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odified Teuscher Appliance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s of modified teuscher appliance in class II division 1 mallocclusion)

  • 안석준;김충배;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3-414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modified Teuscher Appliance(MTA)와 bionator를 이용하여 치료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전후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장치 사이의 치료효과에 대한 차이를 밝혀내어 성장하는 II급 1류 부정교합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얻는데 있다. MTA 및 bionator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혼합치열기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20명의 치료전과 치료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항목을 계측한 후, 두군 사이에 나타나는 치료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전후 항목의 차이를 구하였다. 이 항목들에 대해 t-te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군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난 선계측 항목으로 U1 to FH, U1 to PP, U6, to PP, U6 to FH, Ar-Pog, ramus height(S-Go), L1 to A-Pog, L1 to facial plane 등이 있었다(p<0.05). 2. 양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크게 나타난 각도계측 항목으로 SNB, SNA, FABA(FH to AB plane angle), APDI 등이 있었다(p<0.05). 3. 양군 사이에 성장양상을 나타내는 Facial height ratio, $Bj\ddot{o}rk$ sum, FMA, SN-MP angle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이 상의 결과를 통해 II급 1류 부정 교합을 치료하는데 있어 bionator는 주로 하악골과 하악치열에 상대적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나며, MTA는 상악골과 상악치열에 더 큰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두 장치가 각기 다른 치료기전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종류의 부정교합에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 PDF

측모두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청소년의 성장 단계별 상기도부의 계측 분석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in Skeletal Class II Young Adolescents : Cephalometric Study)

  • 천민경;양선미;김재환;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8-10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및 청소년의 성장단계별(성장급증기 이전, 성장급증기, 성장급증기 이후) 골격성 II급 1류 및 2류 환자의 비인후 및 구강인후 부위인 상기도부의 기도 폭경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골격성 I급 청소년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소아 및 청소년환자 159명(골격성 I급 70명, 골격성 II급 1류 51명, II급 2류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수완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성장단계별로 분류하였다(성장급증기 전, 성장급증기, 성장급증기 후). 상기도부의 해부학적 폭경을 측정하기 위해서 13개의 계측점, 5개의 계측각, 5개의 계측선, 3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인후 및 구강인후 부위의 전후방 폭경은 조사된 모든 그룹에서 성장과 함께 증가하였다. 부정교합에 따른 비인후 기도부위와 상부 구강인후 기도 부위 폭경의 통계적 차이를 밝히지는 못하였으나, 하부 구강인후 기도부의 전후방 폭경은 골격적 II급 부정교합군이 1급 부정교합군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

외과적 악교정술을 위한 두부방사선학 계측 기준치 (CEPHALOMETRIC NORMS FOR ORTHOGNATHIC SURGERY)

  • 성정옥;경희문;권오원;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9-185
    • /
    • 1989
  • 정상교합 및 안모가 단정한 성인(남자 60명, 여자 62명)을 대상으로 악교정수술을 위한 한국인 기준치를 얻고자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하여 계측 분석과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카 계측항목의 평균치,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골격계측 항목중 각도계측치에서는 FH-SN과 SN-MP가 여자에서 더 크며, 거리계측치에서는 전 항목에서 남자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계측 항목에서는 수직적 관계를 나타내는 항목에서만 남녀간에 유의한 차를(P<0.05) 보였는데 ADH, PDH, overbite에서는 여자가 더 크고 Incisor exposure에서는 여자가 더 크게 나타났다. 연조직계측 항목에서는 NLA를 제외한 전 항목 즉 FCA, UFH, ULL, LLL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하악이부와 두개안면골격의 상관성에 관한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MANDIBULAR SYMPHYSIS AND CRANIOFACIAL SKELETON)

