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Leisur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Economic Burden and Health Problems: Focusing on Leisure Activities

경제적 부담과 건강 문제를 겪는 노인들의 여가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 홍석호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0.01.05
  • Accepted : 2020.01.15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leisure activities and policy-level support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among the elderly by examining constraint factors of leisure activities among the elderly. Data of 3887 elderly with the age of 65 and above with economic burden and health problems from the 6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Hierarchical linear models were tested by entering factors stepswise; demographic factors(age, gender, marriage status, single household, region, living expenses, health status) in the first step, leisure factors(leisure time, leisure motivation) in the second step, and lastly leisure activity factors(desired leisure activities, undesired leisure activities) in the third ste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jor factors that constrict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ere financial burden and health problem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financial constraint, health constraint, and financial and health constraint) groups. Financial constraint group was the highest in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but leisure time was the shortest. The major reason to do leisure activities of the financial constraint group was to keep relationships with families and friends. In terms of desired leisure activities, health constraint group wanted resting, financial constraint group wanted hobbies and entertainment, and the financial-and-health constraint group wanted social activities. Third, financial constraint group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to take care of pets or gardens; however, they showed low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to domestic trips for desired leisure activities. In case of health constraint group, they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ther or not they wanted resting like watching TV or listening to the radio. And, the showed high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social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religion or social gathering organizations. For the financial-and-health constraint group, whereas they showed low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walking around or watching TV, and domestic trips for desired leisure activities, they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en they wanted entertainment doing the game of go, or chess, and hobbies like hiking and social activities. Practice and policy level suggestions to offer leisure activiti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were made based on the study results.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제약요인들을 살피고, 특정 제약요인을 가진 노인들의 여가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천적 측면에서 노인의 특성과 욕구에 기반 한 여가활동을 제안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후보장패널 6차 부가조사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들 가운데 경제적 부담과 건강문제로 여가활동에 제약을 경험한다고 응답한 3167케이스를 분석하였다. 여가활동의 제약요인 집단별 여가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사회적 특성(나이, 성별, 교육, 혼인상태, 독거여부, 지역, 적정생활비수준, 건강상태), 여가관련 변인(여가시간, 여가동기), 여가활동 변인(선호 활동, 비선호 활동)을 단계적으로 위계선형 회귀 모형에 입력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여가활동의 주요한 제약원인으로는 경제적 부담과 건강 문제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둘째, 세 집단(재정취약집단, 건강취약집단, 재정+건강취약집단) 간의 여가관련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여가활동 만족 수준은 재정취약집단이 가장 높게, 다음으로 건강취약집단, 재정+건강취약집단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가시간은 재정취약집단에서 가장 짧았으며, 여가동기에서는 재정취약집단에서 가족 및 주변 관계 때문이라는 응답은 높았으며, 건강유지라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건강취약집단에서 휴식활동을, 재정취약집단에서는 오락취미 활동을, 그리고 재정+건강취약집단에서 사회활동을 선호 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재정취약집단의 경우, 애완동물 돌보기 및 정원손질 같은 활동들을 선호 한다고 응답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국내여행을 선호 한다고 대답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건강취약집단의 경우, TV 시청 및 라디오 듣기 등의 휴식활동을 선호 한다고 응답할수록 그리고, 비선호 한다고 응답할수록 모두의 경우에서 여가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밖에도 종교활동 혹은 친목단체 활동과 같은 사회참여 활동을 선호 한다고 응답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정+건강취약집단의 경우, 집근처 산책 혹은 TV 시청, 국내여행 등의 활동을 여가활동으로 선호 한다고 응답한 노인일수록 여가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바둑, 장기, 체스 등의 오락 활동과 등산과 같은 취미활동, 그리고 친목단체 활동 등을 선호 한다고 응답한 노인일수록 여가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 여가활동에 대한 전국단위의 데이터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여가활동을 제안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학년도에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지원한 학술연구조성비(특별연구과제)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미경, 김지은. (2017). 노인들의 여가제약이 여가만족 및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2(8), 91-109. doi.org/10.21719/IJTMS.32.8.5
  2. 김옥태. (2016).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 및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통합인문학연구, 10(1), 7-29.
  3. 김진욱. (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 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4. 김현국, 박영순, 송영명. (2012). 노인의 대인 관계 정도 및 여가활동 참여가 노년기 우울과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1), 1-15.
  5. 나항진. (200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1), 53-70.
