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약집단

Search Result 20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mpact of Area 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Seoul (지역특성이 취약집단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Youn-Hee;Cho, Young-T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1 no.1
    • /
    • pp.1-26
    • /
    • 2008
  •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area leve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health,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vulnerable populations in Seoul. We consider adult individuals whose family income is under 1.5 million won, who are aged 65 and over, or who have neither spouse nor job but aged 40 and over as vulnerable populations. Using the 2005 Seoul Citizens' Health Interview Survey, we conducted multilevel analyses to simultaneously investigate the effect of area and individual level characteristics on health. Between-area variance of self-rated health status was greater for the elderly population than for all populations. Area material deprivation index and happiness index were associated with the self-rated health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populations. Vulnerable populations showed greater between-area variances in emotional health than the same for all populations. Area happiness index, material deprivation index,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below poverty line and street saf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motional health. The effect of area characteristics were particularly salient for the emotional health of elderly population and its between area variance was also notable.

Factors Influencing Leisur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Economic Burden and Health Problems: Focusing on Leisure Activities (경제적 부담과 건강 문제를 겪는 노인들의 여가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 Hong, Seokho
    • 한국노년학
    • /
    • v.40 no.1
    • /
    • pp.197-216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leisure activities and policy-level support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among the elderly by examining constraint factor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the elderly. Data of 3887 elderly with the age of 65 and above with economic burden and health problems from the 6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Hierarchical linear models were tested by entering factors stepswise; demographic factors(age, gender, marriage status, single household, region, living expenses, health status) in the first step, leisure factors(leisure time, leisure motivation) in the second step, and lastly leisure activity factors(desired leisure activities, undesired leisure activities) in the third ste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jor factors that constrict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ere financial burden and health problem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financial constraint, health constraint, and financial and health constraint) groups. Financial constraint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but leisure time was the shortest. The major reason to do leisure activities of the financial constraint group was to keep relationships with families and friends. In terms of desired leisure activities, health constraint group wanted resting, financial constraint group wanted hobbies and entertainment, and the financial-and-health constraint group wanted social activities. Third, financial constraint group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to take care of pets or gardens; however, they showed low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to domestic trips for desired leisure activities. In case of health constraint group, they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ther or not they wanted resting like watching TV or listening to the radio. And, the showed high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social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religion or social gathering organizations. For the financial-and-health constraint group, whereas they showed low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walking around or watching TV, and domestic trips for desired leisure activities, they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entertainment doing the game of go, or chess, and hobbies like hiking and social activities. Practice and policy level suggestions to offer leisure activiti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were made based on the study results.

Mental Health Literacy and Vulnerable Group Analysis of Korea (한국인의 정신건강이해력 평가와 취약집단분석)

  • Seo, Mikyoung;Rhee, Minkyu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5 no.2
    • /
    • pp.313-334
    • /
    • 2013
  • A study aims to assess Korean mental health literac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ulnerable population. This study presented typical vignettes of schizophrenia, depression and alcoholism to 1,197 adults randomly. All respondents were asked for recognition of mental illness, beliefs about causes, professional help and self-help, stigma for receiving psychiatric treatment for the person describ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mental health problem in a vignette was very poor and that personal causes were seen by public as more important than environmental and bio-genetic causes. When the public were asked about various professional therapies and self-help activities, psychotherapy was favored while other professional help were considered to be less helpful than self-help activities. Among professionals, psychiatrist were viewed as most helpful. We used cluster analysis to compare high mental health literacy group with low mental health literacy group(vulnerable population). Vulnerable population were found to be more aged and to live in county area. We proposed government initiated program for enhancing public mental health literacy.

  • PDF

Probability Theory-based Flood Vulnerabil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 농업용 저수지의 확률론 기반 홍수 취약성 산정)

  • Park, Jihoon;Kang, Moon Seong;Song, Jung-Hu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6-34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의 동시다발적인 발현은 농촌 지역의 홍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의 기후시스템은 과거의 강우빈도를 기준으로 산정한 설계기준을 벗어나는 강우 사상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므로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보다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확률론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는 데 있다. 먼저 홍수 취약성 해석에 필요한 과거와 미래 수문 자료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통해 해석에 적합한 자료로 구축하였다.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유입 설계홍수량에 대해 부트스트랩 (bootstrap) 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재추출하였다. 부트스트 랩은 표본집단의 확률분포에 대해 가정을 하지 않고 표본집단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통계적 추론을 할 수 있는 비모수적인 리샘플링 기법이다. 부트스트랩 추론은 표본집단의 추정치, 편의, 표준오차를 산정하고 신뢰구간을 추정한다. 부트스트랩 추론을 통해 산정하는 신뢰수준을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변수에 내재하는 불확실성을 부트스트랩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확률적인 값을 가지는 홍수 취약성으로 산정하여 제시할 수 있다.

