 본성, 학습의 본성, 인식론적 확신 근거를 포함한 과학 및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에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과학학습관은 학습자들의 자아 효능과 과학학습 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