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위오차

Search Result 33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ssessment of Positioning Accuracy based on Medium- and Long-range GPS L1 Relative Positioning using Regional Ionospheric Grid Model (중·장기선 GPS L1 상대측위에서 격자형 지역 전리층 모델 적용에 따른 측위 정확도 영향 평가)

  • Son, Eun-Seong;Won, Jihye;Park, Kwan-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5
    • /
    • pp.459-466
    • /
    • 2012
  • The ionospheric delay is the largest error source in GPS positioning after the SA effect has been turned off. The ionospheric error can be easily removed by using ionospheric-free combinations but it is only restricted for dual-frequency receiv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gional ionospheric grid model was developed for single-frequency receivers. The developed model was compared with GIM to validate its accuracy. As a result, it yielded RMSE of 3.8 TECU for 10 days. And L1 medium- and long-range relative position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positioning accuracy improvements. The positioning accuracy was improved by 46.7% compared with that without any correction of ionosphere and troposphere and was improved by 14.5% compared with that only tropospheric correction.

A Study on deviation reduction of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fingerprint method (Fingerprint 방법을 활용한 실내 위치 결정의 산포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 Kwon, Dae-Woo;Lee, Doo-Yong;Piao, Xue-Hua;Song, Young-Keun;Jang, Jung-Hwan;Zhang, Jing-Lun;L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11a
    • /
    • pp.331-33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서비스의 핵심기능을 담당하는 측위기술 중 주변의 다양한 잡음환경에서도 다른 측위기술에 비해 비교적 측위오차를 줄일 수 있는 Fingerprint 기법을 적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Fingerprint 기법을 활용함에 있어서 결정적 측위방법이 아닌 확률적 측위방법을 사용하였고,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된 확률적 측위방법에서 인접 RP(Reference Point)들과의 영향성까지 고려한 측위방법을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특징이다. 비주얼베이직 6.0으로 측위 프로그램을 구현하였고, 실내 외 연속측위의 선행연구로서 실내 측위 테스트를 통해 기존의 결정적 방법, 확률적 방법,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측위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테스트 결과, 결정적 측위 방법 및 기존의 확률적 측위방법과 비교하여 각각 평균 15%와 7% 측위 오차가 감소하였다.

  • PDF

Position Error Correction Algorithm for Improvement of Positioning Accuracy in BLE Beacon Systems (BLE 비콘 시스템에서 측위 정밀도 향상을 위한 위치 오차 보정 알고리즘)

  • Jung, Jun Hee;Hwang, Yu Min;Hong, Seung Gwan;Kim, Tae Woo;Kim, Jin Yo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1 no.4
    • /
    • pp.63-67
    • /
    • 2016
  • Recently, BLE beacons are widely used in indoor precision positioning systems because of their low battery consumption and low infrastructure cost. However, existing BLE beacon based indoor positioning algorithms are difficult to compensate for position errors due to the user's moving speed. Therefore, we proposed a position error correction algorithm that combines bounced cancellation and minimum distance maintenance algorithm with a positioning error correction method using direction vecto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uarantees superior positioning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indoor positioning algorithm and also improves the performance of position error compensation.

Positional Accuracy Analysis of Permanent GPS Sites Using Precise Point Positioning (정밀절대측위를 이용한 상시관측소 위치정확도 분석)

  • Kang, Joon-Mook;Lee, Yong-Wook;Kim, Min-Gyu;Park, Joon-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5
    • /
    • pp.529-536
    • /
    • 2008
  • Researches about 3-D Positioning system using GPS were carried out many-sided by national organs, laboratories, the worlds of science. And most of researches were development of relative positioning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s. Relative positioning has a merit, which can eliminate error in received signals. But its error increase due to distance of baseline. GPS absolute positioning is a method that decides the position independently by the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which are received by a receiver at a certain position. And it is necessary to correct various kinds of error(clock error, effect of ionosphere and troposphere, multi-path etc.). In this study, results of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used Bernese GPS software was compared with notified coordinates by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order to analyze the positional accuracy of permanent GPS si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esults of AUSPOS - Online GPS Processing Service for comparison with relative positioning.

Accuracy Analysis of Kinematic SBAS Surveying (SBAS 이동측위 정확도 분석)

  • Kim, Hye In;Son, Eun Seong;Lee, Ho Seok;Kim, Hyun Ho;Park, Kwan 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5
    • /
    • pp.493-504
    • /
    • 2008
  • Spac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which is one of the GPS augmentation systems, is a Wide-Area Differential GPS that provides differential GPS corrections and integrity data. In this study, we did performance analysis of kinematic SBAS surveying by conducting Real-Time Kinematic (RTK), DGPS, standalone, and SBAS surveys. Considering static survey results as truth, 2-D Root Mean Square (RMS) error and 3-D RMS error were computed to evaluate the positioning accuracy of each survey method. As a result, the 3-D positioning error of RTK was 13.1cm, DGPS 126.0cm, standalone (L1/L2) 135.7cm, standalone (C/A) 428.9cm, and SBAS 109.2c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oning accuracy of SBAS was comparable to that of DGPS.

