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방접근법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외상성 흉요추접합부 파열골절의 전측방경유법에 의한 신경감압 및 기구고정술 (Anterolateral Surgical Decompression and Instrumentation in Thoracolumbar Bursting Fracture)

  • 배장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234-242
    • /
    • 1996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외과에서 1994년 l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1년간 흉요추접합부 파열골절로 입원한 환자중 전측방경유법으로 10례를 수술로 치료경험 하였던 바, 척추골절이 척수원추 상부이면서 전방의 골편에 의해 척수신경이 압박되고 있는 불안정 파열골절시는 전방도달술에 의한 늑골 골융합 및 Kaneda기기내고정술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고, 척수 후주의 심한 손상이나 또는 3 column을 전체가 손상된 불안정 파열골절의 경우에는 후방접근법이나 후측방접근법으로 신경감압 및 내고정술 시행하는 것이 좋은 치료법이라 할 수 있겠다.

  • PDF

상악동 골 이식술을 동반하여 식립된 임플란트의 변연골변화와 생존률에 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nd change of peri-implant marginal bone around implants associated with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 유화숙;김선종;박은진;김명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0-246
    • /
    • 2009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측방접근법을 통해 상악동 골이식을 시행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을 때, 누적 생존률 및 성별, 연령별, 이식재, 자가골의 공여부, 술전 잔존골 양, 무치악 형태, 식립 시기, 임플란트 종류, 직경과 길이에 따른 임플란트의 생존률 및 변연골의 방사선학적 결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상악 구치에 측방접근법을 통해 상악동 골이식술 후 임플란트 보철치료를 시행한 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면 처리된 나사모양의 임플란트를 사용하였다. Osseotite(BIOMET 3i, Warsaw, USA), Neoplant(Neobiotec, Seoul, Korea), $Br\ddot{a}nemark$(Nobel Biocare, Goteberg, Sweden)과 SSII(Osstem, Busan, Korea)를 사용하였다.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 관찰 누적 생존률은 Kaplan-Meier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다른 요소에 따른 임플란트의 생존률의 유의성은 Chi-square test로 검정하였다. 결과: 상악동골 이식술이 시행된 모든 증례에서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골 양이 얻어졌으며 92%의 생존률을 보였다. 결론: 상악동 골이식술을 시행한 후 임플란트 보철 수복은 자가골 단독 사용시에 자가골과 골대체 물질이 혼합된 것보다 우수한 생존률을 보였다. 지연 식립하는 경우가 임플란트와 동시에 식립하는 경우보다 생존률이 높았다.

측방접근법을 이용한 피열연골내전술 (Arytenoid Adduction by Lateral Approach)

  • 이낙준;조정규;김한결;윤영선;손영익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0-95
    • /
    • 201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rytenoid adduction procedure is one of the main surgical options addressed for the correction of glottal incompetenc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Traditionally, a midline approach is used for identifying and suturing around the muscular process, which often needs over-traction of the thyroid cartilage and results in patient's discomfort as well as surgeon's distress.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dvantage of a modified procedure, lateral approach, in which the arytenoid cartilage is exposed through the space between strap muscles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Materials and Methods :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66 patients who received arytenoid adduction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the year 1997 and 2014. Operation time, types of anesthesia, voice outcomes and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midline (n=22) and the lateral (n=44) approach group. Results :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the lateral approach group ($125{\pm}24min$) than in the midline group ($144{\pm}24min$). Arytenoid adduction was proceeded under local anesthesia in 66% (n=29/44) and 14% (n=3/22) of patients with lateral and midline approach group, respectively. Voice outcomes and complication rates were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Injection laryngoplasty in conjunction with arytenoid adduction resulted in more favorable voice outcomes. Conclusion : A lateral approach for the arytenoid adduction procedure showed comparable voice outcomes and similar complication rates with those of a midline approach. However, lateral approach provided less discomfort to the patients and less distress to a surgeon, and therefore, shorter operation time was needed and local anesthesia could be more frequently applied for this modified procedure.

