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업 여부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Variations by Employment Status (취업 여부에 따른 기혼 여성의 사회자본 특성)

  • Lee, Yoon-Joo;Chin, Mee-Ju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4 no.2
    • /
    • pp.91-111
    • /
    • 2011
  •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ocial capital in terms of their employment status. Factors related to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a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are 571 married women (284 employed and 287 unemployed) who have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ld. Their networks are revealed to show different composition and resourc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employment statu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accessing social capital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However, working women are capable of mobilizing more social capital for economic resources and child-care assistance than non-working women. The employment status is significant only in mobilizing social capital related to child-caring assistance.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ocial networks of married women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ources sought for. The choices of married women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aring are observed in the findings of the ability to mobilize social capital for child-care assistance. The importance of kin ties and various social services for building social capital are discussed.

The Effects of Parenting Beliefs and Supportive Interaction on Mothers' Parenting Stress of Young Children: Variations by Income Level and Employment Status (가구소득과 취업여부에 따른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지지적 상호작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Ok, Kyung Hee;Kim, Mee Ha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1
    • /
    • pp.461-48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supportive interaction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It also examined variations of the results by household income levels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70 mothers of children aged 23-31 months who were a part of the 2010 wave of the National Survey for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analyses revealed that parenting stress was affected by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supportive interaction. Mothers' supportive interaction has been shown significantly to predict parenting stress in all four groups of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liefs and reciprocal interaction vari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income and work statu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are important to examine collectively.

Analysis of employee's characteristic using data visualization (데이터 시각화를 이용한 취업자 특성분석)

  • Cho, Jang Si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4
    • /
    • pp.727-736
    • /
    • 2014
  • The fundamental concerns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the effects of some characteristics on the employment of new college graduated students in viewpoint of data visualization. We use individual and department characteristic data of K-university graduated students in 2010. We apply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decision tree analysis, association rule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ata visualiz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shows that GPA, department category, age and number of majors, recruiting time affect the employment rate. Second, higher GPA and natural category of department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Finally, low age, single major and early recruiting time also positiv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 Jang, Jae-Yun;Jang, 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5.12a
    • /
    • pp.91-113
    • /
    • 2005
  • 본 연구는 청년들의 취업 및 실업 경험이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난 이후에 지속적으로 미취업 상태로 남아있는 사람들의 정신건강의 문제 그리고 취업에 성공하는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 대학교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약 6개월 간격으로 2차 조사, 3차 및 4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시점에서 모두 응답자들의 취업여부와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였다. 4차 조사까지 모두 응답한 560명 중에서 2차, 3차, 및 4차 시점의 취업여부에 의해서 집단을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2차, 3차 및 4차 시점 순서대로, 모두 취업 상태인 집단('취업-취업-취업 집단'), 3차 시점에서 취업에 성공한 집단('미취업-취업-취업 집단'), 4차 집단에서 취업에 성공한 집단('미취업-미취업-취업집단') 그리고 모두 미취업 상태인 집단('미취업-미취업-미취업 집단'). 그 결과를 보면, 취업-취업-취업 집단의 경우에는 취업에 성공한 2차 시점에서 정신건강 수준이 상당히 좋아졌다가 3차 및 4차 시점에서 다시 본래 수준으로 돌아가는 경향을 보였다. 미취업-취업-취업 집단의 경우에는 취업에 성공한 3차 시점 이후로, 미취업-미취업-취업 집단의 경우에는 취업에 성공한 4차 시점에서 정신건강 수준이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속적으로 미취업 상태였던 집단에서는 3차 시점에서 정신건강 수준이 상당히 나빠졌다가 여전히 미취업 상태인 4차 시점에서 오히려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장래 연구의 과제가 논의되었다.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of luminescence efficiency in the hole carrier transport layer's thicknes. 나아갈 것이며, 아울러 향후에도 아직 미흡한 분야인 IT 아웃소싱에서 적정수준의 대가지급 방안 및 바람직한 Relationship 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서도 살펴 봄으로써 IT분야의 Outsourcing을 검토하거나, 추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개의 총 297개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과는 좌측공격 91.7%, 우측공격 100%, 중앙공격 87.5%, 코너킥 97.4%, 프리킥 75%로서 매우 양호한 인식율을 보였다. 사용경험정도가 가입직후 해지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준다. 또한 매체의 정보전달 풍부성 (media richness)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매점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한 소비자일수록 가입 직후뿐만 아니라 서비스사용 이후에도 낮은 해지성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전화 서비스에 적합한 고객지원 프로그램 설계와 마케팅 매체선정과 관련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국내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차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인 와이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 PDF