  • 노상호;이기수;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9-127
    • /
    • 1997
  • 안모의 수직적 부조화에 부합되는 하악이부 형태에 관하여 보고되어 왔다. 이연구는 하악이부의 형태적 변이와 두개안면골격의 수직적 변이사이에 상관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성인 남녀 부정 교합자 212명의 측모두부 방사선사진에서 이부의 후경과 고경을 계측하고 이부비를 산출한 후, 이부비 평균 -1 표준편차에 포함되는 즉모군(low symphysis군)과 이부비 평균 +1 표준편차에 포함되는 측모군(high symphysis군)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하고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이부비가 크면 hyperdivergent face 이고, 이부비가 작으면 hypodivergent face 가 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이부비가 크면 하악각도 컷으며, 이들사이의 상관성은 높았다. 3. 이부비와 수직안면 고경사이에 중등도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특히 이부 후경과 전안면고경사이 및 이부 고경과 후 안면 고경사이에도 중등도의 상관성이 있었다. 4. 이부의 형태적 변이와 설골의 위치사이에는 상관성이 없었다.

  • PDF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가 하악골위치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positional changes by the stabilization splint in TMD patients)

  • 천훈;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91-507
    • /
    • 2000
  • 이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상의 하악골의 위치변화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측두하악장애증상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자 60명이며 남자 19명, 여자 41명으로 각각의 평균연령은 19.5세와 21.5세 이었다. 전체 대상자를 전, 후방적으로는 Angle 분류법에 따른 교합관계에 의하여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고, 수직적으로는 Jarabak의 후안면고경과 전안면고경의 비율에 따라서 clockwise, straight downward, counterclockwise의 3군으로 구분하여 부정교합군 별로 측정했으며 하악골의 위치변화를 중심교합시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 계측치들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시행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대상자 비교시 측두하악장애를 갖는 부정교합환자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이후 하악골은 후하방 회전을 나타내었고 overjet은 1.3mm의 증가, overbite은 1.9mm감소되어 수평변화보다 수직적인 변화의 양이 컸다. 2. 전후방 3군 분류시 하악골의 후하방 변위를 나타내는 항목의 유의성 있는 변화는 Class II군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3군중 후방변위량이 가장 컸다. 3.수직 3군 분류시 Clockwise와 counterclockwise군에서 하악골의 후하방 변위를 나타내는 항목의 유의성 있는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3군 모두에서 수직적인 변화량이 수평변화량 보다 컸다. 4. 중심교합위시의 부정교합 양태 및 골격유형, 그리고 중심교합위 계측치를 통하여 중심위 계측치를 설명할 수 있는 항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기존에 시행되어 오던 중심위 전환에 의한 방법이 아니고 측두하악장애를 갖는 부정교합자에서 교합안정 장치 를 장착하여 중심위를 획득한 상태에서 하악골의 위치 변화를 계측한 것으로 측두하악장애를 동반한 부정교합환자에서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 의존한 진단은 부정교합의 실체를 파악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통상적으로 이용되어 온 중심위 전환방법 역시 중심위 유도후 발생되는 수직적인 부조화의 양상을 나타낼 수 없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전, 후방적으로는 Class II 부정교합군, 수직적으로는 Clockwise군과 Counterclockwise군에서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한 중심위 회복시에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과 이에 동반된 구치부의 교합간섭으로 전후방 부조화뿐 아니라 수직적부조화를 더욱 심화시키므로 이에 대한 진단 및 치료시의 고려가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 PDF

치조성 양악 전돌 환자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치료 결과 예측의 정확성 (Comparison of computer-based treatment prediction with true results in bimaxillary protrusion cases)