  • PDF

선천성 하대정맥 중단 환자의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 수술 치료 증례 (Dorsal Cavoatrial Bypass for Congenital Interruption of IVC)

  • 최주원;홍준화;손동섭;조대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25-528
    • /
    • 2010
  • 선천성 하대정맥의 중단은 간울혈과 간변성을 유발하며, 비장비대와 복수와 복통, 하지부종이 동반된다. 49세 여자환자가 자궁근종과 월경과다, 그리고 철결핍성빈혈로 본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 전 복부컴퓨터단층촬영검사 및 복부 및 흉부 대정맥조영술을 시행하여 하대정맥의 중단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우측 후측방 개흉술을 시행하여 흉강 내로 접근하였고, 횡격막을 절개하여 후복막 접근을 이용하여 하대정맥을 박리하여 16 mm PTFE graft를 이용하여 우회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graft의 꺾임 현상이 관찰되어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을 시행받았으며, 이후 환자는 특별한 문제 없이 회복되었다. 하대정맥의 선천성 중단이 관찰되는 환자에게서는 PTFE 인조혈관을 이용한 후방 대정맥-우심방 우회수술이 적절한 선택이며, 후측방 개흉술을 통한 복막뒤공간 접근법이 적절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골 흡수가 심한 상악 구치부에서 치조정 접근법을 이용하여 상악동 골이식술 동시 임플란트 식립 (Implant placement simultaneously sinus augmentation using crestal approach in severely atrophic maxill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 김현주;권은영;최점일;이주연;주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47-54
    • /
    • 2017
  • 상악 구치부는 치조제 골 흡수와 상악동 함기화로 인해 가용골의 양은 제한되고 골질도 좋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상악동저의 거상 후 가용골의 증대와 취약한 골에서 임플란트의 견고한 초기 고정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하게 위축된 치조제의 경우 임플란트의 적절한 초기 고정 획득을 위해 측방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골이식술이나 지연 임플란트 식립법이 추천되나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 잔존골 높이가 3 mm 이하인 상악 구치부 세 증례를 통해 수직 골 소실이 심한 상악 구치부에서 전통적인 개념과는 달리 최소침습적 수술법으로 치조정 접근을 통한 상악동 골이식과 동시에 임플란트 식립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충분한 길이의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함을 제안한다.

원발성 흉추종양에 대한 전 척추 일괄 절제술 시 흉강경을 이용한 척추 전방 박리술 -1예 보고- (Thoracoscopic Anterior Release of the Spine in Total en Bloc Spondylectomy for Primary Thoracic Spinal Tumor -A case report-)

  • 조덕곤;유기원;강용구;조규도;조민섭;왕영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80-84
    • /
    • 2006
  • 흉추에 발생하는 종양에 대한 수술 치료법은 동시에 전측방 및 후방 개흉 도달법을 통해 척추 수술을 실시하는 것이 기존에 권장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 개흉술에 따른 여러 가지 유병 요인으로 인해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 기법이 척추 수술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어 왔다. 저자들은 10번 흉추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에 대하여 양측 흉강 접근을 통해 흉강경 보조 하에 흉추의 전방을 박리하고, 후방 도달법을 통해 정형외과 의사에 의하여 전 척추 일괄 절제술 및 척추 재건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예를 보고한다. 이러한 흉강경을 이용한 척추 수술법은 개흉으로 유발되는 단점을 피하면서 흉추 전방 도달을 위한 개흉 수술을 대체하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측방접근법을 이용한 상악동거상술 후 임프란트 식립에 대한 후향적 평가 (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IMPLANT INSTALLATION WITH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BY LATERAL WINDOW TECHNIQUE)

  • 기세일;유민기;김영준;국민석;박홍주;;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457-464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implants which were installed with maxillary sinus elevation by using lateral window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the maxillary sinus elevation by lateral window technique to 87 patients who visited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anuary, 2007. When the residual bone height was from 3 mm to 7 mm, the sinus elevation and simultaneous implant installation was mostly performed. When the residual bone height was less than 3 mm, the sinus elevation was performed and the delayed implant installation was done after 5 or 6 months. No artificial membranes were used for coverage of the lateral bony window site and freeze dried fibrin sealant was applied to the grafted bon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8.5 months (ranged from 10 months to 48 months) Results: 1. Unilateral sinus elevations were performed in 51 patients and bilateral sinus elevations were performed in 36 patients. And the total number of sinus elevation procedure was 123 cases. 2. The sinus elevation and simultaneous implant installation was performed in 89 sinuses and 249 implants were installed. The sinus elevation and delayed implant installation was performed in 44 sinuses and 141 implants were installed. The total number of implants were 390 in 133 sinuses. The average healing period after sinus elevations was 6.1 months in delayed implant installation. 3. Only autogenous bone, autogenous bone mixing with allografts or autogenous bone mixing with xenografts were used as graft materials. 4. The average period from first surgery to second surgery was about 7.2 months. 5. Some patients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of sinus membrane, swelling, infection and exposure of cover screw. Two implants were removed in the infected sinus. 6.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with maxillary sinus elevation by lateral window technique was 99.5% and the success rate of implants was 95.1%.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mplants which were installed with maxillary sinus elevation by lateral window technique showed high survival and success rates.