Infant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Family Environment Focused on Employment Status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가정환경 탐색 -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 Kim, Jin Ky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4
    • /
    • pp.63-79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mother's employment status on family environment and physic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the main concern of this which factors have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s of either employed or non-employed mother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n family environment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shows non-employed mother's parental stress is higher than employed mother's. Besides, non-employed mother's self-esteem is lower than employed mother's, and non-employed mother's depression is significantly high. Concerning fathers' factors, the level of conflict between husband and wife is higher among husbands when their wives are employed. In the light of childrens' factors, non-employed mothers consider that their children display more negative emotion and more picky. Children's development of employed mothers is included in normal development range more than that of non-employed mothers. Second, conflict between husbands and wives have an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regardless wife's employment status. Husbands' cooperation in child-rearing and marital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factor which influences on employe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s education level of wives.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nfancy home environment was compared focus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some factors which factors(variables) have impacts on marital satisfaction of infancy mothers were examined.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취학 전 아동, 어린이 및 청소년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수준 비교 - 2001 국민건강ㆍ영양조사 -

  • 김복희;이윤나;이행신;장영애;김초일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12-413
    • /
    • 2004
  • 사회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사회참여가 크게 증가되는 추세이다. 가정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식생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1 국민건강ㆍ영양조사-영양조사부문의 결과를 심층 분석하였다. 2001 국민건강ㆍ영양조사는 2001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전국 200개 지역에서 약 4,000가구, 1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업주부가정의 3,482명과 취업주부가정의 2,731명의 가족에 대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중략)

  • PDF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 Kwon, Me Ky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2
    • /
    • pp.19-4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mother's parenting stresses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625 employed and 1453 non employed mothers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in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fant mothers experienced the medium level of parenting stresses. They reported the high level stresses in the parenting costs, the selecting parenting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y in their child's emotional stability. 2) The non employed mothers perceived more difficulties in the parenting situations than the employed mothers. The employed mothers perceived their environment and their parenting itself in positive way. They were in the good psychological conditions, having a well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s. They also had more knowledge in the child rearing and social supports. 3) The mother's psychological factors showed the high explanation power on their parenting stresses. 4) The father's parenting assistant affecte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es only in the non employed mother.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Major Curriculum on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and Employment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care (대학생들의 전공 교육과정의 만족도가 자격증 취득 및 취업에 미치는 영향)

  • Seo, Hwa Jeong;Park, Ha Jeong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
    • v.22 no.1
    • /
    • pp.51-60
    • /
    • 2017
  • 목적: 보건의료 관리 분야의 진로는 급변하는 사회적 요구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수요자 측면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의료 계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보건의료 계열 학과 학생들의 취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 성남시 소재 보건의료 계열 학과 163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6일부터 5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거쳐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자격증 취득 계획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성별이 여학생이고 학년이 낮을수록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계획이 높았다.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학번)', '보건의료계열 분야로의 취업 여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계열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과정 만족도',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계획'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보건의료관련 학과 학생들의 동일계열 취업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고학력 중년 여성의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실태 비교

