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두골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TMJ)

  • 손대은;옥승준;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227-239
    • /
    • 2007
  •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01명과 저작근장애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74명의 진료기록부를 통해 초진 시와 치료 종결 시의 증상, 시행된 치료방법, 치료기간, 치료횟수에 따른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초진 시 방사선 사진, 전산화 단층사진 및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 관절잡음의 치료 전후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관절염군은 보존적 치료에 의해서 치료 결과가 좋았으나, 치료 종결 시 근육장애군에 비해서 증상의 개선이 미흡하였다. 2. 골관절염군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경두개 촬영사진의 양성도는 60%정도였으나, 전산화 단층사진과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는 90%이상이었다. 3. 치료 종결 시의 골관절염군의 관절잡음은 초진 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골관절염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 교합안정장치로, 근육장애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으로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5. 골관절염군은 6개월에서 2년의, 근육장애군은 6개월 미만의 치료가 필요하였다. 6. 골관절염군은 10회 이상으로, 근육장애군은 10회 미만의 치료로도 예후가 좋았다.

증례보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측두하악관절의 이환 (Case Report : Temporomandibular Joint Involvement in Rheumatoid Arthritis)

  • 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31-236
    • /
    • 2006
  •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진행성 염증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관절활막이 침습되지만 점차 주위의 연골과 골이 침습되어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초래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목관절, 중수지관절과 근위지절간관절이 침범하기 쉽고 그 밖의 여러 관절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증례에서는 다른 관절에서 보다 측두하악관절에서 두드러지고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의과적 약물 치료와 더불어 16개월동안의 교합안정장치 및 물리 치료, 운동요법을 통한 치과적 처치와 측두하악관절의 경과를 보고한다. 치료중 급속한 관절의 파괴는 있었으나 더 이상의 교합변화는 없었고 하악운동과 통증은 상당히 개선되었다. 다른 관절에 비해 측두하악관절에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는 요인과 이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최초 증상으로 안구 돌출을 초래한 양측 안와-부비동 과립세포육종: 증례 보고 (Sino-orbital Granulocytic Sarcoma Causing Bilateral Proptosis As an Initial Manifestation of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A Case Report)

  • 김희선;제보경;이영흔;김백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4권1호
    • /
    • pp.74-77
    • /
    • 2010
  • 과립세포육종은 골수성 백혈병의 발현 형태의 하나로써, 과립세포들의 원시 전구체가 골수가 아닌 연조직에 침착하여 생긴 고형 종괴를 지칭한다. 저자들은 다른 전신 증상 없이 양쪽 안구의 돌출을 주소로 내원하여 광범위한 양쪽 안와-부비동 과립세포육종으로 진단된 22개월 남아의 CT 및 MR 소견을 보고한다. 종괴는 양측 안와 외하벽을 침범하여 양쪽 안구를 돌출시켰으며, 부비동, 상악골, 측두골, 광대뼈, 나비뼈, 벌집뼈, 입천장뼈를 포함한 거의 모든 머리뼈바닥의 골수에 침윤하고 주변에 연부 조직 종괴를 형성하였고, 해면정맥동의 아래 1/2을 침범하고 측두골 안쪽의 경질막이 비후된 소견을 동반하였다. 환아는 골수를 이용한 염색체 검사를 통해 8번과 21번 염색체의 상호전좌 t(8;21) (q22;q22)를 동반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었다.

턱관절장애환자의 일반단층촬영 판독에 대한 신뢰도 (The Reliability of the Conventional Tomographic Interpretation for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김성원;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3호
    • /
    • pp.291-300
    • /
    • 2001
  • 본 연구는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증상이 있는 악관절의 통상적인 방사선 단층촬영술에 대한 해석과 관절강 측정에 대한 조사자내, 조사자간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신뢰도 검사는 조사자들 간에 판독의 일관성이 있는지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반복 측정 시 판독의 정확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조사자내 상관계수는 과두 형태에 대해서는 각각 0.812와 0.619, 골변화 형태에 대해서는 모두1.00, 골변화에 대해서는 0.846과 0.991, 전방관절강에 대해서는 0.919와 0.966, 상방관절강에 대해서는 0.864와 0.955, 그리고 후방관절강에 대해서는 0.718과 0.672였다. 통상적인 방사선 단층촬영술이 신뢰도가 있음을 보여주는 이 연구의 결과로 보아, 측두하악 관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통상적인 방사선 단층촬영술은 높은 진단학적 정확성과 조사자간 일치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외상성 후두골과 측두골 골절에 대한 고찰 (Clinical Study of Patient with Traumatic Temporal and Occipital Bone Fracture)

  • 박민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533-1537
    • /
    • 2004
  • This study shows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affected a patient with headache, dizziness, dim eyes, facial palsy and hard-of-hearing caused by traumatic temporal and occipital bone fracture. Traumatic facial palsy mainly occures by temporal bone fracture. Facial palsy caused by traumatic temporal bone fracture corresponds to gu-an-wa-sha (口眼?斜)of oriental medicine. Functional disorder of an auditory organ corresponds to yi-rong(耳聾) and hyun-hoon(眩暈) of oriental medicine. In general, everyone consider surgical operation first of all, in the case of having traumatic facial nerve paralysis. But, this case shows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s(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have a good effect on a patient with traumatic temporal and occipital bone fracture.