  • 이리나;임용규;이동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5-163
    • /
    • 2002
  • 치조성 양악 전돌 증례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조직 측모의 치료 결과 예측의 객관적 정확성을 상, 하악 제 1소구치 발거를 통해 교정치료를 받은 21명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Quick\;Ceph\;Image\;Pro^{TM}\;&\;Quick Eeph\;2000^{TM}$ 을 이용하여 조사, 평가하였다. 치료 전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투사도에서 경조직 이동량을 계측하고 Quick Ceph system 상에서 경조직을 동일한 양 이동시켜 컴퓨터시뮬레이 션을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이후 프로그램을 통해 연조직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이 자료와 실제 치료 결과로 얻어진 연조직 계측 값을 측정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치료 결과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고 임상에의 적용시 고려할 사항을 알아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계측 항목의 수평 성분은 실제 치료 결과보다 작게, 수직 성분은 치료 결과보다 크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료시 의 후방 견인은 실제보다 확대되어 나타나는 경 향을 보였다. 상악에서는 항목간 예측 오차의 방향이 일정하여 예측치가 실제보다 더 후방 이동되어 나타났으나, 하악에서는 증례간 차이가 컸다 Upper Lip Length는 짧게, Upper Vermilion Length는 길게 예측하여 시뮬레이션시 상순이 말려 보이는(rolling)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순에서도 유사한 성향이 나타났으나 상순에 비해서 약하게 나타났다.

심미적 측모 판단에 미치는 성별과 문화의 영향력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determining esthetic facial profile)

  • 고수진;김현순;김영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1-309
    • /
    • 2001
  • 교정치료를 받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중요한 동기중의 하나가 미적 안모의 추구이기 때문에, 미적 안모를 평가하는 기준이 성별이나 환자가 속해있는 문화권에 따라서 달라진다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치료목표의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이나 문화가 매력적인 측모를 판단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4개의 평가 군으로 하여금 133명의 일반인 사진 중에서 좋은 측모를 가진 사람의 사진을 채점방식에 의해 선택하게 하였고, 좋은 측모 군을 평가하는 경향이나 평가점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4평가 군 사이에 좋은 측모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과 randomized block designed ANOVA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4개의 평가 군은 한국에 거주하는 10명의 20대 남자 군과 10명의 20대 여자 군,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남자 군, 그리고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여자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선택된 좋은 안모 군의 연조직 형태는 두부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사용하여 선계측, 각계측, 그리고 비율계측을 함으로써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심미적인 측모를 판별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적인 차이 여부를 통계적으로 입증한 결과,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이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통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2. 동일한 문화권에 살고있는 한국인에서, 성별의 차이는 심미적 측모의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다른 문화권에서 생활하는 같은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두 집단의 한국인간에 심미적 측모를 선택하는데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미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문화가 더 큰 변수임을 입증하고 있다. 4. 좋은 안모 군과 좋지 않은 안모 군에서의 연조직 분석에서 하안면부 수직 고경의 비율, 안면 돌출도 및 상하순의 전후방적 위치 관계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Ricketts 분석법에 의한 혼합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EPHALOMETRIC EVALUATION OF MIXED DENTITION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 이상민;정태련;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8-261
    • /
    • 1999
  • 부정교합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두개 및 안면부의 형태와 성장 양상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소아치과 영역에서 필요한 혼합치열기 아동에 대한 연구는 성인의 그것에 비하여 많지 않음에 저자는 혼합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학적 표준치를 얻고자 건치아동 선발대회의 후보중 보존적, 보철적, 교정적, 성형외과적 치료경험이 없고 연구모형 상에서 비교적 교합이 양호하며 안모 및 전신발육 상태가 정상으로 생각되는 아동 102명(남자 48명, 여자 54명)을 선정하여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한 후, Ricketts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두개저 길이, 후안면고경, 하악체의 길이를 나타내는 항목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나타내었고(p<0.05), Porion은 남자가 여자에 비해 후방위치하고 있었다(p<0.01). 2. 안면의 깊이를 통해서 본 Pogonion은 남자가 더 전방위치하고 있었고(p<0.05), 하악하연평면각은 남자에서보다 여자에서 유의하게 컸으며(p<0.01), FH 평면에 대해 남자의 상악중절치가 여자에 비해 유의하게 전방으로 경사져 있었다(p<0.05). 3.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는 항목은 전두개저 길이, 상악대구치의 위치(p<0.01), 하악골체의 길이(p<0.05)였다. 4. 상악골의 고경, 안면의 깊이, 하악하연평면각, 상악돌출도등에서도 연령에 따른 변화는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 PDF