  • 최지현;정영진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3-1074
    • /
    • 2003
  • 본 연구는 고학력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 여부에 따른 영양섭취 상태의 차이를 분석하여 고학력 중년 여성의 영양 및 건강관리를 위한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은 유의추출 방법으로 전업 여성은 고학력자 비율이 높은 대전시의 일정 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으로 하였고, 취업여성은 여러 직업의 특성으로 인한 교란(confounding)을 줄이기 위하여 고학력 여성의 비율이 높은 기혼의 교사로 한정하였다. 연령에 의한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령대별로 동일 비율로 무작위 추출하여 전업여성 250명, 취업여성 236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조사 전일 하루동안의 식이 섭취 내용을 개별 면담으로 조사하였다. 1일 영양소 섭취 조사 결과 취업여성은 전업여성에 비해 인, 비타민 B$_1$, B$_2$를, 전업여성은 취업여성에 비해 지방 및 동물성 지방, 나트륨, 비타민 C, 엽산을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P/M/S비는 전업여성 1/1.19/1.05, 취업여성 l/l.05/0.87로 나타나 취업여성이 전업여성에 비해서, 그리고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기준(1/1/1)에 비해서 포화지방의 비가 낮았다. 또한 지방 에너지 구성비도 전업여성(24.38%)이 취업여성(23.29%)에 비해 높았고, 총 열량에 대한 동물성 지방의 섭취비율이 전업여성 12.44%, 취업여성 11.46%으로 나타나 전업여성이 취업여성에 비해 동물성 지방, 포화지방비, 지방에너지 구성비가 모두 높았다. 영양권장량에 대한 영양소 섭취 백분율에서 전업여성과 취업여성 모두 칼슘과 아연을 권장량에 비해 낮게 섭취하고 있었고, 질적 영양지수(INQ)도 두 군 모두에서 칼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의 영양밀도(Nutrient Density)가 취업주부에서 높았던 점 외에는 영양밀도와 영양소 적정섭취비(NAR) 모두에서 비타민 B$_1$, B$_2$가 전업여성에 비해 취업여성이, 비타민 C가 취업여성에 비해 전업여성이 더 높았다. 한편 두 군 모두 INQ가 가장 높은 영양소는 인이었고, INQ가 가장 낮은 영양소는 칼슘으로 나타났으며, INQ가 1 미만인 영양소는 칼슘과 함께 철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45세 이상 여성의 경우 관절염, 요통.좌골통, 디스크 등 근골격계질환 유병률이 남자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 결과에 비추어볼 때 이들 관련 영양소에 대한 섭취 방안 지도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고학력 중년 여성중 전업여성에 대해서는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 식품 섭취에 대한 적절한 영양교육과 식사관리 지도가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고학력 중년 여성은 취업 여부에 관계없이 칼슘과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 식사량을 증가시켜 주는 영양 지도 및 영양 보강 대책이 요구되며, 칼슘과 인의 적정섭취비가 되도록 인의 섭취를 낮추는 식생활 지도가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Job Status of the Disabled from the Functional Limitation Perspectives (기능제한(Functional Limitation) 관점에서 본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취업여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Kim, Jung-Woo;Kim, Bong-S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9 no.1
    • /
    • pp.223-249
    • /
    • 2007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if the standar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could be solely determined by medical standard for disability definement and to find out what alternatives are available to resolve practical problems for those who are not identified as the severely disabled by the disability definement but do experience severe handicaps at work.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 argued that the concept of 'functional limitation' would be a criteria, and thereby applied Modified Barthel Index to measure the degree of functional limitation. In view of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impairment, functional limitation, and job status based on 381 cerebral palsied, variables such as the type of cerebral palsy and the part of paralysis, have neither direct nor indirect influence to the job status; however, the pain and the mobility have indirect effects, and the ability of self-management has direct effect on the job statu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future research about disabilities needs to provide a serious thought on what it is to be defined as 'disabilities', as well as to focus on further research conceptualizing the degree of physical 'functional limi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