A Study on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Accelerometer and Error Correction Method using QR code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실내 측위와 QR code를 이용한 오차 보정 방안 연구)

  • Kim, Hwan-Gi;Kim, Hwa-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50-51
    • /
    • 2011
  • 스마트 휴대 단말기의 보급으로 인해 다양한 휴대 단말용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대부분의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의 가장 큰 특징인 이동성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와 결합된 서비스이다. 따라서 정확도 높은 측위 기술은 휴대 단말용 서비스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실외에서는 GPS를 이용해 고정밀의 측위가 가능하지만 실내에서의 측위에는 GPS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또 다른 고정밀 측위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주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내 측위 기술은 주로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 기술로써 설치 장소 및 인프라 구축 비용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는 신호가 잡히지 않는 음영 지역 또한 존재하므로 정확한 실내 측위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휴대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 실내 측위를 하고 측위 오차를 QR코드를 이용해 보정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A Study on Error Reduction of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Fingerprint Method based on Triangulation (삼각측량법을 활용한 핑거프린트 방법의 측위 오차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 Jang, Cheong-Yun;Lee, Du-Yong;Jang, Jeong-Hwan;Jo, Yong-Cheol;L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175-180
    • /
    • 2012
  • 최근 GPS와 Wi-Fi가 내장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가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위치기반 서비스들의 오차 범위는 3~4m 내외로 크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더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기를 바라고 있다. 본 논문에서 위치기반 서비스의 핵심기능을 담당하는 측위기술 중 흔히 사용되고 있는 삼각측량법을 활용하여 핑거프린트 방법의 측위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Labview2010으로 구현하였고, 각각의 알고리즘을 모듈화하여 필터링 적용 전 후 및 개선효과를 비교하기 쉽도록 구성하였다. 실내 테스트는 인하대학교의 강의실에서 실시하였고 실외 테스트는 인하대학교 운동장에서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실내의 경우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기 전의 오차가 1.02미터에서 0.83미터로 감소하였고 실외에서는 0.74미터에서 0.54미터로 오차가 감소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moval Techniques for PRC Outlier & Noise to Improve NDGPS Accuracy (국토해양부 NDGPS 정확도 향상을 위한 의사거리 보정치의 이상점 및 노이즈 제거기법 개발)

  • Kim, Koon-Tack;Kim, Hye-In;Park, Kwan-D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2
    • /
    • pp.63-73
    • /
    • 2011
  • The Pseudorange Corrections (PRC), which are used in DGPS as calibration messages, can contain outliers, noise, and anomalies, and these abnormal events are unpredictable. When those irregular PRC are used, the positioning error gets high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ategy of detecting and correcting outliers, noise, and anomalies by modeling the changing pattern of PRC through polynomial curve fitting techniques. To validate our strategy, we compared positioning errors obtained without PRC calibation with those with PRC calibr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our algorithm performs very well; the horizontal RMS error was 3.84 m before the correction and 1.49 m after the correction.

Evaluation of the kinematic positioning accuracy of the navigation terminal with terrestrial DMB-based DGPS service (지상파 DMB 기반 DGPS 서비스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단말의 이동측위 정확도 평가)

  • Park, Hwang-Hun;Jo, Hak-Hyeon;Kim, Ji-Hye;Kim, Hy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48-350
    • /
    • 2012
  • 현재 국토해양부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지상파 DMB 기반 DGPS 실험방송의 정확도를 PC기반 수신 시스템과 내비게이션 단말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를 위한 지역은 인천 송도 신도시와 서울 반포지역으로, 두 지역에 측위 경로를 선정하여 이동측위를 실시하였으며 각각 GPS 단독측위와 DMB 기반 DGPS를 이용한 측위 결과를 비교하였다. 먼저 위치보정정보의 송수신을 위하여 개발된 PC 기반 수신 시스템을 이용한 정확도 평가 결과는 송도에서 GPS 단독측위의 경우 2.5m의 수평오차가 발생하였고, DMB 기반 DGPS는 1.5m의 수평오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반포지역에서는 GPS 단독에서 2.0m, DMB기반 DGPS에서는 0.8m 수평오차가 발생하였다. 앞서 PC 기반 수신 시스템을 통해 검증 된 알고리즘을 구현한 DMB 기반 DGPS 샘플 내비게이션 단말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정확도를 평가하였고 본 논문에서 그 결과를 소개한다.

  • PDF

A Study of Indoor Tracking Scheme using 802.11 WLAN (802.11 WLAN을 활용한 실내 측위기술에 관한 연구)

  • Cheol-Hee Lee;JooSeok 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316-1319
    • /
    • 2008
  • 측위 기술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측위 기술에 대한 정확도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해당 기술을 활용한 응용분야들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또 다른 새로운 분야로도 점점 더 확대될 예정이다. 실외 측위는 GPS,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널리 지원되고 있고 오차 범위도 많이 줄어들고 있지만 무선망을 통한 실내 측위에 대해서는 무선의 여러 가지 제한사항으로 인해 오차 범위가 실외 측위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802.11 WLAN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RSS-Map을 활용한 실내 측위 기술에 대해 제안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실내 측위 모델보다 정확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험평가를 통해 이동성을 가진 스테이션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