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충진율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32초

충진율에 따른 포장 김치의 품질 변화 (Effect of Filling Ratio on the Quality Changes of Packaged Kimchi)

  • 홍석인;박진숙;박노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0-595
    • /
    • 1994
  • 충진율을 다르게 하여 포장한 김치를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포장내 기체조성, pH, 산도, 김치여액의 색도, 젖산균수 및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하므로서 충진율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포장내 기체 조성은 충진율이 증가할수록 $O_{2}$의 감소와 $CO_{2}$의 증가 크기가 더 커졌다. pH와 산도는 그다지 충진율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색도의 경우에도 충진율에 관계없이 L, b 값은 지수적으로 감소하였고 a 값은 거의 일정하였다. 젖산균수와 관능검사 결과 역시 충진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김치의 포장시 충진율의 조절은 포장내 기체조성을 제외하고는 김치의 품질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로 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 균열에서의 자기치유 특성 (Self-Healing Properties in Cracking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Paste)

  • 이승헌;강국희;임영진;이세진;박병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19
  • 본 연구는 투수시험 실시 후 고로 슬래그 자극제로 $Na_2SO_4$를 첨가한 고로 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의 자기치유 특성으로서 충진율과 자기치유 생성물을 고찰하였다. 실시한 시편에 대해 충진율과 자기치유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자기치유 정도는 충진율로 평가하였으며 충진율은 객관성을 갖기 위해 BSE-DIP를 이용한 파노라마 분석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균 충진율은 Top 부분은 평균 18%, Middle 부분은 평균 7%, Bottom 부분은 평균 5%로 시편의 윗부분에서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충진율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구간별 최대 충진율은 44%이었고 최소 충진율은 3%이었다. 투수시험 후 잔존하는 자기치유생성물은 기본적으로 Ca 원소와 고로 슬래그에서 유래된 Al 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Si 원소는 균열 표면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곳에 주로 존재하였다. 자기치유 생성물 중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광물은 C-A-H로 68% 정도 존재하였다. $CaCO_3$는 13%, C-A-S-H는 8% 순으로 3가지 물질이 자기치유 생성물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C-A-H는 주로 균열 표면에서 약간 떨어진 부분에서 존재하였으며 각진 형태 이거나 침상 형태의 형상을 나타냈다. C-A-S-H는 기존의 시편과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표면을 타고 생성되었으며 $CaCO_3$는 시편의 표면이나 균열의 내부 등 위치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보였다.

부산 해성 점토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및 교란도에 관한 연구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h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Disturbance of Busan Marine Clay)

  • 김병일;이승원;이승현;조성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29-36
    • /
    • 2005
  • 본 연구는 부산 가덕도 부근 해성점토에 대하여 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일축압축강도, 최대강도에서의 변형률, 심도와의 관계를 비교 및 분석하였으며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과 시료채취시 충진율이 흙의 일축압축강도와 교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시험결과 시료의 일축압축강도는 최대강도에서의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채취 심도가 깊을수록, 시료채취시의 충진율이 좋을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시료 충진율의 증가는 일축압축강도 증가를 가져왔고 시료의 등급 또한 높여주었다.

콘크리트펌프 유압실린더의 충진율 모델 제안 (Suggestion of a Model for Filling Coefficient of Hydraulic Cylinder in Concrete Pump)

  • 박찬규;장경필;정재홍;권승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95-202
    • /
    • 2016
  • 콘크리트의 펌핑에는 일반적으로 피스톤 펌프를 많이 사용한다. 충진율은 피스톤 펌프의 실린더 부피와 실린더 내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부피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펌핑에서 토출량과 펌핑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행된 350m와 548m 수평배관 펌핑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토출량, 그리고 스트로크 시간과 콘크리트펌프 충진율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유동특성과 스트로크 시간으로부터 충진율을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다이캐스팅형 원심주조기에 대한 충진율·전도율 해석 (Conductivity·Filling Rate Analysis for Die-Casting Centrifugal Casting Machine)

  • 이양창;이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364-236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고정밀 로터용 원심주조기 방식을 연구 및 개발함으로써 관련 업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로터의 충진율 해석을 통해 RPM에 따른 로터의 충진율을 비교해 최적의 RPM을 제시하였다. 회전속도가 600 rpm일 때 충진율 99.47%를 보여줌으로써 실제 작업현장에서의 결과와 비슷하므로 이를 토대로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그 결과를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공정설계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형 레이들의 전도율해석을 통하여 고품질의 주조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적합한 소형 레이들의 온도를 분석하였다. 니크롬선을 이용한 가열장치가 없는 경우는 $427^{\circ}C$까지 급격히 떨어진 상태로 알루미늄용액이 급격히 굳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니크롬선의 가열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알루미늄 용액의 용융온도인 $660^{\circ}C$이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었으며 온도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습식 스크러버의 분무유량, 형상비 및 충진율 변화가 스모크 저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ray Flow Rate, Aspect Ratio, and Filling Rate of Wet Scrubber on Smoke Reduction)

