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Variations by Employment Status

취업 여부에 따른 기혼 여성의 사회자본 특성

  • 이윤주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1.04.26
  • Accepted : 2011.08.1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ocial capital in terms of their employment status. Factors related to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a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are 571 married women (284 employed and 287 unemployed) who have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ld. Their networks are revealed to show different composition and resourc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employment statu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accessing social capital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However, working women are capable of mobilizing more social capital for economic resources and child-care assistance than non-working women. The employment status is significant only in mobilizing social capital related to child-caring assistance.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ocial networks of married women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ources sought for. The choices of married women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aring are observed in the findings of the ability to mobilize social capital for child-care assistance. The importance of kin ties and various social services for building social capital a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자본 이론을 적용해서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기혼 여성의 사회자본을 알아보는 것이다. 만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 여성 284명, 비취업 여성 287명에게 수집한 자료로 이들의 사회자본 특성과 취업 여부에 따른 차이, 그리고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기혼 여성의 사회관계망은 취업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취업 여부에 따라서 이들이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경제적 지원과 돌봄 지원을 위해서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은 취업한 여성에게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 변수는 돌봄 지원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을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사회관계망 관련 변수들의 영향은 기혼 여성이 동원하고자 하는 사회자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취업과 자녀 양육에 대한 기혼 여성의 선택이 돌봄 지원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에 반영됨을 시사한다. 또한 기혼 여성의 친족 관계의 중요성과 사회자본을 형성하기 위한 지원방안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섭․강남준 (2000) 회귀분석: 기초와 응용 나남신서
  2. 김용학 (2004)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3. 낸 린(Nan Lin) (2004) "신뢰의 사회적 맥락" 이온죽 (편) 신뢰: 지구촌 시대의 사회적 자본 집문당, 23-63
  4. 박기남 (2002) "관리직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성별 직무 분리" 한국사회학 36(6): 109-135.
  5.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서문희․김은설․최진․안재진․최혜선․김유경․조애저 (2009) 2009년도 전국보육실태조사 - 가구조사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연구용역 보고서
  7. 서지원 (2006) "중고령기 건강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 대한가정학회지44(10): 133-144.
  8. 서지원 (2008) "중년기 경제적 복지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상대적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26(5): 315-332.
  9. 오선주 (1992) "사회계층별로 본 가족의 주요 사회망, 사회망과 가족의 참여 및 구직과 사회망" 대한가정학회지30(3): 177-191.
  10. 원효종 (1997) 도시 핵가족 주부의 사회관계망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1. 원효종․옥선화 (2002) "가족의 사회관계망 유형화 연구 -도시 핵가족 주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20(4): 149-164.
  12. 유석춘․장미혜․전상인․정병은․최우영․최종렬 (2008) 한국의 사회자본: 역사와 현실 백산출판사.
  13. 이성균 (2006) "한국 자영업자의 사회적 자본과 소득수준" 한국사회학 40(5): 178-206.
  14. 이은해 (1997)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자녀양육에 대한 난이도 지각과 아동 의 발달" 대한가정학회지35(3): 31-45.
  15. 이은해․이미리 (1996)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과 양육곤란도 지각과의 관계" 아동학회지17(2): 61-78.
  16. 이정규 (2004) "사회적 네트워크와 구직과정 및 성과" 한국노동연구원 (편) 제5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17. 이재열․남은영 (2008)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인맥의 특징과 중간집단 참여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2(7): 178-214.
  18. Bian, Y. (1997) "Bringing Strong Ties Back In: Indirect Ties, Network Bridges, and Job Searches in China"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2(3): 366-385. https://doi.org/10.2307/2657311
  19. Boisjoly, J., Duncan, G. J. and Hofferth, S. (1995) "Access to Social Capital" Journal of Family Issues 16(5): 609-631. https://doi.org/10.1177/019251395016005006
  20.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pp. 241-258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edited by J. G. Richardson New York: Greenwood Press.
  21. Bost, K. K., Cox, M. J., Burchinal, M. R. and Payne, C. (2002) "Structural and Supportive Changes in Couples' Family and Friendship Networks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2): 517-53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517.x
  22. Campbell, K. E. and Lee, B. A. (1991) "Name generators in surveys of personal networks" Social Networks 13(3): 203-221. https://doi.org/10.1016/0378-8733(91)90006-F
  23.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https://doi.org/10.1086/228943
  24. Foley, M. W. and Edwards, B. (1999) "Is It Time to Disinvest in Social Capital?" Journal of Public Policy 19(2): 141-173. https://doi.org/10.1017/S0143814X99000215
  25. Granovetter, M.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1360-1380. https://doi.org/10.1086/225469
  26. Granovetter, M.(1983)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ory 1: 201-233.
  27. Lai, G., Lin, N. and Leung, S.-Y. (1998) "Network resources, contact resources, and status attainment" Social Networks 20(2): 159-178. https://doi.org/10.1016/S0378-8733(97)00012-9
  28. Lee, R. P.L., Ruan, D. and Lai, G. (2005) "Social structure and support networks in Beijing and Hong Kong" Social Networks 27(3): 249-274. https://doi.org/10.1016/j.socnet.2005.04.001
  29. Levitt, M. J., Weber, R. A. and Clark, M. C. (1986) "Social Network Relationships as Sources of Maternal Support and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2(3): 310-316.
  30. Lin, 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Lin, N. and Dumin, M. (1986) "Access to occupational through social ties" Social Networks 8(4): 365-385. https://doi.org/10.1016/0378-8733(86)90003-1
  32. Lin, N. and Ensel, W. M. (1989) "Life Stress and Health: Stressors and Resourc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4(3): 382-399. https://doi.org/10.2307/2095612
  33. Lin, N. and Bian, Y. (1991) "Getting Ahead in Urban China"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3): 657-688. https://doi.org/10.1086/229816
  34. Marsden, P. (1987) "Core Discussion Networks of America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1): 122-131. https://doi.org/10.2307/2095397
  35. McPherson, J. M. and Smith-Lovin, L. (1982) "Women and Weak Ties: Differences by Sex in the Size of Voluntary Organiza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7(4): 883-904. https://doi.org/10.1086/227525
  36. Ryan, L., Sales, R., Tilki, M. and Siera, B. (2008)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The Experiences of Recent Polish Migrants in London" Sociology 42(4): 672-690.
  37. Salzinger, S. (1990) "Social Networks in Child Rearing and Child Development" Annals of the Network Academy of Science 602(1): 171-188. https://doi.org/10.1111/j.1749-6632.1990.tb22738.x
  38. Sprengers, M., Tazelaar, F. and Flap, H. D. (1988) "Social Resources, Situational Constraints, and Reemployment" Netherlands Journal of Sociology 24: 98-116.
  39. Stoloff, J. A., Glanville, J. L. and Bienenstock, E. J. (1999)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The role of social networks" Social Networks 21(1): 91-108. https://doi.org/10.1016/S0378-8733(99)00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