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능력평가

Search Result 1,06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 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

  • Yi, Chung-Hwi;Park, So-Yeon;Ko, Myung-Suk
    • Physical Therapy Korea
    • /
    • v.10 no.4
    • /
    • pp.17-22
    • /
    • 2003
  •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GMPM)는 뇌성마비 아동의 움직임을 질적인 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뇌성마비 아동 10명(평균 5.6세, 범위 4~8세)에게 GMPM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각 속성 항목별로 3명의 평가자간의 급간내 상관계수로 일치도를 보았다. 전반적으로 측정자간 신뢰도는 '불량~보통'범주에 속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충분한 교육을 받지 않고 평가하면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향후 임상에서 GMPM을 이용하여 평가할 때 측정자간 신뢰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Driving Simulation for the Analysis of Driver Information -Processing Characteristics (운전자 정보처리 특성 분석을 위한 운전 시뮬레이션)

  • 이재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41-250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운전자 행동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운전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 및 이러한 운전 수행 능력과 관련이 가장 깊은 것으로 기존의 연구들이 밝혀왔던 기본적인 지각적/인지적/운동적 수행 능력을 측정하여 운전자 수행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운전자의 운전 수행 및 운전과 관련된 기본적인 정신/운동 수행 능력은 정보 처리적 관점에서 측정되고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들이 보이는 기본적인 정보처리 능력의 패턴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운전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의 속도 유지와 차선 유지에 대한 측정치와 더불어 운전과 관련한 인간 수행 중에서 단순 반응 능력, 선택 반응 능력, 속도 추정 능력, 청각적 주의나 시각적 주의의 분산 능력 등이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운전 중에 실시간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운전자들의 실제 운전 수행 및 이와 관련된 정보 처리 활동에 대한 표준화된 준거를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A Development of Interoperability Capability Model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Component Based System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상호운용 능력 모델 개발)

  • 류동국;김기두;이상일;김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18-420
    • /
    • 2004
  • 정보화가 진전됨에 따라 많은 컴퓨터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들이 초기에는 독자적인 운영에 만족하였으나 시스템의 효율성이나 사용자의 요구로 인하여 시스템간의 정보교환에서 기능교환에 이르기까지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이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컴포넌트 기반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이 발전하면서 컴포넌트의 상호운용성과 재사용성을 이용한 시스템 개발이 시도되고 있고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 또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현재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 국방성에서 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측정 및 평가를 위하여 사용하는 LISI 모델을 확장하여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외 상호운용성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상호운용 능력 모텔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컴포넌트 상호운용 능력 모델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각 개발 단계에서 상호운용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상호운용 능력 모텔은 상호운용 성숙도 모델로 확장하여 기 개발된 시스템의 상호운용 성숙도 측정이나 향상에 사용할 수 있다.

  • PDF

Multi-stage Lear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Fuzzy Inference (퍼지 추론에 기반 한 다-단계 학습평가 시스템)

  • Kim, Jong-Uk;Son, Chang-Sik;Jeong, Go-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35-238
    • /
    • 2006
  • 기존의 학습평가 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 수행능력을 판정하기 위한 진단평가와 학습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형성평가를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학습 수행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처리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수행 능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를 통합평가할 수 있는 다-단계 학습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진단평가와 형성평가의 수준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습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평가단계에서 퍼지추론을 통해 획득한 비퍼지화된 실수 구간을 최종평가에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행능력과 능력 향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method for Measuring Second Language Ability based on linguistic cognitive experiments (언어 인지 실험을 통한 외국어 능력 측정 방법)

  • Yang, Yeong-Wook;Lee, Sae-Byeok;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62-363
    • /
    • 2012
  • 외국어 능력이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필수적인 요소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외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능력 시험이 아닌 언어심리학적 관점으로 외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외국어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외국어를 모국어를 바꾸는 언어인지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언어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Reading LDT, Listening LDT, Verbal Span, Yes-No task(Semantic), Same-Different task실험을 제안한다. 해당 과제들은 각각 피험자의 읽기, 듣기, 기억, 의미적 결정, 변환 능력을 측정하는 과제이다.

Investigation on the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Scales and Conceptions Related with Measuring Instruments and Units (초.중학생의 눈금 읽기 능력 및 측정 도구와 단위에 관련된 개념 조사)

  • Soh, Jong-Ah;Jong, Hee-Kyong;Jung, Y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0 no.1
    • /
    • pp.1-11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scales and students' conceptions of measuring instruments and units. Seventy two students with 5th grade, sixty nine students with 7th grade, and eighty students with 9th grade were participated. Performance tests and writte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their scale reading abilities, individual performance test was used. Every student should measure length of an envelope, temperature of water, volume of water, etc. And to find out students' conceptions related with measuring instruments and units, written questionnaires with pictures and photographs were used. Some of the students' abilities of reading scales were considerably poor. The results of a two-plate-balance and measuring-cylinder were worse than those of a ruler, a spring-balance, and a thermometer. Many of the students had misconceptions related with measuring instruments. Some of them did not know exactly the meaning of volume, or mass, or force. So they did not know what to measure with the measuring instruments. Also students were confused with several units of volume, force, weight and mass.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ung-Yeoun;Jeong, Dong-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4 s.58
    • /
    • pp.39-59
    • /
    • 2005
  •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their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make a evaluation model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onsists of six fields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Based on the result of statistic factor analysis, the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information literacy, evaluation factor, and evaluation procedure can be suggested based on the instruction guidance.

청각장애 아동의 청각통합 능력과 언어능력과의 상관관계 연구

  • 박상희;권영주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9-239
    • /
    • 2003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아동들이 실제적으로 소리를 듣는 능력과 말소리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언어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청각통합 능력은 청각장애 아동의 듣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도구이며, MCDI-K는 부모가 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 두 가지 모두 부모가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통합 능력, 언어이해능력, 언어표현능력이 연령과 교육받은 시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KSAT for Assessing Statistical Literacy b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SAT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 - 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Lee, Jeong-Moo;You, Jin Su;Lee, Jeong Ah;Lee, Kyeong-Hwa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6 no.3
    • /
    • pp.527-542
    • /
    • 2016
  •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statistical literacy is explicitly addressed as a goal and specific objectives are included. However, statistical literacy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studies on KSAT. This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on how to improve KSAT in a sense that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evaluated instead of testing typical facts or skills by comparing KSAT with SAT. We us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ategory of context of PISA framework (OECD, 2013) to administer the comparison of KSAT and SAT. Result shows that both KSAT and SAT use various context, but items in KSAT is limited in assessing critical understanding. We suggested several ways to develop context-based items for KSAT in which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assessed.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 Inquiry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 Song, Kyoung-Hye;Lee, Hang-Ro;Lim, Che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6
    • /
    • pp.1245-12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evaluating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The instrument is developed through R&D procedure, which includes two checks of science specialist and two field trials of the instrument. Evaluating items are content-free for each science inquiry skill. Each science inquiry element is based on SAPA and the 7th curriculum. This study has selected 10 science inquiry skills(observing, classifying, measuring, predicting, inferring, recognizing of a problem, controlling variables, interpreting data, drawing a conclusion, designing an experiment), formulated a clear definition of the elements of science inquiry skills, and established the objectives of evaluation. The content area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aterial and energy, life and environment, and the earth and circulation. Each category contains 10 items. So the instrument consists of 30 items.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objectivity of the scoring keys, and clarity of the items has been checked twice by specialists in scienc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wo field trials were performed to produce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discrimination index, and item difficulty index. The instrument has the content validity is 91.6%, reliability 0.79, objectivity 93.3%, discrimination index 0.30, and item difficulty index 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