  • 손권;이주열;박권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17-222
    • /
    • 2015
  • 산업혁명과 함께 급격히 증가한 화석연료의 사용은 기존에 없었던 다양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NOx와 SOx의 경우 산성비,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이 되어 지속적인 규제와 그에 따르는 저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3298cc 상용 디젤기관에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을 적용하여 스크러버 형상비, 내부 충진율, 세정수 분무유량, 엔진 부하 조건을 달리하며 스크러버 전후의 스모크 저감률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스크러버의 최적 형상 및 충진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충진재 투입에 의한 큰 스모크 저감률 향상을 확인하였고, 형상비 및 세정수 분무유량 또한 스모크 저감률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냉장고 컴프레서용 단상유도전동기의 고효율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igh Efficiency of th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for Refrigerator Compressor)

  • 김강원;안현진;임영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6
    • /
    • 2015
  • 본 논문은 냉장고 컴프레서용 단상유도전동기의 고효율화를 위한 회전자의 알루미늄 충진율 향상에 관한 설계적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주조 방식과 제안한 주조 방식을 적용한 회전자의 FEM 해석과 이을 기반으로 하는 실제 회전자를 제작 및 비교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식의 충진율이 향상된 회전자가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함으로써 제안한 방식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혼합물실험계획법과 가진을 이용한 알루미나 파우더의 충진율 분석 (Analysis of Powder Packing for Alumina Using Design of Experiment with Mixture and Vibration)

  • 전상준;김영신;양대종
    • Composites Research
    • /
    • 제34권5호
    • /
    • pp.330-336
    • /
    • 2021
  • 알루미나 파우더는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소재 중 하나이지만 파우더 패킹 상태에 따라 제품의 강도가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 문제해결을 위하여 입자 패킹효율을 높이려는 많은 선행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기존 연구는 밀리미터 스케일의 입자의 충진 특성을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마이크로미터 스케일과 물리적 특성이 달라, 그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의 알루미나 파우더를 이용하여 충진률을 높이기 위하여 통계적방법을 이용하여 3단계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혼합물시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충진율이 높은 크기 조합 및 혼합 비율을 선정하였으며, 진동 실험장치에서 가진 주파수 변경에 따른 충진 높이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가진 주파수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한 실험 결과값을 토대로 알루미나 파우더 충진율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대 높이 변화량은 충진 크기조합 선정을 위해 수행한 최초의 실험 결과 최댓값보다 42%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무기물이 첨가된 전기설비용 에폭시 수지의 유전적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electric Properties of Electrical Installation Epoxy Resin Filled with Inorganic Filler)

  • 김재환;서국철;김경환;박창옥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4권2호
    • /
    • pp.46-5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수지에 무기물충진제 SiO2를I첨가하여 제작된 시편의 주파수 및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 완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제작된 복합재료의 유전특성은 충진제의 함량증가에 따라 유전율은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유전손실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이와같은 사실을 포함한 모든 특성들은 충진제입자가 에폭시 매트릭스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사실과 Maxwell-Wagner의 계면분극이론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 제작된 복합재료에 대한 특성의 검토에서 충진제(SiO2)의 입자는 에폭시 매트릭스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충진제 첨가효과는 전반적으로 유전완화세기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계면분극효과에 의한 유전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 PDF

PU-AC 고분자 담체를 이용한 염색폐수처리

  • 김서연;신원식;김영훈;송동익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12-315
    • /
    • 2004
  • 염색가공 공정에서 배출되는 염색폐수는 염색 가공공정이나 사용하는 염료등에 따라 폐수량과 성상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인 염색폐수 처리방법으로는 물리화학절인 응집침전법과 생물학적인 활성슬러지법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존시설의 처리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담지한 폴리우레탄 담체를 개발하여 염색폐수를 처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담체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시 여러 인자들, 즉 COD/N 비, DO 농도, 담체의 충진율 등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회분식 실험에서 얻은 최적조건을 이용하여 파일럿 실험도 함께 수행하였다. COD/N 비가 COD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COD/N 비를 조절하지 않은 경우와 COD/N 비를 2-3으로 조절한 경우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염색폐수의 초기 COD 농도가 1,000 ppm일 때, 처리 후 COD 농도는 COD/N 비를 조절하지 않았을 경우 860 ppm (제거효율 = 18%), COD/N 비가 2일 경우 550ppm (제거효율 = 52%), COD/N 비가 3의 경우 390 ppm (제거효율 = 57%)으로 각각 나타났다. DO 농도가 COB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DO 농도를 1, 6, 7 mg/L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DO의 농도가 1 mg/L일 경우 COD 제거효율은 20% 정도였으나, DO 농도가 6 mg/L이상에서는 모두 80%에 가까운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담체 충진율의 경우, 10% 충진시 40%, 20% 충진시 50%, 30% 충진시 70%의 제거효울을 각각 나타내었다. 회분식 실험에서 얻은 최적조건으로 파일럿 반응기를 100일 이상 운전한 결과 염색폐수의 COD 농도변화는 1,000ppm에서 380ppm로 평균 60%이상 제거되는 높은 효율을 보였다. 또 담체 첨가의 영향을 살펴보기위해, 담체를 충진하지 않은 조건에서 파일럿 반응기를 운전한 결과 평균 COD 제거율은 50%로 비교적 낮은 효율을 보였다.

  • PDF