하악전돌 환자에서 하악골 후퇴수술이 기도공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on the oropharyngeal airway space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김효영;최현규;김은경;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33-741
    • /
    • 1997
  •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골 후퇴수술로 골격적인 변화뿐 아니라 연조직에서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는데, 외부적으로 나타나는 안모 연조직의 심미적 변화와 더불어 구강내의 가동성 및 비가동성 연조직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북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수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하악골만 양측성 하악지시상골절단술로 후퇴시킨 환자 38명의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 약 1년후의 측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고 FH plane과 pterygoid vertical plane(PTV)을 reference plane으로 사용하여 연속된 측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중첩시켰다. 수술후 변화된 인두부 깊이와 혀, 연구개, 설골 등의 위치 변화를 위한 길이측정과 구인두부 기도공간 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각 경계선을 디지타이저(Kurta digitizer XGT, Kurta Co., USA)로 컴퓨터에 입력하고 AutoCAD 프로그램으로 계측하였다. 하악골 후퇴수술이 구인두부 기도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구강내 각 구조물들의 위치변화와 각 항목들의 상호관계성을 조사하였다. 1. 구인두부 기도공간은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골 후퇴수술후 감소되며 연속적으로 감소를 유지하고 있다(p<0.05). 2. Xi 점과 제2경추 수준에서 인두의 깊이는 수술전과 비교해 수술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감소된 채로 유지된다(p<0.05). 이 수준에서의 인두부 깊이 감소는 구인두부 기도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p<0.01). 3. 제3경추와 제4경추 수준의 인두부 깊이는 수술후와 연속되는 관찰기간에도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4. 설골은 수술후 하방으로 이동하였으나(p<0.05), 연속되는 관찰기간 동안 원래의 위치로 회귀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혀의 길이와 높이 그리고 후두개 기저의 위치는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6. 연구개는 수술후 후방으로 변위하며 혀의 후방변위로 연속적으로 후방위치된 채 남아 있다(p<0.05). 연구개의 변위는 구인두부 기도공간의 면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인두후벽과의 거리는 감소되었다(p<0.01). 7. 구인두 기도공간의 감소는 후두개첨 상방부에서 수술에 의한 혀의 후방변위에 기인하며 계속 감소가 유지되었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모 성장예측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craniofacial growth prediction method o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손우성;강은희;정미라;성지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39
    • /
    • 2003
  • 본 연구는 성장에 의한 변화를 예측하는 현재의 방법이 실제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해 보기 위해 초진 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성장 종료 후 악교정 수술을 받기 위해 재내원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25명(남자 13명,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초진시 채득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Ricketts의 성장예측법을 통해 성장 종료 후의 상태를 예측한 후, 악교정 수술을 위해 재내원 했을 때 채득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계측된 실제 성장량과 비교분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예측치와 관측치의 일치정도를 평가해본 결과 Porion Location, Ramus Position, Facial Depth, Facial Axis, Mandibular Plane angle, Maxillary Convexity에서의 예측치가 관측치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 항목에 대한 Ricketts 성장예측법의 예측치가 실제 성장량을 잘 설명해주지 못함이 관찰되었다. 2. 하악골체의 성장량은 정상 성 장량과 유사하였으나 Porion Location, Ramus Position이 정상적인 성장과정을 벗어나면서 하악골의 전방위치를 유도하였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는 성장의 양과 방향이 비정상적인 성장변화를 나타내어 정상 성장에서라면 변화를 보이지 않을 하악지의 전방 위치, 하악이부의 전상방 회전등이 일어나 하악 전돌의 경향이 악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