두개저의 혈관확장형 골육종 1례 (A Case of Telangiectatic Osteosarcoma of the Skull Base)

  • 김용진;오훈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64-368
    • /
    • 1999
  • 저자들은 약 1개월 전부터 좌측 관골부와 촉두부에 통증을 호소하면서 좌측 안구돌출과 복사가 생긴 27세 남자 환자에서 좌측 측두골과 접형골을 침범하는 골육종을 발견하였다. 방사선 검사상 종괴는 좌측 접형골의 대익부에 비교적 경계가 잘 지워지는 $3.5{\times}3.5cm$ 크기의 분엽상으로 보였다. 주변의 골융해 소견이 있으며 종괴 내부에는 이질성으로 조영증강된 고형부가 보이는 동질성의 낭성이었으며 특히 고형부에는 내부 체액수위를 보였다. 조직학적으로 종괴는 주로 역핵성 방추형 세포와 낭성 구조를 보였다. 종양세포 사이사이에는 아주 가는 호산성의 종양유골이 관찰되었다. 본 증례는 혈관 확장형 골육종으로서 1998년 Whitehead 등(1998)이 보고한 이래로 두 번째 예로 여겨진다.

  • PDF

측두하악관절에서의 골관절염 유도 동물모델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n Animal Models for Osteoarthritis in Temporomandibular Joint)

  • 유선녕;이영철;박혜련;유미현;전혜미;김광연;김상헌;옥수민;고명연;안용우;안순철;정성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4호
    • /
    • pp.261-271
    • /
    • 2011
  • 측두하악관절에서 발생하는 골관절염은 저작시 통증, 개구제한, 관절잡음, 교합변화를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관여하는 주요한 질환이다. 골관절염의 진행과정과 그에 따른 제어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 골조직면에서의 조직변화, 활막액의 성분변화, 활막의 조직변화, 주변조직의 변화, 통증에 대한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동물모델이 주로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을 유도하여 하악관절표면에서 일어난 조직변화를 비교 관찰하였으며 각 동물모델의 연구 활용방안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측두하악관절의 관절강에 monosodium iodoacetate (MIA) 와 interleukin-$1{\alpha}$(IL-$1{\alpha}$)를 직접 주입하여 약물로 관절염을 유도하여 관절조직면을 관찰하였다. 또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의한 골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난소절제술로 인한 골다공증 유발모델에서의 하악관절을 관찰하였으며, 노화된 백서의 관절면을 확인함으로써 노화로 인한 골변화를 관찰하였다. Safranin-O 염색 법과 Masson's trichrome 염색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관절면에서 세포배열의 변화, 콜라겐의 변화, 골조직의 변화 및 파괴양상에 대하여 확인하였고 Safranin-O의 양성반응을 확인하여 proteoglycans (PGs)의 조직내 분포를 추적하였다.

성별과 폐경기 나이가 막성골의 두께와 밀도에 미치는 영향 : 측두골 비늘부위 전산화단층영상을 중심으로 (Effect of Sex and Menopausal Age on Thickness and Density of Membranous Bone : Focused on Computed Tomography in Squamous Portion of Temporal Bone)

  • 지명훈;성열훈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3호
    • /
    • pp.211-21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 and menopausal age on the thickness and density of squamous portion of the temporal bone as the membranous bone. Patients who visited a general hospital in Chungnam and had a computed tomography (CT) examination of the head.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20 subjects (30 men under 55 years old, 30 men over 56 years old, 30 women under 55 years old, and 30 women over 56 years old). Axial images of the squamous portion in the temporal bone were obtained from CT of the head. For this image, a slice sensitive profile (SSP) was acquired with an image analysis program and these were evaluated. The thickness was measured by using a digital ruler to measure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the SSP, and the density was measured in hounsfield unit (HU). These by gender were measured to be about 0.5 mm thinner in the temporal bone in men than in wome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density was measured to be about 200 HU higher in women than in men of i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it in women was thicker and had a lower density. The thickness of it in men and women over 56 years of age was 0.8 mm or more thicker in women and less than 400 HU in density. As a result, the women group over the age of 56 showed a distinct increase in thickness and decrease in density, different from other target group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a new bone density measurement site study.

청소년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임상적 연구 (Comparative Analysis : The Pattern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mong Adolescents)

  • 옥수민;김창용;정성희;안용우;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47-59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 청소년의 측두하악장애의 양태, 증상과 진단명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사를 시행하였다. 2000년과 2008년에 내원한 12-19세 청소년의 측두하악장애 분석검사를 조사하여 성별, 나이, 악관절환자를 위한 조사 설문지, 원인, 진단명, 장치치료여부, 치료종결시 Pain NAS 항목에 대한 자료를 정리, 분석하였다. 1. 2000년도에 비해 2008년도의 청소년 내원 환자수가 증가했다. 이 중 남자 청소년의 비중이 현저히 증가했다. 2. 2000년도에 비해 2008년도의 청소년이 개구제한보다는 소리를 주소로 내원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악습관 중 이갈이, 이악물기, 턱괴기, 수면의 질 저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골관절염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과운동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골관절염 환자에서2000년도에 비해 2008년도 10대 청소년의 남자비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턱괴기, 이갈이, 이악물기 악습관을 가진 환자 중 지난 10년간 공통적으로 골관절염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턱괴기, 이갈이, 이악물기가 골관절염 발병 증가와 유의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