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취업 프로그램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들의 그릿과 취업준비행동에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on College Student's Gri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송민선;정헌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89-96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그릿과 취업준비행동에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프로그램 후 경험, 변화와 취업지원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3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2022년 8월 29일부터 8주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후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를 시행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취업지원 프로그램 시행 후 취업준비행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현실적인 취업 준비와 방향성 설정에 도움이 되었으며,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확대운영과 맞춤형 취업지원이 필요하다.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Programs)

  • 남재우;최영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66-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취업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운영하는 17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기업연계, 상담, 자격증, 채용지원, 특강 등 6개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최근 취업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보통 이상의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원별로는 자격증, 취업지원, 해외, 특강, 상담, 기업연계 관련 프로그램의 순으로 유용성이 높게 집계되었다. 이중 기업연계, 특강, 상담 관련 프로그램은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전반적유용성을 높여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취업지원센터는 신규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기업연계, 특강, 상담 관련 프로그램을 우선 기획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Success Factor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 김준수;조우홍;장영은;변길희;최대훈;김미경;윤경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195-19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결정 요인 비교를 통해 대학의 취업 지원을 전략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 대졸자 취업경로이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특성, 학교특성, 진로선택 및 취업프로그램 참여, 취업 준비 활동 경험을 독립변수로 하고 취업 성공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취업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수도권 대졸자는 개인특성 중 연령, 부모자산, 어학연수 경험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대학특성은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교육대 대졸자 보다 취업성공 가능성이 높았다. 진로선택 및 취업프로그램 참여 중 직장체험, 면접·이력서 작성이 취업 성공(+)요인으로 직업심리검사는 취업 성공(-) 요인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 경험 중 SSAT 자격증, 공모전 수상, 대외활동, 이력서·면접훈련은 취업 성공(+) 요인으로 졸업 전 구직활동, NCS 준비, 외모관리는 취업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도권 대졸자는 개인특성 중 연령, 부모자산이 취업 성공(+)요인이었고,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교육대 대졸자 보다 취업성공 가능성이 높았다. 진로선택 및 취업프로그램 참여 중 직장체험, 면접·이력서 작성이 취업 성공(+)요인으로, 직업심리검사, 기업채용설명회는 취업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 경험 중 봉사활동, 공모전 수상, 대외활동, 모의면접은 취업 성공(+)요인이었고, 졸업 전 구직활동, 자격증, 외모관리는 취업 성공(-)요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4년제 대학의 비교과 활동 강화, 취업환경과 유사한 실무능력 배양 교육, 면접·이력서 작성 등 실제적 취업지도 프로그램 시행을 제시하였고, 봉사활동, 대외서포터즈, 공모전 등 취업처에 실무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실무활동 참여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PDF

4년제 대학생의 취업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mployment Goal Setting to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김윤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293-7299
    • /
    • 2015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 취업목표설정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어떠한 취업준비행동이 취업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중 '2011GOMS1'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취업목표를 설정한 경우가 취업목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보다 취업준비행동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행동으로는 경력개발프로그램 중 직장체험프로그램이 정(+)적인 영향을, 진로 및 취업교과목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번 연구를 통해 목표설정유무는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을 유발하지만 이것이 곧 목표달성을 가져 오는 것이 아니므로 대학생들이 합리적인 진로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 및 프로그램 운영과 함께 체계적인 취업교과목 운영, 직장체험의 기회 확대해야 할 것이다.

딥러닝을 활용한 취업준비생 데이터에 의한 취업 가능성 예측 (Prediction of Employability by Job Seeker Data Through Deep Learning)

  • 송민정;송원미;손주리;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9-1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취업준비생들의 데이터에 의하여 취업 가능 여부와 그에 따른 유용한 정보들을 얻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취업 가능성이 성공적으로 평가된다면 예비 사회인, 취업준비생, 대학생들이 미리 취업 준비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본인의 위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취업생 및 취업준비생 데이터를 포함하는 CSV파일을 생성하였고, 딥러닝을 활용하여 유용한 정보들을 추출해내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취업 가능성 예측 프로그램은 취업준비생들과 기업의 인사관리자들에게 커다란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이 프로그램은 기업 구성원들의 업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문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 최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56-2563
    • /
    • 2015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경험하는 취업준비활동의 취업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학생이 개인차원에서 준비하는 자격증, 직업훈련 등과 함께 대학 차원에서 운영하는 진로선택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의 전문대졸자 3,249명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특성에서는 졸업학점이 높을수록, 출신대학이 비수도권일수록 취업 확률이 더 높았다. 전공계열은 준거집단 대비 의약, 교육, 공학, 사회, 자연 계열 순으로 취업 확률이 높았다. 취업준비활동에서는 국가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면접기술 & 이력서작성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졸업 전 후 구직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직업훈련, 진로 취업관련 교과목, 직장체험 프로그램, 진로상담 프로그램, 취업캠프, 대학 재학 중 일자리 경험, 졸업 전 취업목표 유무 등은 취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mployment Capability Reinforcement Programs for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성열훈;김성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55-363
    • /
    • 2013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북 소재 1개 대학교의 보건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 및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아진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적응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높아져 향후 취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 적응을 높이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 마련을 위해 학과 특성에 맞는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reer Empowerment Program on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817-828
    • /
    • 2013
  • 본 연구는 취업캠프와 실무자 실전면접 활용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파악하고자 하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였다. 대상자는 간호과 3학년 졸업반 247명이었다. 연구결과로, 진로성숙도는 평균 2.59점에서 2.57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평균 3.44점에서 3.65점으로 증가하였으며(t=8.67, p<.001), 취업스트레스는 평균 2.94점에서 2.83점으로 감소하였다(t=-3.46, p<.001).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 전후에 따른 특성별에서, 진로성숙도는 취업률이 높아서 지원한 학생(F=3.15, p=.025), 현재 취업준비도가 높은 학생(F=2.69, p=.032)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현재 취업준비도가 높은 학생(F=1.22, p=.031)에서, 취업스트레스는 현재 취업준비도가 낮은 학생(F=2.52, p=.03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for Graduat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 이만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245-266
    • /
    • 2010
  • 지금까지 대졸자에 대한 연구는 대졸자의 취업, 임금 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가 취업을 하였다면 과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얻게 되었는지 아니면 현재 자신의 직무에는 만족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07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졸자의 직업가치관,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취업 시 직무만족과 일자리적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밖에 일자리적합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대졸자가 재학 시 갖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매우 중요하며 취업 시에 일자리적합이나 직무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가치관이 높은 사람은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고 취업 후 일자리 적합이나 직무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졸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당국과 고용센터 등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직업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도록 가치관교육을 강화하여야 하며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학생 취업 관리 프로그램 구현 (Implementation of Studen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 한효주;송욱;홍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7-989
    • /
    • 2015
  • 최근 청년실업으로 인해 각 대학들은 학교별 특성에 맞는 취업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순천향대 취업 담당자들은 취업프로그램을 진행하며 면담 및 학생정보를 수기로 작성 하고 있어 불편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RM 고객관리시스템을 응용하여 고객이 아닌 학생의 상담내역을 기반으로 취업의 방향과 전략을 세우는 학생 취업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Spring 프레임워크, MVC 패턴을 활용하여 역할의 분명한 분리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웹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