  • PDF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매체를 활용한 사회성집단프로그램이 사회성, 정서적안녕감,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Choe, Eun-Jeong;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09-115
    • /
    • 2021
  • 아동은 자아성장의 결정적인 시기로 기초적인 인지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을 함께 습득하게 된다. 아동은 전반적인 삶의 과정에서 공동체의 규칙과 가치를 내면화 시키고 사회적 관계의 일원으로서 기초적 토대를 만들어 가는 시기이다. 저소득 취약계층인 지역아동센터 아동은 균형 있게 성장발달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과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가족의 해체 또는 기능 상실로 도움이 필요한 아동 및 저소득가정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적 행복과 안전에 대해 취약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대인관계와 사회성 발달과업이 중요한 지역아동센터 아동에게 다양한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회성집단프로그램이 사회성, 정서적안녕감,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경기도 00시 소재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초등학교 3,4,5 학년을 선정 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하고 참가신청서를 받아서 실시하였다. 연구표본 집단구성은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집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자유로움과 안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활동을 적극적으로 격려하며 주2회, 6주간, 12회기, 회기당 60분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Problems and Technological Solutions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Disasters (재난 약자의 재난 경보 취약성과 기술적 해결 방안)

  • Byun, Yoon-Kwan;Lee, Hyun-Ji;Choi, Seong-Jong;Cho, Yong-Seong;Bae, By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148-150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현 재난 경보에서 재난 약자가 가질 수 있는 취약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해당 취약성에 대한 해결 방안과 해결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요구사항도 함께 알아보았다. 재난 약자는 경보 수신 공백, 맞춤형 서비스 부족, 단독 대응 불가 등과 같은 공통적 재난 경보 취약성과 함께 어린이, 노인, 외국인, 장애인 집단 별로 차별적 취약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이동통신 수신 모듈과 ATSC 3.0 수신 모듈 모두 탑재, ATSC 3.0 방송망을 통해 재난 약자 유형에 맞춘 복수의 메시지 전송, 단말기의 수신자 프로파일 설정에 의한 메시지 표출, 기존의 AEAT 개선 등이 공통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어린이, 노인, 외국인, 장애인 집단 별로 차별적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차별적 기술도 필요하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Examining cognitive vulnerability model and the scar model (한국 성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인지취약모델과 상처모델 검증을 중심으로)

  • Kim, Hyem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5 no.2
    • /
    • pp.233-261
    • /
    • 2014
  • There are two competing models expla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y are cognitive vulnerability model and the scar model. Cognitive vulnerability model explains that low self-esteem poses as a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depression while the scar model asserts that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scars the cognitive function of individuals, resulting in negative self-perception. This study was set out to test two models on Korean adul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elf-esteem relationship. The first four waves (wave 1~4)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were used for analyses, an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The findings show that the relationship was reciprocal, one affecting the growth trajectory of another over a four year period. Furthermore, education, poverty status,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depression and self-esteem trajectorie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heory are provided.

기업 제품의 보안 취약점 개선을 위한 보상제 동향

  • Yoo, Dong-hoon;Noh, Bong-nam
    • Review of KIISC
    • /
    • v.28 no.2
    • /
    • pp.43-50
    • /
    • 2018
  • 최근 새로운 플랫폼과 인터넷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소프트웨어가 다양화되면서 보안 위협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어 보안 취약점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주요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해외 주요 소프트웨어 벤더사의 경우 보안 취약점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보안을 적용하는 사례가 알려져 있지만 해외와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 생태계의 환경적 차이점으로 말미암아 동일한 방식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번 논문에서는 기업 제품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국내외 사례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시 설계에서 배포단계까지 각 단계별 취약점 발굴 활동의 유용성과 배포 후 취약점 발굴 인력의 집단지성을 활용하는 보안 취약점 보상제도의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