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업지원프로그램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a student's demands and employment policy of university (충북지역 대학의 취업정책과 대학생 수요의 상관성 분석)

  • Kim, Dong-Hwan;Oh,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12-715
    • /
    • 2011
  • 대학의 취업 정책은 졸업자의 취업지원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야 대학생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취업정책의 의도, 추진 성과, 준비성 등과 대학생이 인지하는 만족도, 효용성 등 부문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정책의 효과에도 문제가 있지만 정책 추진의 효율성도 떨어져 예산 낭비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학 취업 정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 정책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활용도,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대학 정책의 수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mployment Success Factor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Kyoung-Mi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95-19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결정 요인 비교를 통해 대학의 취업 지원을 전략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 대졸자 취업경로이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특성, 학교특성, 진로선택 및 취업프로그램 참여, 취업 준비 활동 경험을 독립변수로 하고 취업 성공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취업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수도권 대졸자는 개인특성 중 연령, 부모자산, 어학연수 경험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대학특성은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교육대 대졸자 보다 취업성공 가능성이 높았다. 진로선택 및 취업프로그램 참여 중 직장체험, 면접·이력서 작성이 취업 성공(+)요인으로 직업심리검사는 취업 성공(-) 요인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 경험 중 SSAT 자격증, 공모전 수상, 대외활동, 이력서·면접훈련은 취업 성공(+) 요인으로 졸업 전 구직활동, NCS 준비, 외모관리는 취업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도권 대졸자는 개인특성 중 연령, 부모자산이 취업 성공(+)요인이었고,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교육대 대졸자 보다 취업성공 가능성이 높았다. 진로선택 및 취업프로그램 참여 중 직장체험, 면접·이력서 작성이 취업 성공(+)요인으로, 직업심리검사, 기업채용설명회는 취업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 경험 중 봉사활동, 공모전 수상, 대외활동, 모의면접은 취업 성공(+)요인이었고, 졸업 전 구직활동, 자격증, 외모관리는 취업 성공(-)요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4년제 대학의 비교과 활동 강화, 취업환경과 유사한 실무능력 배양 교육, 면접·이력서 작성 등 실제적 취업지도 프로그램 시행을 제시하였고, 봉사활동, 대외서포터즈, 공모전 등 취업처에 실무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실무활동 참여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Negligence of Data Modeling Fundamentals at the University Job Information System (대학 취업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모델링 기본이론 경시에 관한 연구)

  • Rhee, Hae-Kyung;Kim, Hee-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8
    • /
    • pp.139-150
    • /
    • 2014
  • In this essay, we hoped to see how the operational university job database systems perform badly, since there are a lot of signs that they fall short of data design fundamentals. Fortunately, we are able to choose a university employment support database(UESD) application as a candidate for our study. We have taken UESD system as it is and we have developed an enhanced version of the UESD system, which strictly followed the basic fundamentals in data modeling and named it as NewUESD system. Then, we have conducted a comparison to see how much UESD system is deviated from the standard balancedness found in NewUESD.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obesity, we computed how much UESD contains unnecessary data. The NewUESD contained no unnecessary data at all, which implies that it has only data that is necessary to form a data model. But the data obesity of UESD system is found to be more than 50%. Therefore, it is significantly higher, 37% higher in this case, than the obesity judged to be normal, which is 19% in NewUESD system.

실업자를 위한 정보통신 전문교육 지원

  • Ha, Tae-Uk
    • 정보화사회
    • /
    • s.130
    • /
    • pp.28-30
    • /
    • 1999
  • 정보통신 전문교육은 산업현장의 인력수요, 취업전망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교육 후 취업에 유리한 정보통신분야교육을 실시하되, 미취업자가 희망하는 교육기관 및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도록 역량있는 다수 교육기관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지정하여 제공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Employment Mindset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of IT Major Students (IT 전공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취업 마인드 분석)

  • You Jung Ahn;Kyong Ah Kim;Ji Sim Kim;Suk Oh;Myung Soo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419-421
    • /
    • 2023
  • 팬데믹 이후 많은 업무가 원격으로 전환되었고 4차 산업의 대두로 그 근간이 되는 IT분야의 인력 수요가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IT분야 취업에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그러나 질 높은 취업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취업 지원 체계를 통해 역량을 갖추어 남다른 취업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에 체계적인 취업 지원 체계를 갖추기 위한 목적으로, 우선 학생들이 현재 처한 상황과 그에 따른 니즈를 파악해보고자 취업에 대한 학생들의 마인드를 파악할 수 있는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분석해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IT 전공 학생들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대학에 마련하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Job-seeking Support for Military spouses (군인가족(배우자) 취업 지원)

  • Nam, Eung Woo;Lee, Youn 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9
    • /
    • pp.9-20
    • /
    • 2014
  • As studies on welfare systems for military families were only focused and limited on improvements of welfare facilities and military apartments, or psycho-therapies for families living apart, the supporting policies and efforts on creating jobs for military families(spouses) were insufficient till now. The best welfare for military spouses is the active well-being through the provi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rather than providing certain rewards. Especially, South Korea should boost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ncreasing the engagement rat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To expand these kinds of employment chances, actual plans to overcome the factors that restrict job opportunities for the families living apart, moving frequently, or living in rural areas should be urged.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 change of recognition toward military welfare service, enactment of applying discharged soldier's expanded employment programs for military spouses, cooperation with municipal governments and relevant institutions for creating jobs, and provision of promising job openings in association with a military reform. To achieve these,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agencies, municipal governments, and military units are being emphasized.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전문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 Choe, Sun-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4
    • /
    • pp.2556-2563
    • /
    • 2015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mployment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especially focused on analyzing employment effects of college employment-related activities such as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support program, along with individual preparation activities such as qualification, vocational training, etc. It perform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2011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of 3,249 college graduates. The results showed that In college characteristics, the higher grade point average was and the more college was located in non-metropolitan area, the higher employment probability was. In the case of major field, Medicine, Education, Engineering,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in highest first order had employment probability higher than the reference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qualification, interview skill & resume description skill program participation, and job search experience before and after graduation among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had an effect on employment. The rest, that is, vocational training, career employment curriculum, work experience program, career counseling program, employment camp, in-school job experience, employment goal status before graduation did not have an direct effect on employment.

A Study on Computer Programming Learning Support Programs Effective for SW Developers' Employment (SW 개발자 취업에 효율적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You Jung Ahn;Kyong Ah Kim;Ji Sim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47-648
    • /
    • 2023
  • 최근 SW 개발 분야로의 인력 수요가 늘어나면서 SW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한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취업률은 대학의 중요한 평가 지표이므로 취업률을 높일 수 있는 SW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에 대학들의 관심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SW개발 직무에 종사하고 있는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자신들의 개발 역량 향상에 효과적이었던 프로그램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보았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학들이 향후 취업 역량을 갖춘 SW개발자 양성 체계를 갖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the Employment Support Field by the Government Specialization Project (정부 특성화 사업에 따른 취업지원분야 사업성과 분석)

  • Kim, Hak Yo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7 no.2
    • /
    • pp.29-3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of employment support by the government support specialization projec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comparison of 5 - year employment support field and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program until 2014-2018.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mployment rate of the university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Especially, the employment rate of the specialization department has been higher than the employment rate of the non - specialization depart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mployment capacity strengthening index and the learning capacity strengthening index, it showed a steady increase in each year and contributed to the cultivation of customized talents required by the local society and the national industr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are business us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business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consumers was realized. Fourth,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business and the reflux have made the infrastructure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ject more advanced and the system of supporting employment of the university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employment support project according to the specialization program showed excellent results and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ses results when establishing related business pla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