현장계측에 의한 농업용저수지 제체의 안정관리기법 (Stability Evaluation Methods of Agricultural Reservoir by Field Monitoring)

  • 이달원;오범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64-174
    • /
    • 2003
  • 본 연구는 연약지반상에 축조되는 농업용 저수지의 합리적인 안정관리의 기준을 수립하기 위하여 현장계측결과를 기초로 시공중 또는 완공후에 측방유동 등으로 인하여 국부적인 전단파괴 가능성을 현장계측치로부터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계평형법에 의해 안전율을 비교하면 Spencer방법과 간이 Bishop방법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고, 간이 Janbu 방법은 약간 작게 나타났다. Spencer방법은 흙의 활동부분에 대해 힘과 모멘트 두 평형방정식을 만족시키는 해석방법이므로 저수지의 안정성을 해석하는데는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2. 수평변위는 물리적 성질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급증하였고, 성토의 안정관리는 각 토층의 경계부분에서 가장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나므로 분석시 가장 우선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3. 수평변위속도에 의한 안정성 평가방법은 파괴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는데 상당히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되고, 전단파괴 가능성이 높은 무처리 지반에서의 안전율의 기준은 처리지반보다도 신중하게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점증하중에 의한 시공중 안정성을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파괴기준선에 접근하여 위험가능성이 있는 부분도 있었으나 성토체는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어 안정관리상 파괴기준선으로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보다는 곡선의 기울기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 PDF

측방 접근법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Survival rate of implant placement in the maxilla treated with sinus elevation by the lateral approach : A retrospective study)

  • 이은선;안용범;이원진;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589-594
    • /
    • 2008
  • Purpose: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in patients with pneumatized maxillary sinuses is difficult to achieve due to the deficiency of available bone in the posterior maxilla after loss of teeth. Maxillary sinus elevation is a method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plant survival r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ant survival in patients with sinus elevation by the later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8 patients were consecutively treated with sinus elevation by the lateral approach between February 2003 & August 2006 at the dental hospita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 total of 113 implants were placed. The mean healing period was 7.1 months and implants were placed after a mean period of 5.6 months. The mean observation period was 21.8 months. Results: Out of the 113 implants placed, fifteen failed, resulting in a survival rate of 86.7%, 18 cases of sinus membrane perforation were observed out of 65 sinuses treated. 33 implants were placed in a perforated site and 10 failed, representing a 60.7% implant survival. 80 implants were placed in a nonperforated site and 5 failed, representing a 92.6% implant survival. Conclusions: Implant placement with sinus elevation is an acceptable treatment for short term results. Sinus membrane perforation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owever, may have an effect on implant failure.

전방 경추 미세 추간공 확대술 : 경추증에 대한 최소침습적 전측방 접근법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 A Minimally Invasive Anterolateral Approach for Spondylotic Lesions)

  • 박성진;하호균;정호;이상걸;박문선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87-94
    • /
    • 2000
  • Objective : Various surgical approaches have been implemented to fulfill the ideal goals of treatment for cervical spondylotic lesions. Conventional approaches are represented by anterior approach with or without fusion and posterior approach. The authors has applied newly developed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for these lesions on minimally invasive basis. Materials and Method : Twenty-one patients, with cervical HIVD, or stenosis, or both, underwent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between March, 1998 and April, 1999. Fifteen patients underwent unilateral decompression, and 6 bilateral decompression via unilateral foraminotomy. Operation of one level was performed in 16 patients, 2 levels in 4 patients, and 3 in 1 patient. The foraminotomy was accomplished by resecting the uncovertebral joint. Through this hole, compressed nerve root was decompressed by removing the spondylotic spur or disc fragment, and diagonal removing of posterior osteophyte from foraminotomy site to begining of contralateral nerve root made spinal cord decompression. Results : The outcome was excellent in 17 patients(81%) and good in 4 patients(19%) based on Odom's criteria. No complication was encounterd, and average post-operation hospital stay was 3.7 day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erior cervical microforaminotomy provide adequate neural decompression, minimum postoperative discomfort and fast recov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