  6. 모선희. (2004). 고령화 사화와 노인여가활동. 노인복지사 양성교재: 보건학교 평생교육원.
  7. 문보영, 이경희, 문혜영. (2013).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5(5), 273-287.
  8. 박기범, 하형주, 신영균. (2009). 노인여가시설 이용자의 서비스질 만족요인.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1), 829-838.
  9. 박경순, 박영란, 염유식. (2015). 어떤 농촌노인이 경로당에 가지 않는가? 사회복지정책, 42(2), 163-184
  10. 박광희, 김대관. (2013). 100세 시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노인 여가 분석 II. 관광레저연구, 25(7), 541-555.
  11. 백경숙, 권용신. (2011). 노인복지관 집행특성에 따른 노인의 여가만족. 노인복지연구, 51(3), 321-339.
  12.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애, ... & 박보미. (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사회연구원.
  13.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경래, 이윤경, 오미애, ... & 홍송이.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사회연구원.
  14. 성태제. (2007). SPSS/AMOS 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66.
  15. 송영숙, 박정하. (2015). 노인의 여가제약과 생활습관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노후준비의 조절효과. 관광경영연구, 19(2), 87-107.
  16. 송원익. (2004). 도시근로자의 여가참여형태 및 제약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윤소영, 박두용. (2014).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학연구, 13(4), 101-126. https://doi.org/10.22879/SLOS.2015.13.4.101
  18. 이성훈, 이유리. (2005). 한국노인의 여가장애 극복을 위한 여가정책방안. 복지행정연구, 20, 317-335.
  19. 이영숙, 박경란. (2009).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12.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01
  20. 이향숙, 신원우. (2016).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157-165.
  21. 임점주, 박용억, 김선희. (2010). 노인여가행태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2(2), 95-114.
  22. 장훈, 김우정, 허태균. (2012). 여가참여 다양성과 행복의 관계: 참여여가활동의 수와 여가 시간 집중도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9(3), 21-38. https://doi.org/10.22879/SLOS.2012.9.3.21
  23. 지현진. (2012). 2009 생활시간 조사 자료를 근거로 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한국노년학, 32(3), 675-687.
  24. 최기홍, 전태숙. (2018).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 및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15(1), 57-82.
  25. 최명옥, 조순점. (2013). 노인의 여가문화와 삶의 질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21세기 사회복지연구, 10, 67-91.
  26. 최성재, 장인협. (2010).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7. 최항순, 한신수, 윤춘모. (2009). 노인여가의 동기요인과 만족요인간의 관계연구: 서남시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1(3), 85-104.
  28. 통계청. (2015). 한국의 사회조사 2015.
  29. 통계청. (2019). 2019년 고령자통계자료.
  30. 하응용, 김예성. (2018). 노년기 참여 여가활동 유형이 신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스포츠사이언스, 35(2), 45-59.
  31. 한상미. (2011). 노인의 사회적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여가만족과 고독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2(3), 157-182.
  32. 한승엽, 김흥렬, 윤성민, 장윤정. (2007).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 문화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2(3), 323-339.
  33. 허순영, 장덕준, 신재경. (2008). 조사연구에서 순위절차를 이용한 항목순위결정에 관한 연구. 조사연구, 9(2), 29-49.
  34. 허중욱. (2014). 여가시설 이용자의 여가만족과 여가제약. 관광연구저널, 28(12), 203-213.
  35. 현대용, 이훈래. (2017). 노인여가활동의 동기요인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약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1(1), 25-51.
  36. 홍석호, 김순은. (2016). 노인의 여가복지시설 이용의 저해요인. 보건사회연구, 36(4), 125-156. doi.org/10.15709/hswr.2016.36.4.125
  37. Beard, J. G. & M. G. Ragheb.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rarch, 12(1), 23-33. doi.org/10.1080/00222216.1980.11969416
  38. Crawford, D.W & Godbey, G.C. (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s, 9(2): 119-127. doi.org/10.1080/01490408709512151
  39. Havighurst, R. J., Neugarten, B. L. & Tobin, S. S. (1968). Disengagement Pattern of Aging. In B. L. Neugarten(Ed.), Middle Age & Aging(pp. 160-175).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 McCarville, R. E. & Smale, B. (1993). Perceived Constraints to Leisure Participation within Five Activity Domains. Journal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11(2). 40-59.
  41. Silverstein, M. & M. G. Parker. (2002). Leisure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st old in Sweden, Research on aging, 24, 528-547. doi.org/10.1177/0164027502245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